옥스팜 보고서, 10년 내 1명 생긴다던 조만장자 5명으로 수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2024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억만장자는 204명 늘어 2769명이 됐고 이들의 총재산은 13조 달러(약 1경8665조4000억원)에서 15조 달러로 늘었다. 이들의 자산은 직전 해 보다 3배 빠른 속도로 늘면서 하루 57억 달러(약 8조1840억6000만원)꼴로 증가했다.
반면 하루 8.65달러(약 1만원) 이하로 생활하는 빈곤층은 36억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국제구호단체 옥스팜은 20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회의인 '다보스포럼' 개막에 맞춰 내놓은 '연례 불평등'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204명이 억만장자 리스트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이는 매주 4명씩 새 억만장자가 탄생했다는 걸 의미한다.
억만장자의 총자산은 2023년 13조 달러이던 것에서 1년 만에 2조 달러 증가한 15조 달러였다.
이들 중 최상위 부자 10명의 자산은 지난해 하루 평균 약 1억 달러(1450억원)씩 늘었다. 만약 재산의 99%를 잃어도 억만장자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옥스팜은 지난해 ‘10년 내 1명의 조만장자(trillionaire)’가 생길 것이라고 내놓은 전망을 ‘10년 내 5명의 조만장자’로 조정했다.
옥스팜은 "억만장자들 부의 60%는 상속, 족벌주의, 부패, 독점 권력에서 나온다"며 "불평등이 통제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전 세계 인구의 44%에 해당하는 약 36억명은 세계은행 최저생계비인 하루 6.85달러(약 1만원) 이하로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빈곤층의 숫자는 1990년 이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고 옥스팜은 전했다.
특히 여성 9.8%는 하루 생활비 2.15달러(약 3100원) 이하의 극빈층의 삶을 살고 있었다.
같은 생활 수준에서 남성 비율은 9.1%였다.
옥스팜은 "불평등을 줄이면 극심한 빈곤은 3배 더 빨리 종식될 수 있다"며 "시간당 3000만 달러가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개도국 통칭)에서 글로벌 노스(북반구 선진국)의 수퍼리치 1%에게 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