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대설특보 발표 가능성 커
26일 밤 10시부터 제설대책 비상근무 돌입
제설제 살포, 눈 밀어내기 등 즉시 대응
서울시는 지난 26일 오후 4시 기상청에서 서울 전지역 대설 예비특보를 발표함에 따라 폭설에 만반 대비하고 있다. 지난 5일 서울 용산구 한남대로에서 제설차가 제설작업을 하고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제설대책 비상근무체계에 돌입해 설연휴 폭설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6일 오후 4시 기상청에서 서울 전지역 대설 예비특보를 발표함에 따라 폭설에 만반 대비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지난 23일 오후 5시 한병용 재난안전실장 주재로 25개 자치구와 19개 관계기관(부서)와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시민안전을 위해 설 연휴기간 동안 대설·한파에 차질없이 대응하도록 했다.
재난안전실장은 비상근무체계 강화, 취약시설물 등 사전점검을 요청하고, 특히 최근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결빙사고 예방을 위해 결빙취약구간 등을 꼼꼼히 살펴봐줄 것을 당부했다.
시는 선제적 대응을 위해 26일 오후 10시부터 제설대책 1단계를 발령해 장비점검 등 사전 대비를 철저히 했다. 제설대책 2단계가 발령되면 시는 9685명의 인력과 1424대의 제설장비를 투입해 강설에 대응하고, 제설제를 살포해 눈을 녹이거나 도로에 쌓인 눈을 밀어내는 제설작업 등 즉시 대응체계를 갖춰 시민들 안전한 귀성길이 되도록 총력을 기울인다.
또 결빙취약구간에 열선·자동염수분사 장치 등 자동제설장비를 즉시 가동하고, 지하차도 진출입부, 급경사지 등 순찰을 강화하고 제설제를 살포하는 등 집중관리로 도로결빙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한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시민들이 안전하게 설 명절을 보내실 수 있도록 자치구 및 관계기관과 함께 대설 대응에 만전을 기하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해 귀경길까지 안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시민들께서도 서행운전과 차간거리 확보 등 안전 운전해주시고, 많은 눈이 쌓일 경우 지붕 눈치우기 등으로 피해 예방에 협조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명절 기간에 응급실 내원환자가 급증하는 경향이 있고, 의료 파업 장기화와 최근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응급실 과밀화가 예상됨에 따라, 설 연휴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해 비상의료체계를 강화한다.
문여는 병의원과 약국 4만3000여곳을 운영하고, 보건소와 시립병원은 비상진료반을 운영한다. 인플루엔자 환자를 위한 발열클리닉도 운영해 신속한 진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선, 긴급한 환자를 위한 응급의료체계는 설 연휴에도 평소와 같이 24시간 운영한다. 서울대학교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 서울시 서남병원 등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 응급실 운영병원 21개소 등 총 70개소를 상시 운영한다.
서울시 25개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설 연휴 4일간 권역별로 이틀씩 비상진료반을 운영한다.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남병원 4개소는 24시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며 대응한다.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등 호흡기감염병 환자의 신속한 진료를 위해 발열클리닉(야간, 공휴일 호흡기 증상 환자 진료), 협력병원(중증, 중등증 및 경증 환자 진료)을 운영한다. 코로나19 치료제 처방 현황과 수급 관리도 강화해 지역사회 감염병 전파를 차단할 계획이다.
한편 소화제, 해열진통제, 감기약, 파스 같은 ‘안전상비 의약품(13개 품목)’은 편의점 등 안전상비 의약품 판매업소 7168곳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 판매업소는 서울시 ‘2025 설 연휴 종합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