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마켓워치 >

'2兆 부실' 칼바람..스크린골프·레포츠·신축병원 안가린다[fn마켓워치]

관련종목▶

1.7兆→2兆..올 8兆 넘는다

'2兆 부실' 칼바람..스크린골프·레포츠·신축병원 안가린다[fn마켓워치]
chatGPT가 생성한 부실채권 자산 이미지. chatGPT 제공

[파이낸셜뉴스] 2025년 을사년(乙巳年) 시작부터 2조원이 넘는 부실 칼바람이 찾아왔다. 부실채권(NPL) 대상으로 공장은 물론 스크린골프장, 레포츠센터, 신축병원 등 기존에 보기 어려운 자산들도 포함됐다. 통상 하반기에 매각대상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 NPL 매각물량이 8조원이 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상환 원금잔액(OPB) 기준 올해 1·4분기 NPL 매각물량은 약 2조598억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1·4분기 1조7835억원 대비 약 2700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KB국민은행, BNK부산은행, BNK경남은행, iM대구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하나은행, 수협은행-새마을금고 공동대출 등이 매각에 참여한다.

스크린골프장은 지식산업센터, 구분상가 내에 있는 업장들이 NPL화됐다. 골프장의 인기 속에 스크린골프장이 최근 가격적인 대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데 NPL로 나온 것이다. 시중은행이 대출을 보유한 남양주, 진해, 파주 교하 등 5곳과 칠곡 인도어 골프연습장 등이 NPL로 나왔다. 문을 연지 오래되지 않은 곳이지만 규모가 너무 커서 수요가 그만큼 충족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타석 규모 5곳 내외가 아닌 10곳을 넘고 연습장까지 있는 등 대규모 투자를 했다가 부실화된 자산이다.

코로나19의 타격에서 회복 중인 레포츠센터도 NPL로 나왔다. 214억원 규모다. 2024년 3·4분기부터 50억~60억원 규모 구분건물로 레포츠센터가 NPL로 나오기는 했지만 통건물 NPL은 코로나19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2020년에 문을 연 부산 강서구 명지동 소재 일반병원도 매물로 나왔다. 150억원 규모다. 진료과목도 다수 있는 병원이다. 에코델타시티 개발계획의 수혜가 예상되는 상황 속에 NPL화다. 60억원 규모 창녕 요양병원, 50억원 규모 파주 요양병원도 매물로 나왔다.

숙박시설도 꾸준히 NPL로 나오고 있다. 제주도 제주시 연동에 230억원 규모 생활형 숙박시설이 대상이다. 미분양으로 대출금을 갚지 못해 NPL화된 사례다. 제주도 우도 소재 복합시설도 문을 연지 얼마되지 않아 NPL로 나왔다. 390억원 규모다. 관광시설로 허가받아 테마파크, 미술관, 숙박시설 등을 운영해왔다.

저온 물류창고도 꾸준히 NPL로 나오고 있다. 안성 소재 물류창고로 500억원 규모다. 임차인이 있었지만 공실화된 사례다.

공장 부실화도 진행 중이다. IBK기업은행이 2024년 1·4분기 3197억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3532억원으로 매각 물량을 늘린 것이 이를 방증한다. 제조에서도 경기침체 영향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른 은행의 반월동 공장 174억원 등 대거 NPL로 나오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2024년 3·4분기부터 상업용부동산이 NPL 대상으로 늘어나고 있다. 상업용부동산은 처분 시장이 어려워 NPL 투자전업사들이 투자하기 쉽지 않은 곳"이라며 "예전 상업용부동산 NPL은 상권이 쇠락한 구도심 지역이라면 지금은 코로나19 이후 분양해 최근 입주한 아파트형 공장 내 상가가 많다. 수분양자들이 대출금을 갚지 못해 NPL로 나온다"며 "아파트도 NPL로 많이 나왔었는데 지금은 특수부동산이 NPL로 대거 나오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