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담궈 먹는 농촌 사람 영상… 해시태그 '중국문화''중국음식'
한국 매듭장인과 가방 만든 펜디… 中 항의에 홈페이지서 삭제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농촌 생활을 영상으로 제작하면서 '김치는 중국음식'이라는 억지 주장을 펼쳐 논란이 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7일 "많은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며 "확인해 보니 인스타그램 릴스 영상으로 올려 이미 조회수가 3000만건이 넘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3편짜리 영상은 농촌 생활을 하는 한 중국 남성이 김치를 직접 담궈 먹는 과정이 담겨져 있다.
영상보다 더 큰 문제는 이를 설명하는 해시태그에 'Chineseculture'(중국문화), 'Chinesecuisine'(전통중국요리)를 넣었다는 점이다.
지난 2021년에도 당시 구독자 1400만 여명을 보유한 중국 유튜버 리쯔치가 김치를 중국 전통 음식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리쯔치 역시 농촌 생활을 배경으로 배추를 소금에 절이고 배추에 고춧가루 등으로 만든 빨간 양념을 묻혀 김치를 담그는 모습을 영상에 담은 데다 영상을 소개하는 해시태그에 'ChineseFood'(중국음식), 'ChineseCuisine'(전통중국요리)를 넣었다.
서 교수는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농촌 생활을 이용해 김치를 홍보하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중국 시골에서 만들어 먹었던 음식이라는 점을 대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 동안 중국은 유튜버는 물론 언론까지 나서 한국의 전통 문화를 겨냥해 '중국 문화'라는 억지 논리를 여러 차례 펼쳐 왔다.
최근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서울시 무형문화재 13호 김은영 매듭장인과 협업해 가방을 내놓자 펜디 홈페이지와 SNS에 중국 네티즌들이 몰려와 "한국이 중국 문화를 도용했다", "펜디는 중국 문화를 존중하라"라며 어깃장을 놓기도 했다.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도 "중국 매듭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민속 예술로 시작해 명나라와 청나라 때 인기를 얻은 장식용 수공예품"이라고 자국민들의 근거없는 주장에 힘을 보탰다.
결국 펜디는 홈페이지와 SNS에 해당 가방을 삭제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