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극복 정책과제 평가, 데이터 기반 정책 발굴 등
국책·지역연구원, 돌봄센터, 기업 등 민관 저출생 전문가 참여
경북도청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저출생 정책평가센터'를 개소, 체감도 높은 정책을 현장에 구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경북도는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저출생 극복 사업의 효과성 분석 등을 위해 지자체 최초로 저출생 정책평가센터를 경북연구원에 개소했다.
저출생 정책평가센터는 경북도와 경북연구원을 중심으로 △주거 △일·생활 균형 및 양성평등 △출산 및 돌봄 △결혼 지원 등 4개 분과로 운영된다.
4개 분과에는 경북도, 국책연구원, 지역연구원, 대학,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의료원, 기업, 청년 대표 등 민관 저출생 전문가 30여 명이 참여한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그간의 저출생 정책은 단순히 출산율 증가에 주목해 사회구조적 문제와의 연관성 및 저출생을 초래하는 상관관계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부족했다"면서 "민관 저출생 전문가들과 협업해 데이터 중심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지역의 저출생 문제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꼭 필요하고 효과성 높은 곳에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출생 정책평가센터는 저출생 극복 주요 정책에 대한 추진성과 평가 및 분석, 도민 인식 조사, 데이터 기반 정책 지원, 중장기 인구 전망 및 대응 전략 구상 등의 역할을 할 예정이다.
우선 36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저출생 극복 150대 추진 과제에 대해 지역별, 세대별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정책 수요에 적절히 대응했는 지를 자세히 분석해 정책 만족도와 영향성 분석 등을 실시한다.
또 동북지방통계청과 협약을 통해 제공받은 지역 인구구조 및 이동, 일자리 현황, 정책 수요 등 저출생 관련 데이터 관계 분석을 통해 출산 연관 지수 및 상관관계를 산출한다.
이렇게 도출된 자료는 △도민 모니터링단 △전문가 연구그룹 △도청 각 부서, 공공기관 등에 공유해 내년도 신규 사업 마련, 예산 집중 투입 분야 선정, 불필요한 사업 축소와 폐지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또 도가 나아가야 할 저출생 등 인구 정책 대응 로드맵을 만들고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한 중장기 인구전략도 마련한다.
한편 이날 김 부지사는 결혼, 출산, 육아, 일·생활 균형 등에 부담을 주는 관행적인 문화를 바꾸기 위해 도가 역점 추진 중인 저출생 부담 타파 4대 문화 운동 서명을 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