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가 기각으로 결정되자 탄핵 찬반 세력들의 희비는 엇갈렸다. 탄핵 찬성 측은 헌재의 결정을 규탄한 반면 반대 측에선 환호가 터져 나왔다.
24일 오전 10시10분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로 보이는 이들은 휴대폰에서 한 총리 선고 결과를 확인한 뒤 정보를 공유하며 박수를 치거나 만세를 불렀다. 헌재 인근 재동초등학교 앞에서 "기각됐다"는 소리와 함께 주먹을 움켜쥔 이모씨(67)는 "헌재가 드디어 정신을 차렸다"며 "윤 대통령도 곧 복귀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헌재에 대한 신뢰감이 생겼다는 의견도 들을 수 있었다. 전모씨와 함께 안국역 2번 출구 앞에서 춤을 춘 한 윤 대통령 지지자는 "지금까지 헌재를 신뢰하지 않았는데 이제는 헌재를 믿을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우리가 이길 것이다. 헌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도 기각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헌재 앞에서 108배를 하고 있던 박모씨(70)는 "공권력이 제자리로 찾아가는 느낌"이라고 짧게 소회를 밝혔다.
헌재 앞은 그간 집회 때와 비교해 한산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 예고편으로 평가되는 한 총리 탄핵소추 결과였지만, 지지자의 운집 규모는 윤 대통령 변론기일 때와 달리 크지 않았다. 오전 10시께 헌재 인근인 교동초 앞 삼거리에는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바라는 지지자 5~6명에 그쳤다.
경찰이 헌재 앞과 건너편 보도의 통행을 제한한 것 역시 지지자들이 모이지 못한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된다. 경찰은 헌재 주변 100m를 집회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지지자들이 도로에 머물지 못하도록 곳곳에 펜스를 설치해 놨다.
현장에서 만난 한 경찰 관계자는 "1인시위라고 해도 각각의 시위자가 모여 대규모 집회로 변질되는 헌재 앞 집회의 특성을 고려해 경비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헌재 주변 학교는 선고 당일 휴교할 계획이고, 일부 상인들도 장사를 하루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윤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를 주도해온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같은 날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헌재 결정을 규탄했다.
이들은 "오늘의 결정으로 더욱 커질 사회적 혼란을 바로잡는 일은 조속히 윤석열에 대한 파면 결정을 내리는 것뿐"이라며 "지금 당장 선고기일을 공지하고 윤석열을 파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헌재 재판 후 주요 시설에 대한 안전 확보와 헌법재판관, 주요 인사에 대한 신변 안전, 찬반 단체 간 대규모 충돌 방지 등 예측할 수 있는 모든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비 중"이라며 "선고 당일 가용 경력을 총동원해서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서지윤 정경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