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좋은돌봄 인증제 4월 14일~25일 접수
데이케어·노인요양시설·안심돌봄가정·방문요양기관 대상
올해부터 방문요양기관도 인증 신청 가능
서울시는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담당할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돌봄종사자를 위한 인건비, 인센티브 등 경제적 보상을 강화하고 근무환경도 개선한다. 서울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좋은돌봄 인증’을 받은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린다. 돌봄종사자를 위한 인건비, 인센티브 등 경제적 보상을 강화하고 근무환경도 개선한다. 데이케어센터 야간 운영지원비도 인상해 더 나은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서울시는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담당할 좋은돌봄 인증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는 노인 인권 보호, 시설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한 장기요양기관을 서울시가 공인해 주는 제도로 2009년 도입했다. 데이케어센터(주야간보호시설), 노인요양시설, 안심돌봄가정(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대상으로 하며 올해부터는 방문요양기관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현재 서울시내 장기요양기관 2132개소 중 현재 256개소가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
데이케어센터에는 야간 운영 인력 인건비와 프로그램 운영비를 총 100만원 인상 지급한다. 2024년 2800만~3800만원 지급하던 것을 올해에는 2900만~3900만원 지급한다. 센터당 대체인력 지원 일수도 연간 12일에서 16일로 확대, 종사자 휴가 등 인력 공백 발생도 막는다.
노인요양시설은 1600만~3,6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안심돌봄가정은 1800만~2700만원을 지원한다. 두 시설 모두 종사자 1명당 연간 30만원의 복지포인트와 총 5일의 대체인력도 투입한다.
방문요양기관은 좋은 돌봄 인증을 받으면 2인 돌봄이 불가피한 중증 저소득 어르신 돌봄 시 추가 종사자 1인 인건비를 월 최대 80시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 휴일·심야 등 돌봄사각지대 추가 돌봄에 대해서도 월 최대 40시간의 인건비와 선임요양보호사 인센티브도 지원한다.
좋은돌봄 인증을 받기위해선 △좋은 서비스 △좋은 일자리 △좋은 기관 3대 영역 세부 지표 중 시가 제시하는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올해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기관 모집은 오는 14일부터 25일까지다.
한편, 서울시는 돌봄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지원을 펼치기 위해 돌봄전문상담콜 안심돌봄120을 운영 중이다. 몸이 불편한 어르신과 고난도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등 돌봄 욕구가 있는 시민들은 전화 한 통화만 하면 제공 가능한 돌봄 종류, 신청 자격 및 절차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김덕환 서울시 돌봄복지과장은 “서울형 좋은돌봄 인증제는 장기요양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이용자의 선택권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중”이라며 “올해부터는 방문요양기관에 대한 인증을 확대해 돌봄 사각지대 어르신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에 대한 처우도 개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