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 금융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 컨설팅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등 15개 기관은 지난 2일 은행회관 14층에서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은행권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의 후속 조치로, 소상공인에게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기 위한 지원체계와 실행 기반을 마련하고자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아래 왼쪽부터) 권형남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회장, 이재연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서민금융진흥원 원장,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 원영준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회장,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 문동민 한국표준협회 회장,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이사, (위 왼쪽부터) 이성주 신용보증기금 전무이사,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 노승욱 창톡 대표이사, 류재원 중소상공인희망재단 이사장, 한수희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대표이사, 황미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임이사, 박영상 은행연합회 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핀다 제공
[파이낸셜뉴스] 핀테크 기업 핀다가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을 위해 정부·은행권·공공기관과 손을 잡았다.
핀다는 지난 2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금융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은행연합회와 5개 공공기관 및 6개 민간 기업과 함께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소상공인 컨설팅 협력체계 구축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상호 서비스 공급, 정보공유, 홍보 협력 △소상공인 컨설팅 이수자에 대한 금리 할인 등이 핵심이다.
핀다는 협약을 통해 은행권이 연계하는 소상공인 고객을 위한 맞춤 금융 서비스와 창업 지원 컨설팅 제공에 주력한다. 먼저 자사 AI 비교대출 플랫폼 ‘핀다’ 앱을 통해 사업자대출 시 우대금리 혜택을 제공하고 소상공인에게 특화된 사업자대출을 중개할 방침이다.
아울러 인공지능(AI) 상권 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활용해 가게 주변 상권 데이터를 한번에 보여주는 ‘사업장 상권 보고서’와 예비 창업자와 재창업자를 위한 맞춤 컨설팅 기능을 담은 ‘예비 창업 보고서’를 지원할 계획이다.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는 “고물가와 내수 소비 침체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을 위해 민관이 합심하여 발벗고 나서게 됐다”며 “국내 최초·최대 대출비교플랫폼 핀다의 노하우와 1억3000만개의 상권 빅데이터를 보유한 오픈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사장님을 위한 원스톱 솔루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핀다는 75개사와 제휴한 대출비교 플랫폼 ‘핀다’와 AI 상권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보유한 대표 핀테크 기업이다. AI를 활용한 매출 예측과 상권 경쟁력 분석을 통해 개인사업자에게는 오픈업을 무료 제공 중이며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랜차이즈, 중기부 등에도 맞춤형 상권분석과 마이비즈맵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