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강력 지원 필요했던 철강·석화
대미 협상력 발휘, 구조조정 후속 대책 등 주목
단일규모 세계 최대 수준의 석유화학단지 '여수국가산단'. 뉴시스
[파이낸셜뉴스]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확정되면서, 그동안 컨트롤 타워 부재로 진통을 겪었던 철강 및 석유화학 업계 등이 향후 대내외적 혼란 안정화에 민관이 힘을 모을 수 있을지 기대를 높이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철강업계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급격한 관세 인상 정책과 환율 급등, 내수 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컨트롤타워 부재가 맞물리면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트럼프 정부 지난 2018년 집권 1기 때에 이어, 2기에도 미국의 제조업과 국가안보를 보호한다는 이유로 철강 등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폭탄을 발표했다.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이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 부과의 대상이 됐다. 다만 최근 상호관세 부과는 피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
업계는 리더십 공백이 해결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후 지금부터 세밀한 부분에서의 대미 협상의 장이 열리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업계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중심으로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로 강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머리를 맞대왔다. 안 장관은 미국과의 통상 협정을 위해 지난 2월과 3월 미국을 방문해 한국에 대해 우호적 대우를 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큰 틀의 관세 규제는 정해 놓은 상태지만, 정국이 안정화된다면 더욱 긴밀한 차원에서 협상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그동안 리더십 공백 상황에서도 산업부를 중심으로 대책 회의 등이 활발히 진행돼 왔다. 그 연장선상에서 필요한 대응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석화업계도 그동안 지연됐던 산업 지원 대책에 속도가 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석화업계는 중국발 공급 과잉, 경기 침체, 수요 부진 등으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구조조정 필요성이 부각됐다.
이에 지난해 12월 정부는 석화업계의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당시 계엄 선포 여파 등으로 후속적인 경제 현안 추진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졌다.
정부가 올해 상반기 내 후속 지원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최근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에 대한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밝히면서 침체기 극복에 속도가 실릴 전망이다.
석유화학업계는 이달 중 자발적으로 진행하는 사업재편 계획 컨설팅 결과 보고서를 산업부에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상반기 내에 과세완화, 인수합병(M&A) 유도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후속 대책을 구체화해 발표할 예정이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