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어르신 1000명에게 '하루한끼' 제공...서울시, '서울밥상' 본격 시작

어르신 1000여명에게 도시락·밑반찬 매주 전달
민간조리업체 완조리 후 거점기관에 전달
공공 어르신일자리 참여자가 한집한집 배송

어르신 1000명에게 '하루한끼' 제공...서울시, '서울밥상' 본격 시작
서울시가 60세 이상 저소득층 어르신 1000여명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하는 ‘서울밥상’ 사업을 9일부터 시작한다. 서울시청 전경. 뉴스1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60세 이상 저소득층 어르신 1000여명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하는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서울시는 어르신들에게 고른 영양의 하루 한끼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밥상’을 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밥상은 지난해 9월 서울시 실국장 대상으로 진행한 ‘창의연찬회’에서 제안돼 최우수상을 수상한 정책이다. 시와 계약을 맺은 민간조리업체가 대량으로 도시락과 밑반찬을 만들어 복지관 등 거점수행기관에 공급하면, 이들 기관이 어르신 댁으로 음식을 배송해 한끼를 대접하는 것이다.

따로 공공의 조리공간이나 인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민간업체에서 대량으로 식자재를 구매·조리하기 때문에 동일 비용으로 보다 고품질의 급식을 제공할 수 있다.

시는 배달플랫폼이 될 관내 복지관, 대한노인회지회, 돌봄통합센터 등 33개소의 거점 수행기관을 선정했다. 음식조리를 맡을 민간조리업체로는 지난 3월 일반경쟁입찰을 통해 학교, 병원 등을 대상으로 급식 서비스를 제공 중인 현대그린푸드를 선정했다.

서울밥상 시범서비스는 9일부터 8개 자치구 845명의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매주 민간조리업체에서 조리한 도시락 7일분(주 5일 배송), 밑반찬 7일분(주 2일 배송)을 전달하며 명절이나 어버이날·노인의날 등에는 특식을 제공한다. 지원대상은 생계급여수급자 기준 부적합으로 급식을 받지 못하는 독거 어르신,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어르신 등이다.

서울밥상은 도시락·반찬 배달을 ‘공공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연계 진행해 어르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외에도 어르신들이 함께 모여 식사 할 수 있도록 ‘서울마음편의점’, ‘1인가구지원센터’, ‘시니어클럽’ 등에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올 하반기에 서울밥상 사업참여 자치구를 추가 모집하고, 성과평가 등을 실시 후 내년에 전체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추가공간 확보 없이 안정적으로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서울 밥상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영양가 높은 양질의 급식을 대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