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W, 트럼프 백악관 복귀 막은 악연… 트럼프 "면세 박탈 검토"
미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대 캠퍼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하버드대에 대한 면세 자격 박탈을 위협하면서 미국의 모든 진보 단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명문대와 유명 로펌에 이어 시민단체를 향해 '보복성 조치'를 예고했다.
ABC방송 등 미국 현지언론은 1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미국 워싱턴DC의 비영리단체인 '워싱턴의 책임과 윤리를 위한 시민들'(CREW)의 '면세 지위'를 검토하고 있다고 AP통신을 인용, 보도했다.
보도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CREW에 대해 "그것은 공익단체여야 한다. 그들의 유일한 공익은 도널드 트럼프를 쫓는 것"이라며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살펴보고 있다. 우리는 많은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석유 증산 정책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들의 면세 지위를 언급했다.
그는 "면세 지위는 특권이다. 정말 특권인데, 하버드대보다 훨씬 더 많은 곳에서 남용하고 있다"며 "우리는 몇 가지 성명을 발표할 것이다. 이건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CREW는 미 정가의 대표적인 정부·정치인 부패 폭로 단체다. CREW가 트럼프 대통령을 오랫동안 감시해 왔다는 점에서 면세 지위 박탈 위협은 보복성 성격이 짙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단체는 지난해 미 대선을 앞두고 2021년 1월 6일 국회의사당 폭동 사태를 선동한 혐의를 받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수정헌법 제14조에 따라 백악관에 복귀하려는 걸 막으려는 소송에 참여했다.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효율부가 연방 직원을 대규모 해고한 것에 반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단체 창립자인 노엄 아이젠은 트럼프 대통령이 1기 임기 당시 탄핵 소추를 당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처럼 반대파와 진보진영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은 상대를 가리지 않고 확대되고 있다.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자신에 대한 수사에 관여한 인사들이 속해있거나, 자신의 반대파를 변호한 로펌들을 겨냥해 보복성 제재 조치를 내놨다.
최근엔 대학을 상대로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명분으로 교내 정책 변경을 강압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반기를 든 하버드대에는 22억 달러(약 3조1000억원) 규모의 연방 보조금을 동결하고 면세 지위 박탈까지 추진 중이다.
시민단체나 대학이 면세 지위를 잃을 경우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하고 세금 공제 혜택을 바탕으로 유치하던 기부금 역시 줄어들게 되는 만큼 재정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조던 리보위츠 CREW 부사장은 "훌륭한 거버넌스 집단은 건강한 민주주의의 핵심"이라며 "우리는 미국인들이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부를 갖도록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