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창문 안 열어도 AI가 환기"...금호석유화학 휴그린, ZEB 시대 '자동환기창 Pro'로 승부수

6월부터 민간 아파트 ZEB 의무화
고단열 창호·단열재 시장 경쟁 본격화

"창문 안 열어도 AI가 환기"...금호석유화학 휴그린, ZEB 시대 '자동환기창 Pro'로 승부수
금호석유화학의 건축자재 브랜드 '휴그린'의 자동환기창 Pro. 금호석유화학 제공

[파이낸셜뉴스] 오는 6월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제도가 본격 적용되면서, 금호석유화학의 건축자재 브랜드 '휴그린'이 인공지능(AI) 환기 기능을 갖춘 '자동환기창 Pro'를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섰다. 고단열 창호와 단열재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고성능 제품군 확대를 통해 ZEB 시대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21일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건물 운영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는 건설산업 생애주기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65%를 차지한다. 정부는 고단열·고기밀 성능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ZEB 제도를 통해 건축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중립 달성을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주거 공간의 에너지 손실 가운데 40% 이상이 창호를 통해 발생하는 만큼, 창호 성능은 ZEB 설계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자재 업계는 고단열 창호와 단열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휴그린의 자동환기창 Pro는 창문을 열지 않아도 실내 공기질을 AI가 실시간 감지해 자동으로 환기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3중 안심 필터가 초미세먼지·세균·바이러스 등 외부 유해 물질을 차단하고, 실내에는 청정 공기만을 공급한다. 유리 표면에는 은코팅을 적용해 태양열 유입은 차단하고 실내 온기는 유지하며, 4중 기밀 구조로 냉·난방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했다.

이와 함께 프리미엄 단열재 '페놀폼 단열재(PF보드)'도 주목받고 있다.
해당 제품은 열전도율 0.020W/m·K의 고단열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시공이 가능해 공간 효율과 에너지 성능을 모두 충족한다. 개정된 준불연 기준을 만족하고, 할로겐이 없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 화재 시 유해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허권욱 금호석유화학 건자재사업부장은 "ZEB 기준이 민간까지 확대되면서 고단열 창호와 단열재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휴그린은 자동환기창과 PF보드를 중심으로 고성능 제품군을 강화해 제로에너지건축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