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서 "좋은 일자리 만들겠다"며 발언
2023~2025년 4월까지 28개월치 확인
50만명 넘은 경우, 2025년 2월 단 한번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21일 경기 김포시 사우문화체육광장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뉴스 1
[파이낸셜뉴스]
“지금 우리나라 청년(15~29세)들 50만명 이상이 그냥 ‘쉬었음’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지난 18일 한 TV 토론회에 나와 "이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서 일하면서 결혼도 하고 아기도 갖고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가 말한 '청년 50만명 쉬었음' 주장은 사실일까.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각각 43만4000명, 50만4000명, 45만5000명, 4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50만명을 넘은 기간은 2월 한 달 뿐으로 1월과 3월, 4월은 쉬었다는 청년층은 50만명에 못 미쳤다. 아예 틀린 말은 아니지만, 맞는 말도 아니라는 뜻이다.
범위를 지난해 전체로 넓혀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1~12월 데이터를 모두 분석한 결과, 월별 기준 쉬었다는 청년이 50만명을 넘어선 경우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1월 40만3000명을 시작으로 쉬었음을 선택한 청년들은 2월 44만3000명, 3월 40만3000명, 4월 40만명, 5월 39만8000명, 6월 42만6000명, 7월 44만3000명, 8월 46만명, 9월 44만2000명, 10월 41만8000명, 11월 40만800명, 12월 41만1000명을 기록했다. 일정 수준 증감은 있지만 한 차례도 50만명을 넘지는 않았다. 그나마 가장 가까운 기간은 46만명을 기록한 8월이다. 2023년도 50만명을 넘은 경우는 한 차례도 없었다. 청년 쉬었음이 가장 높았던 기간은 2월(49만7000명)이었고, 낮은 기간은 11월(34만6000명)이었다.
올해 4월 고용동향은 18일 오전 9시께 발표됐다. 토론회는 약 11시간 뒤인 같은 날 오후 8시에 열렸다. 신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은 충분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게다가 '청년공약'은 김 후보가 전면에 내세우는 주요 정책 중 하나인 만큼, 공식적인 토론회 자리에서 조금 더 신중한 발언이 필요했다는 시각도 나온다.
김 후보는 최근에도 △불공정 채용 관행 근절을 위한 ‘공정채용법’ 제정 △가산점제와 ‘군 복무 경력 인정제’ 도입 △청년 경제 지원 정책 등을 포함한 청년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19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청년이 바라는 대한민국’ 정책 공약 발표회를 열고 "청년이 필요 이상의 부담과 걱정을 덜어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얻고, 비용 걱정으로 결혼을 포기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채용 과정에서 청탁·금품수수가 벌어지거나 사적 인연이 개입할 경우 처벌 강화, 탈락 사유 통지 요청권 도입, 군에서 수행한 직무에 대한 직무 증명서 발급, ‘깜깜이 스드메’ 문제 해결 위해 표준계약서 마련 등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날 "구직을 하지 않고 쉬었음 청년 증가된 점이 가슴 아프다"며 "청년들의 꿈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게 국가의 책무다. 청년들의 꿈을 향한 몸부림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