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검색때문에, 대화가 필요해서"...AI 쓰는 이유 살펴봤더니

"검색때문에, 대화가 필요해서"...AI 쓰는 이유 살펴봤더니
AI와 업무를 보는 사람 일러스트. 챗GPT 제작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국민 4명 중 1명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써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을 내고 쓰는 유료 구독 경험도 1년 전보다 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는 정보 검색과 업무지원 등이었지만 '대화가 필요해서'라는 용도 역시 비중이 높았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지난 29일 이런 내용의 ‘2024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쓰는 전국 15∼69세 이하 국민 442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4%는 생성형 AI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전년보다 2배(11.7%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유료 구독 경험은 7.0%로 전년(0.9%)보다 약 7배 뛰었다. 이용자들은 생성형 AI를 텍스트 생성(57.2%), 음성·음악 생성(21.4%), 이미지 생성(11.8%) 순으로 많이 썼다. 2023년에 텍스트 생성(81.0%)이 대다수였던 것과 비교하면 활용 범위가 다양해졌다.

생성형 AI를 이용한 동기는 여러가지였다. ‘정보 검색에 효율적’(87.9%), ‘일상 업무를 지원하는 데 도움’(70.0%), ‘대화 나눌 상대가 필요해’(69.5%) 등이었다. 반면 AI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용을 어려워 하거나, 정보 유출을 우려한다는 내용이 많았다.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5.2%),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 같아’(58.9%), ‘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7.3%) 등이었다.

응답자들은 AI 확산에 따라 일자리 대체(60.9%), 창의성 저하(60.4%), 저작권 침해(58.8%), 범죄 악용 가능성(58.7%) 등을 우려했다.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해서는 포털의 경우 ‘불법정보 노출’(47.4%), 유튜브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48.2%)을 걱정했다.

전년 조사에서 ‘가치관 편향 우려’(포털 49.9%, 유튜브 51.0%)가 가장 높았던 것과 대비된다.
AI 추천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구하고 싶은 윤리적 책무와 관련해선 ‘알고리즘의 콘텐츠 선별 기준 공개’(69.8%)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응답자들은 AI 추천 서비스가 공공의 이익에 반하는 경우 ‘정부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63.7%)고 봤다. 앞으로 AI 등 지능정보 서비스가 삶을 개선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로는 의료(92.4%), 금융(88.9%), 소비(84.6%) 순으로 꼽았다.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