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잔=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 '채상병 특검법' 이른바 3대 특검법이 지난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빠르면 이번달 안에 특검이 발족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과 경찰 등에서 이미 진행 중인 해당 의혹 수사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수사기관은 특검이 요구할 경우 관련 자료를 모두 넘겨줘야 한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현재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대한 수사를 공천개입 의혹(서울중앙지검)과 건진법사 게이트(서울남부지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서울고검) 총 세 갈래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윤 전 대통령이 제20대 대선 당시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주가조작 의혹과 허위경력 의혹 등을 허위로 해명했다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조민우)가 이번달 초부터 다시 수사를 벌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지난 2월 사건이 중앙지검으로 이송된 후 관계인 조사를 마무리했고, 의혹의 정점에 있는 김 여사를 소환해 조사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는 중으로 알려졌다.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본부(부장검사 박건욱)도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씨가 청탁용 명품가방을 김 여사에게 전달하는 전달책의 역할을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관계인들에 대한 수사를 이어갔다.
서울고검 재수사팀(부장검사 차순길)은 김 여사 계좌에서 이뤄진 '7초 매도' 과정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 7초 매도는 '주포' 김모씨가 주가조작 선수였던 민모씨에게 '3300원 8만주' 매도를 요청하자 이후 7초 만에 김 여사 계좌에서 도이치모터스 주식 8만주를 3300원에 매도하는 주문이 제출된 것을 말한다.
경찰도 윤 전 대통령을 겨냥한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현재 윤 전 대통령을 지난 1월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에 대해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등에게 지시를 내려 경찰과 경호처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지시를 내린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이 김 전 차장 등 경호처 전현직 간부에 대한 여러 차례 조사를 마친 만큼, 윤 전 대통령 소환 조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수본은 또 대통령경호처의 비화폰 서버 삭제에 대해서도 수사를 펼치고 있다.
경찰은 지난해 3월 1일부터 지난 1월 22일까지 비화폰 서버 자료 1년치를 복구해 확보한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 정보가 계엄 3일 후인 지난해 12월 6일 원격으로 삭제된 것을 확인해 증거인멸 혐의로 추가 수사에 나섰다. 다만 경찰은 정보를 삭제를 한 인물과 지시를 내린 인물을 특정하지 않았지만, 대통령의 비화폰 정보가 삭제됐다는 점에서 윗선의 개입까지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정경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