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추가혁신안 놓고 정면충돌
의총 열었지만 정치적 셈법 엇갈려
친윤계 중심 "金사퇴" 압박 목소리
친한계 "새 지도부 구성까지 유임"
끝내 결론 못 내려 10일 추가 논의
의원총회 연 국민의힘 대선 패배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국민의힘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당 수습방안 등을 논의했다. 거취 논란이 일고 있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앞줄 왼쪽)과 사퇴를 선언한 권성동 원내대표(앞줄 오른쪽)가 의총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6·3 대선 패배의 후유증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열을 재정비하고, 고강도 혁신을 통해 거듭나겠다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추가 혁신안을 놓고 제세력간 정치적 셈법이 엇갈리고 김 위원장의 거취를 놓고서도 계파간 정면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9일 오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김 비대위원장의 거취를 비롯해 당 쇄신안 등을 놓고 친윤계 및 친한계, 소장파 의원들간 정치적 이해관계가 엇갈린 채 난상토론을 벌였지만 이렇다 할 수습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선 패배 이후 당을 추스리기 위한 강도높은 혁신안을 내놓은 김 비대위원장이 당이 안정화될 때까지 당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는 친한계 입장과, 6·3 대선패배 책임을 지고 물러난 뒤 새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는 친윤계 입장이 부딪치는 형국이다.
국민의힘 내부가 김 비대위원장 '사퇴파'와 '유임파'로 나뉘어 분화되는 모양새다. 의총에서 친윤계를 중심으로 김 비대위원장을 비토하는 목소리를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최다선(6선) 의원이자 친한계로 분류되는 조경태 의원은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친윤 성향 의원들은 김 비대위원장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냈다. 빨리 물러나라는 말씀도 있었다"고 전했다. 친윤계에선 김 비대위원장이 대선 후반을 이끌었던 인물이었던 만큼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다음 새로운 비대위 체제의 지도부를 꾸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만약 김 비대위원장이 사퇴한다면 오는 16일 선출되는 새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지명하게 된다.
친한계가 다수 포함된 '유임파' 의원들은 김 비대위원장의 쇄신 드라이브에 힘을 싣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김 비대위원장의 혁신안은 우리 당을 살리고 지방선거를 대비할 수 있는 혁신안"이라며 "임기를 새 지도부가 구성될 때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내란당이라는 오명에서 조금이라도 벗을 수 있는 태도"라고 부연했다.
또 김 비대위원장의 쇄신안 중 △9월초 전당대회 개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주요 당직자 비상계엄 옹호 시 윤리위원회 회부 및 징계 요청 △김문수-한덕수 대선 후보 교체 과정 진상 규명 등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다.
소장파인 김재섭 의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내 계파 갈등이 완벽하게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 비대위원장의 말대로 9월에)전당대회를 치르면 당내 반목이 심해질 수 있다"며 12월 전대 개최를 주장했다.
한 당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못해 대선에서 패배했다는 평가는 가능해도 당론 무효화라는 과정은 적절하지 않다"며 "비상계엄 옹호의 기준도 모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단일화 과정에 대한 당무감사에 대해서도 김 비대위원장에 권한이 없다는 반박도 나왔다.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은 전날 SNS에 "단일화 과정의 적법성은 법원도 분명하게 인정했다"며 "제가 사퇴한 것도 단일화 실패를 책임지는 차원에서 한 것이지 단일화의 불법 부당성을 인정한 것이 결코 아니다"고 주장했다. 4선인 박덕흠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당대표 선거는 가급적 빨리 열어야 한다"면서도 "(의총에서) 당무감사 반대는 엄청나다. 거의 다 잘못됐다고 하고 있다"고 전했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