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음료섭취량 4년간 23%↑
청소년 당 과잉 섭취 비중 높아
우리 국민의 음료 섭취량이 무가당 커피와 탄산음료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질병관리청의 '2019~2023년 국민 음료 섭취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74.6g으로 2019년(223.5g) 대비 약 23% 증가했다. 특히 30대는 하루 평균 415.3g의 음료를 섭취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았다. 남성(300.0g)이 여성(247.2g)보다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 종류별로는 무가당 커피(112.1g)가 가장 많이 섭취됐으며, 탄산음료(48.9g)가 그 뒤를 이었다.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탄산음료는 섭취량이 증가했지만 당이 포함된 일반 탄산음료 섭취량은 줄었다.
그러나 청소년과 20~30대는 여전히 가당 음료 섭취 비중이 높았다.
특히 청소년은 탄산음료를 가장 많이 마시는 연령대로, 음료로 인한 당 과잉 섭취자 비율도 높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청소년기 가당 음료 섭취는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이며,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학교와 가정, 사회 전반에서 가당 음료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성인의 경우 저칼로리 음료나 무가당 커피 섭취 증가로 당 섭취량이 줄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수분 보충 수단으로는 물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