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파산을 피하기 위해 인가 전 인수합병(M&A)에 나선다. 소유주 MBK파트너스가 회사 매각을 위해 지분 2조5000억원을 포기하기로 하면서 홈플러스 새주인 찾기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에 관심을 가질 잠재적 인수 후보자로는 네이버, GS그룹, 한화그룹 등 유통 관련 대기업들이 주로 거론된다. 또 전자상거래(이커머스) 강자인 쿠팡과 중국의 알리익스프레스도 홈플러스 M&A에 참여할 공산이 있는 곳으로 예측된다.
홈플러스 최대주주의 후보군을 놓고 시장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는 2015년 바이아웃(재매각 목적 기업인수)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인수했지만 유통업계 불황 등 악재가 겹치며 10년째 기업 매각에 실패했다. 홈플러스는 계속된 경영난에 최근 청산이 더 타당하다는 진단까지 받았다.
이 때문에 MBK는 마지막 돌파구로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택했고 종전 지분을 무상 소각하고 매각가를 최대한 낮춰 M&A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로 했다. 홈플러스의 몸값은 수조원으로 추정됐으나 이번 M&A에선 1조원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MBK와 홈플러스는 지난 13일 회생법원에 인가 전 M&A 승인을 요청했고, 이르면 다음주께 결과를 통보받을 것으로 보인다. 인가 전 M&A는 종전 지분(구주)을 매각하지 않고 신주를 발행해 이를 인수자가 사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MBK는 자사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원어치를 전량 무상으로 소각하기로 했다. MBK가 홈플러스 지분을 포기하면 매물이 대폭 '경량화'되고, 이에 따라 새 인수자와 협상에 따라 매각가가 1조원 밑으로 내려갈 여지가 생길 것이란 게 시장의 예상이다.
인수 기업 입장에선 몸값이 '저평가' 수준으로 가벼워진 데다, 대형마트 126곳, 기업형슈퍼마켓(SSM) 308곳에 달하는 전국적 네트워크를 갖춘 홈플러스가 온·오프라인 유통 경쟁력 강화에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홈플러스가 진행한 임대료 협상도 M&A에 '플러스' 요인으로 꼽힌다. 임대료를 줄이면 고정 지출이 낮아져 그만큼 보유 부담을 덜기 때문이다. 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최근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임차료 조정 결과 11개 점포의 연간 임차료가 614억원에서 455억원으로 줄어드는 등 건물주별로 10∼50% 인하에 합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