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땐 어떻게 대처해야 현명한거냐?"
오픈 1년차 카페 사장이 올린 글 공분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파이낸셜뉴스] 카페에서 30분째 주문도 없이 자리를 지키고 앉아 있는 손님의 뻔뻔한 태도가 온라인에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카페는 쉬라고 있는거 아녜요?" 당당한 손님
지난 16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카페 오픈 1년 차라고 밝힌 사장이 자신의 매장에서 경험했다며 황당 사연을 올렸다.
A씨는 "주문을 안 하고 앉아만 계시는 손님. 카페 오픈한 지 1년 차, 이런 손님은 처음"이라며 글을 시작했다.
이어 "한 손님이 30분째 주문을 안 하시길래 조심스레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있냐'고 여쭤봤다. 설마 하는 마음 반, 누구 기다리시면 물이라도 한잔 드릴까 했다"는 글도 덧붙였다.
예상치 못한 답이 돌아왔다.
이 손님은 "그냥 쉬는 건데요"라고 반문한 뒤 "쉬라고 있는 게 카페 아니냐. 스타벅스는 아무 말도 안 하던데"라는 말을 했다고 A씨는 전했다.
그러면서 A씨는 "예상치 못한 대답에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이런 경우는 어떻게 대처하는 게 현명한 거냐"고 토로했다.
"쉬는 건 집에 가서해라" 뻔뻔한 태도에 네티즌 공분
해당 글을 본 네티즌들은 "스벅은 진짜 걍 있어두 되냐"는 질문부터 "쉬고 싶으면 집에 가지", "내버려두면 다음날 노트북 들고 올 듯", "저런 경우는 말해줘도 못 알아듣는다"는 등 손님의 태도를 지적하는 목소리를 내놨다. 또 "퇴거 요청 후 영업 방해로 신고하라", "카페는 장사하는 곳이라는 걸 알려줘라" 등 대응법을 전하기도 했다.
막무가내 손님의 주장과 달리 최근 스타벅스도 자리를 차지하는 손님들이 많아지면서 정책을 바꾸고 있다는 소식을 공유한 사람도 있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찾아보니 미국 얘기지만, 최근에 (스타벅스) 정책이 달라졌다고 한다. 진상들이 많아지니까 바뀌는 듯"이라는 글을 올렸다.
진상고객 늘자... 스타벅스도 영업정책 바뀌는 중
지난 1월 뉴욕타임스 등 미국 언론은 스타벅스가 고객이 매장에 머물거나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구매를 해야 한다는 주요 정책 변경을 발표했다고 전한 바 있다. 당시 스타벅스는 영업 방해 행위를 방지하고 직원과 유료 고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에도 목적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 일부 스타벅스 매장에서도 30분 이상 좌석을 비울 경우 자리를 정리하는 상황이 생겨났다.
지난 4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서울의 한 스타벅스 매장은 "30분 이상 좌석을 비우실 경우 파트너가 자리를 정리할 수 있다"는 문구가 적힌 안내문을 부착하기도 했다.
다만 스타벅스는 본사 정책이 아니라고 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