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조립 현장. 섹터 모듈이 토카막 피트(Tokamak Pit) 안으로 내려지는 모습. 뉴스1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국제기구와 ITER 한국사업단이 19일 오전 7시(현지시간) 프랑스 카다라쉬에서 ITER 전원공급장치 공급분(2차)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ITER에 전원공급장치 1차 조달을 완료했으며, ITER 사업 일정 변경에 따라 전원공급장치 증설이 필요하게 되면서 52M€(약 820억원) 규모의 전원공급장치를 추가로 수주하게 됐다.
ITER 전원공급장치는 총 48개의 초전도코일(TF 18개, CS 6개, PF 6개, CC 18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다. 플라즈마 발생 및 가열과 플라즈마 위치 및 형상 제어, 자기장 오차 교정, 플라즈마 종료(소멸)까지의 전 과정에서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핵융합에너지 발생을 위한 핵심 장치다.
이번 수주로 총 7년 6개월간의 일정에 따라 ITER에 전원공급장치를 조달할 예정이다. 특히 1차 조달에 참여한 국내 기업이 조달에 재참여해 관련 기술의 설계·제작·운영 역량이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국내외 핵융합 프로젝트 및 차세대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이어 지난 6월 12일(현지시간 12시)에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수주가 확정된 고전압 전원장치(56M€, 880억원)와 SDS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장치(11M€, 170억원)에 대한 업무협약도 7월 중에 ITER 기구에서 체결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2007년부터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핵융합로 건설에 쓰이는 9개의 핵심 부품·장비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논문게재 721건, 특허 출원 61건, 특허 등록 52건 등 핵심기술을 확보중이며, ITER 기구 및 다른 참여국으로부터 약 1조원(9672억원) 규모의 수주 실적을 달성해 국내 핵융합 산업생태계 활성화와 우리기업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정택렬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이번 수주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ITER 전원공급장치 분야에서 축적해 온 고도화된 설계·제작 기술과 시스템 통합 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확대해 나가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핵심 기술에 대한 주도권 확보는 물론, 전문 인력 양성과 국제협력 강화를 통해 국내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핵융합 기술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