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울산본부를 비롯해 전국공무원노조 소방본부 울산지부, 전국교직원노조 울산지부, 울산교사노조, 울산시 교육청공무원노조, 울산시 교육청 일반직공무원노조가 19일 울산시청에서 올해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지역 공무원과 교원들이 정부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울산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19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전국 동시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투위는 코로나 이후 수년째 고물가, 고금리 사대를 살아가고 있다며 공무원·교원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임금 6.6%를 인상하라고 요구했다.
공투위는 "공무원 임금은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2023년 기준 83.1%까지 하락했다"라며 "100인 이상 민간사업장 대비 100%에 도달하도록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집행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기본급 인상과 함께 공무원·교원 하위직 처우개선을 위해 정액급식비 3만 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000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 감액률 인상, 명절휴가비·정근수당 인상을 요구했다.
또 공무원의 초과근무 수당 단가는 근로기준법의 40% 수준이라며 초과근무 수당 단가의 감액조정률을 55%에서 60%로 인상을 요구했다.
공투위는 "OECD 평균 인건비 비중이 10.7%인 것에 비해 우리나라 정부 총지출 대비 공무원 인건비 비중은 2018년 8.3%에서 올해 6.9%까지 축소됐다"라며 새로운 정부가 공공행정과 공공부문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투위 한 공무원은 "내란 청산을 넘어 사회 대개혁을 요구하는 시점에 노동자가 일한 만큼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라며 "생존권 보장이라는 절박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라고 말했다.
한편 공투위에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울산본부를 비롯해 전국공무원노조 소방본부 울산지부, 전국교직원노조 울산지부, 울산교사노조, 울산시 교육청공무원노조, 울산시 교육청 일반직공무원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