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국내 증시의 저평가 매력이 상당 부분 희석됐다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달 국내 증시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단숨에 3000선을 회복하자 밸류에이션 매력이 다소 옅어졌다는 설명이다.
염동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역사적인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을 살펴보면, 8배가 저점 근처이며 12배가 고점에 해당한다"며 "코스피 3100선에서 PER은 10.5배로 고평가를 논한 수준은 아니나, 저평가 매력이 제한적인 상태"라고 진단했다.
이어 염 연구원은 "물론 글로벌 주요 지역 대비 할인율은 여전히 존재하나 이익의 중복 반영, 낮은 성장률과 ROE(자기자본이익률), 배당 성향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태"라며 "7월 초 예정된 삼성전자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2·4분기 이익추정치가 하향 조정되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고 짚었다.
수급 측면에서 외국인의 매수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다. 이달 주요 투자 주체들의 수급을 살펴보면 기관과 개인이 순매도하는 동안 외국인은 강한 순매수를 기록했다.
염 연구원은 "외국인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국내 주식을 약 43조원 순매도했으며, 지난 5월부터 순매수로 전환했음에도 누적 순매수 대금은 8조원에 불과하다"며 "과거 외국인 지분율의 저점이 30% 내외였으나, 현재도 31.9% 수준으로 추가적인 외국인 자금 유입 여지를 기대해볼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환경에 염 연구원은 순환매를 준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6월 강세장에서도 밸류에이션이 크게 확장되지 않고,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는 업종을 찾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염 연구원은 "외국인의 지분율이 낮으면서, 4월 이후 강세 국면에서 외국인 지분율이 늘어나지 않은 종목. 이에 더해 밸류에이션 확장 역시 나타나지 않은 업종은 '헬스케어'"라며 "PER 레벨 자체가 다른 업종 대비 높다는 단점은 존재하나 상승장에서 소외됐던 점을 고려하면 코스피 레벨의 부담이 있는 현재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