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만료를 하루 앞둔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 등을 촉구하며 철야농성 중인 나경원 의원(왼쪽 두번째)을 찾아 대화하고 있다. 뉴스1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임기만료를 하루 앞둔 29일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한 특별검사법 반대 당론에 대해 사과했다. 임기만료를 앞둔 상황에서 당의 아킬레스건에 대한 자성론을 펼쳐 차기 당권 도전 의사를 내비친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채해병 사건이 22대 총선 참패 원인 중 하나이고 진상규명이 필요했음에도 특검법을 당론 반대한 것에 대해 사과의사를 표명했다. 채해병 특검법은 지난 21대국회에서부터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고, 재표결에선 국민의힘의 반대로 부결됐다.
이후 국민의힘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를 지켜보자는 입장을 폈고, 대선에서 패배했음에도 채해병 특검법 표결에 불참하는 당론을 채택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당론관련 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당론을 정할 때 권력자에 종속되지 않고 당원주권, 유권자 지향, 국회의원 자율성이라는 3원칙이 존중되도록 제도화 돼야 한다"며 범지지층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활성화를 제안하면서 " 당론에 대한 국회의원의 선택권을 존중해, 당론이 의원을 억압하는 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앞서 김 비대위원장의 5대 개혁안 중 하나로 제시한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와 연계된다.
임기만료에도 잇따른 소신발언과 관련, 김 비대위원장이 차기 당권 경쟁에 뛰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동안 소신 발언을 이어오면서 일부 친윤계와 소장 및 개혁파 의원, 원외 인사들까지 어느 정도 지지 세력이 조성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김 비대위원장 본인은 당권 도전 의사가 없다고 손사래쳤다.
uknow@fnnews.com 김윤호 이해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