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전기차 배터리 손상 사고의 90% 이상이 도로 위 돌출물 등과 부딪히는 등 차량 단독 사고인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삼성화재에 접수된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 405건을 분석한 결과, 차량 단독 사고가 370건으로 91.4%를 차지했다. 다른 차와 충돌한 사고의 경우 8.6%에 불과했다.
차량단독 사고 내 유형을 살펴보면, 다른 물체와의 접촉·충돌이 약 91%로 가장 많았고, 이외 자연재해·화재, 도로이탈 등에 의해 발생했다.
충돌한 물체의 종류로는 △도로상 돌출물·낙하물 42% △방지턱·연석·경계석 24% △맨홀·배수구 덮개 11% 순이었다. 도로상 돌출물·낙하물 중 돌멩이가 30.8%로 비중이 가장 컸다.
사고 당시에는 배터리에 이상이 없었다가 1주일 이상 경과한 후 배터리 손상을 발견, 접수하는 비율이 전체 사고의 23.7%를 차지했다.
차량단독 사고를 대상으로 사고차량의 차종별 점유율 분석 결과, 화물차가 59.5%를 차지했다. 화물차의 경우 배터리가 차량 외부에 노출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승용차도 지상고가 낮은 세단형이 스포츠유틸리티 차(SUV)형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수도권·광역시 대비 상대적으로 도로환경이 열악한 지방 도로에서의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가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접수 시기로 보면 여름철이 전체 사고의 약 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28.9%), 겨울(22.7%), 봄(18.4%) 순이었다.
박원필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전기차 운전자들은 본격적인 여름철에 대비해 주행 중 배터리 부위에 큰 충격을 감지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차량점검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며 "조기에 발견할수록 손상 범위·정도에 따라 손상된 부속품만 부분적으로도 수리가 가능하다"고 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