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 조승래 대변인이 6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에서 모두의 광장 AI 기능 탑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국민 소통 플랫폼인 '모두의 광장'에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해 행정 효율성을 높였다고 6일 밝혔다. 아울러 운영 기한이 오는 8월 중순까지 예정돼 있지만 국정과제 정리 작업을 조속히 마무리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조승래 국정기획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번에 '모두의 광장'에 탑재되는 AI기능은 자동 분류, 멀티 모달(Multi-modal),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며 "AI를 통해 국민 편의와 행정 효율성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18일 개통한 '모두의 광장' 플랫폼에는 이날까지 총 5000여건의 정책 제안과 60만여건의 민원이 접수됐다. 국정기획위에 따르면 이번 AI 기능 도입으로 모두의 광장 플랫폼에서 텍스트 이외에도 음성이나 이미지를 통해 정책 제안을 작성할 수 있게 됐다. 또 국민 제안을 기존에 수작업으로 분류했지만 앞으로는 AI가 이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소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됐다.
우제원 국정기획위 행정위원은 "AI가 기존에 접수된 제안을 유사도 순으로 분류하고, 접수된 제안을 각 부처에 맞게끔 분류해 수작업에 필요한 노력을 덜 수 있게끔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기획위는 당초 예정된 8월 중순 활동 기한보다 앞서 국정과제 정리 작업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 대변인은 "8월 14일이 활동 기한이지만 그보다 훨씬 더 빨리 마무리 짓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국정 비전, 목표, 전략, 추진전략을 세우고 동시에 세부 실천과제를 정리하며 재정 계획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정기획위는 개헌운동 단체인 '국민주도개헌 상생행동'과 간담회를 열었다. 조 대변인은 "개헌 주체는 국민이 돼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며 "이미 대통령도 5·18 기념식 등에서 개헌 의지를 밝힌 만큼, 공약이 구체화돼 있어 세부 정리보다는 개헌 추진 시기와 절차가 핵심 논의 사항"이라고 말했다.
전날 진행된 규제합리화 태스크포스(TF)에서는 경제 형벌 완화 관련 논의가 이뤄졌다. 이에 대해 조 대변인은 "국민 생명과 안전에 필요한 규제는 유지하되, 신산업 분야는 인센티브 방식으로 규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형벌 중심의 규제보다는 시장 친화적 방식이 새로운 산업을 키우는 데 유리하다는 판단"이라며 "구체적인 사례와 방향은 추가 논의를 거쳐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