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기업 스마트화 혁신법 제정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도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중소기업 중심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한 후보자는 1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민간에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중소·벤처·소상공인의 성장 기반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후보자는 "중소기업이 인공지능(AI) 생태계의 주역이 되도록 하겠다"며 "많은 스타트업들이 제조 AI 사업에 도전해 제조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 제조 혁신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제조기업의 스마트화, 제조 솔루션기업 육성, 제조데이터 기반 인프라 구축 근거를 담은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법'을 국회와 협의를 통해 제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완화과 디지털 전환도 약속했다. 내수를 활성화하는 한편 폐업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사업 정리, 재취업 교육 등 회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중기부 장관으로서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에도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불공정 거래나 기술 탈취로 피해 받은 기업들을 구제하고 납품대금 연동제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벤처 투자 활성화 구상도 밝혔다. 한 후보자는 현재 국내 벤처 투자 시장에 대해 "스케일업 된 상태에서 한 1조원의 가치가 있는 회사가 됐을 때 국내에서 투자를 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고, 엑시트할 만한 툴도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 후보자는 "AI 스타트업의 경우 규제가 풀린다면 지방에 가서도 창업을 할 의사가 있다는 얘기를 한다"며 "AI기본법이 제정됐지만 데이터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고, 지역 펀드 조성이나 인재 확보 등의 부분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벤처투자 시장에 민간, 해외 자금이 활발히 유입되도록 모태펀드의 플랫폼 기능을 강화하고, 글로벌 벤처 투자자의 국내 유입도 촉진하겠다는 것이 한 후보자의 계획이다.
장관 임명 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수합병(M&A) 활성화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한 후보자는 "M&A 시장이 활성화돼야 투자 액션이 가능하다"며 "기업 인수 관련 세제나 정책적 지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tand@fnnews.com 서지윤 최혜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