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이병헌 교수 “IPO만으론 한계…M&A 생태계 키워야 스타트업이 산다”[제15회 강소기업포럼]

이병헌 광운대 경영학과 교수 美 벤처 회수 95% M&A...韓, 여전히 IPO 중심 M&A 위해선 충분한 사전 탐색 거치고 문화 개선해야 PMI도 시간 두고 해야...MBO 위해선 인센티브 설계 필요 "M&A 전문 중개할 특화 기업 육성" 강조

이병헌 교수 “IPO만으론 한계…M&A 생태계 키워야 스타트업이 산다”[제15회 강소기업포럼]
제15회 대한민국 강소기업포럼이 파이낸셜뉴스 주최로 16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강소기업 생존 키워드 M&A'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병헌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스타트업의 출구전략이 기업공개(IPO)에만 기대는 건 위험합니다. 인수합병(M&A)이 더 활성화돼야 생태계가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이병헌 광운대 교수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15회 대한민국 강소기업포럼'에서 “벤처·스타트업의 생존 전략으로 M&A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벤처 회수의 95%가 M&A인 반면, 우리는 여전히 IPO 중심”이라며 “제도적·문화적 제약이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 현장에서 겪은 문제로는 ‘신뢰 부족’을 첫손에 꼽았다. 이 교수는 “M&A는 결국 사람 간 신뢰에서 시작된다"며 “사전에 충분한 탐색과 관계 구축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 사회의 수직적 조직문화가 통합을 가로막는다”며 “누가 사장이냐를 두고 충돌하는 구조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기업 중심의 M&A 실패 요인도 지적했다. 그는 “스타트업 가치를 과소평가하고, 인수를 싸게 하려는 평가체계가 문제”라며 “오너 중심 의사결정, 짧은 임원 임기도 장기 전략을 어렵게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수 후 간섭이 심하면 핵심 인력이 이탈한다"며 “합병 후 통합(PMI)은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해야 한다. 위계적 문화로 덮으면 실패한다”고 말했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합병, 경영권 인수(MBO) 등 다양한 전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SPAC 매각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회사에 한정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일반 투자자 피해가 생긴다”며 "MBO는 재무적 투자자(FI) 유치뿐 아니라, 임직원에게 무상지분 등 인센티브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끝으로 그는 “사모펀드(PEF)는 대형 딜만 다루기 때문에, 200억~300억원대 거래를 전문 중개할 M&A 특화 기업이 필요하다”며 “모태펀드·정책금융 중심의 M&A 펀드 확대, 임직원 승계 시 세제혜택 부여, 대기업 계열사 편입 유예 확대 등 다층적 제도 정비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