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시장(앞줄 왼쪽 여섯번째)이 17일 부산상공회의소 2층 상의홀에서 '부산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달성'을 기념해 지역을 대표하는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축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부산지역 상용근로자 수가 지난 6월 말 기준 100만명을 돌파했다.
부산시는 17일 오전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이를 기념하고, 지역 기업과 고용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2025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 수는 100만 3000명을 기록,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6만 3000명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 규모다. 부산은 전국 특광역시 중 상용근로자가 가장 많이 늘었다.
일반적으로 상용근로자는 4대 보험의 혜택을 받고 1년 이상 고용계약이 예상되는 근로자로 일용직 등에 비해 안정적인 일자리로 평가받는다.
상용근로자 수가 늘어난 이유로는 지역 주력 산업인 조선기자재업이 호황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국적으로는 제조업 종사자가 줄어들고 있지만 부산은 24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2000명이 오히려 늘었다.
이런 상용근로자 증가에 힘입어 부산의 15세 이상 고용률은 59.0%, 15~64세 고용률 68.5%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취업자 수는 1만 5000명 증가했고 상용근로자를 포함한 임금근로자는 5만 1000명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3만 6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그동안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낮은 제조업 비중, 높은 자영업자 비율 등으로 상용근로자 수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지만 최근에는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며 증가 폭도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상용근로자 100만 시대 달성을 기념해 제조업, 투자기업, 고용우수기업, 청끌기업 등 지역 고용 창출과 산업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한 기업인 40여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고용·산업 전략을 논의했다.
이어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 시가 추진하고 있는 부산 디지털 혁신아카데미 운영,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일자리 지원 시책 등을 소개하고 향후 민간 투자유치 확대, 센텀2 도시첨단산단 조성,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고용시장 활성화와 지역 경제 도약을 위한 지역 맞춤형 시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박 시장은 "현장에서 묵묵히 땀 흘리며 100만 상용근로자 시대를 함께 열어주신 시민, 지역 기업들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모든 구직자가 상용근로자가 돼 좀 더 안정적인 삶의 기반 위에서 각자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응원하며 청년들에게 꿈과 기회가 열리는 상용근로자 150만 시대, 일자리 도시 부산을 목표로 더 열심히 뛰겠다"라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