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집중호우 대응 중대본 회의 개최...위기경보 '심각' 발령

대피명령 검토 권고...범정부 총력 대응

집중호우 대응 중대본 회의 개최...위기경보 '심각' 발령
17일 대구 북구 노곡동 노곡분소 일대에 동네에 침수가 발생해 관계 당국이 안전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대구 북구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17일 오후 3시 30분 집중호우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했다. 김민재 본부장은 "‘전국적 호우 긴급 대응에 만전을 기해달라’는 대통령 말씀에 따라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를 갖춰 집중호우에 대응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풍수해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3단계를 가동한다. 부처와 유관기관의 비상대응태세는 최고 수준으로 상향한다.

중대본 근무자를 증원하는 한 편, 가용경찰력·장비를 총력 지원하고 부처별 재난상황실도 확대 운영에 들어간다. 중대본 3단계는 지난 2022년과 2023년 태풍과 호우 각 1회씩 총 4회가 가동된 바 있다.

행정안전부 국·과장급으로 구성된 현장상황관리관은 전국에 급파된다. 집중호우 기간 중앙과 지방의 유기적인 협조를 공고히 하고, 실시간으로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다.

이미 300∼400㎜ 수준의 선행 강수가 내린 상황에서 오는 20일까지 최대 300㎜의 추가 강수가 예보됐다.
정부는 보다 신속한 통제와 선제적인 대피에 중점을 두고 정부는 가능한 최고 수준으로 총력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선행강수가 많은 지역은 지자체장의 대피명령 권한 행사를 권고하고, 주민 대피와 보호에 소요되는 비용은 중앙에서 적극 지원한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정부는 집중호우 상황에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집중호우 시 외출을 삼가고, 저지대·하천변·산사태 위험지역 등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접근을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