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지주 "초고령사회 공략"… 너도나도 요양산업 출사표

도심형 요양시설·데이케어센터 설립
생명보험업권 미래 먹거리로 '주목'
토지·건물 소유제한 등은 투자 걸림돌

금융지주들이 요양산업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요양산업에서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는 것이다.

1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요 금융지주는 생명보험 자회사를 중심으로 요양산업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가장 먼저 요양산업에 진출한 곳은 KB금융지주다. 지난 2016년 설립한 KB골든라이프케어는 도심형 프리미엄 요양시설과 데이케어센터를 연달아 열고 있다. 신한금융지주도 지난해 경기 분당에 데이케어센터를 오픈한데 이어 올해는 경기 하남 미사에 도심형 요양시설 개소를 준비 중이다.

하나금융지주 계열 하나생명은 지난달 요양 관련 자회사 하나더넥스트라이프케어를 출범했다. 현재 경기 고양에 요양시설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동양·ABL생명을 자회사로 편입한 우리금융지주 역시 요양산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생명보험업권의 미래 먹거리에 대한 고민이 큰 가운데 금융지주 계열사는 요양산업으로 방향을 정한 모습"이라며 "초기 투자비용이 크지만 고령자·유병자 특화 보험상품과 돌봄 연계 금융서비스, 보험금 청구권 신탁 등을 통한 사업 확장과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일본 보험사의 요양산업 진출과 유사한 모습이다. 일본에서는 생보사가 운영하는 요양시설이 장기입소·재가돌봄·시니어주거 등을 통해 안정적 현금흐름을 창출하며, 본업(보험)과 시너지를 내고 있다. 일본 대형 보험사의 실버타운 사업은 운영 마진율이 10~15%에 달하고, 일부는 자산운용으로 얻는 수익보다 높은 장기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른바 '규제의 벽'이 존재해 당장 일본과 같은 수익을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국내 장기요양 시장은 영세사업자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민간 사업자의 토지·건물 소유제한 등으로 초기 투자 부담도 크다. 서비스 제공 주택 등 복합형 요양모델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법령 정비와 재정적 지원 없이는 민간자본의 본격 참여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에서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제도개선의 목소리가 나온다. 보험연구원이 지난 14일 개최한 '보험산업 정책 대토론회'에서도 "중산층 고령자의 경제적 능력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주택공급을 통해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관련 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한다"는 언급이 있었다.

예병정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