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신재생 에너지 글로벌경쟁력 확보 총력..외교부, 민관협력 나서

신재생 에너지 글로벌경쟁력 확보 총력..외교부, 민관협력 나서
외교부는 18일 '글로벌 에너지 외교와 민관협력: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인프라 확대'를 주제로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외교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급변하는 경제안보 환경 속에서 국내 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의 해외 진출과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민관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국내 기업인, 전문가 등 현장의 목소리와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민관이 함께 정책과 대응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민관합동 간담회를 지속 개최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18일 '글로벌 에너지 외교와 민관협력: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인프라 확대'를 주제로 민관합동 간담회를 개최했다. 정부, 업계, 학계, 전문가 등 40여 명이 참석해 업계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고, 민관 대응 전략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미국, 중국, EU 등 주요국들이 신재생에너지와 전력 인프라 산업발전을 위해 핵심 부품 국산화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공급망 확충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명훈 두산에너빌리티 상무는 "EU, 중국 등 주요국의 풍력 시장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풍력 시장은 아직 초기 시장형성 단계"라면서 "정책적 지원과 표준제도 정비를 통한 안정적 시장 창출과 국내 풍력산업 생태계 육성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세계적인 풍력발전기 대형화와 초대형 풍력발전기 수요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설치 선박 등 인프라가 국내에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국내 시장 및 수요 여건에 적합한 투자와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권영진 효성중공업 팀장은 "AI 시대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초고압직류송전(HVDC),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전력저장장치(ESS) 등 기술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 활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해야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기술들에 대한 통합적, 전략적인 투자와 개발 전략이 필요하며 민?관이 원팀으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참석자들은 이번 민관합동 간담회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와 전력 인프라 산업이 AI·제조업·ICT·물류·조선 등 거의 모든 경제안보 핵심산업 분야에 에너지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필수 산업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김희상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은 "전세계 에너지 전환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안보 전략의 핵심축으로서 신재생에너지와 전력 인프라 산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면서 "현재 우리 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룸과 동시에 AI 등 첨단기술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망을 확보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