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싯 가능성도 2배 이상↑...지식재산硏과 KDI연구결과
산업대분류별 지식재산활동 강도 비교
[파이낸셜뉴스]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는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은 최대 17.1배, 엑싯(Exit) 가능성은 2배 이상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엑싯은 스타트업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하고 이익을 얻는 것을 말하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회수', 창업가 입장에서는 '출구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엑싯은 보통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등을 통해 이뤄진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수행한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99년~2025년 동안 2,615개 스타트업의 투자 정보와 특허·상표 출원 데이터를 분석, 지식재산 활동이 스타트업의 자금조달과 엑싯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면 자금조달 가능성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소 1.7배 높았다.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가능성이 시드단계에서 1.7배, 초기단계에서 3.1배, 후기단계에서는 최대 6.3배까지 후기단계로 갈수록 점차 증가했다.
스타트업이 후기단계에서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국내에서 해외까지 확대하는 경우에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7.1배까지 커졌다.
스타트업이 확보하려고 하는 지식재산의 종류도 자금조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이 후기단계에서 특허 출원과 상표 출원 활동을 함께 선행하는 경우에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9배까지 높아졌다.
또한, 스타트업의 특허·상표 출원 규모가 자금조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 후기단계에서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하는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무려 17.1배까지 상승했다.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하는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는 엑싯 가능성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트업이 국내외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하는 경우에는 엑싯 가능성이 최대 5.9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유럽처럼 국내에서도 지식재산이 스타트업에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된 만큼, 정부도 스타트업에 자금뿐만 아니라 지식재산전략을 함께 지원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스타트업의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스타트업이 지식재산권을 통해 혁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