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경상·충청·강원권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여객선과 항공기 결항이 잇따랐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백령∼인천, 녹동∼제주, 울릉∼포항 등 30개 항로에서 여객선 41척의 운항이 중단됐다. 항공편도 김포공항 3편과 여수공항 1편 등 모두 4편이 결항했다. 도로는 강원 3곳과 충북 1곳, 경북 6곳이 통제됐으며 설악산·오대산 등 국립공원 10곳의 207개 탐방로도 이용이 불가능했다. 소방 당국은 차량고립 구조 4건과 교통사고 구급 11건 등 총 131건의 소방 활동을 펼쳤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경북 울진군과 충북 영동군에선 7세대 7명이 사전 대피했다. 시설물 피해도 이어졌다. 경북과 강원에서 비닐하우스 7건, 축사 1건, 인삼재배시설 3건 등 모두 11건의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다. 기상청은 현재 경상·충청·강원권 등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상태이며 오전에 수도권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강원 산지와 동해안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이날 밤까지 강수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됐다. 행정안전부는 전날 오전 2시부터 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한 바 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3-04 09:35:41[파이낸셜뉴스] 강원과 충청, 경상 등 지역에 폭설이 쏟아지면서 여객선 76척과 항공기 11편이 결항했다. 3일 오후 6시 기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대설 대처 상황 보고에 따르면 백령∼인천, 녹동∼제주, 울릉∼포항 등 57개 항로에서 여객선 76척의 운항이 중단됐다. 항공기는 김포공항 2편과 제주공항 4편 등 모두 11편이 결항했다. 도로는 강원 3곳과 충북 1곳, 경북 6곳이 통제됐다. 설악산과 오대산 등 국립공원 13곳의 226개 탐방로도 폐쇄됐다. 소방 당국은 차량고립 구조 4건과 교통사고 구급 11건 등 모두 129건의 소방 활동을 펼쳤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경북 울진군과 봉화군에선 7세대 8명이 사전 대피했다. 시설 피해의 경우 경북에서 비닐하우스 4건, 축사 1건, 인삼재배시설 2건 등 모두 7건이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강설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4일 새벽부터 강원·충청·경상권을 중심으로 다시 눈이나 비가 내리기 시작해 오전에 수도권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강원·경기·경북·충북 지역에 대설특보가 발효됨에 따라 이날 오전 2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올린 바 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25-03-03 20:58:39[파이낸셜뉴스] 강원·경기·충북·경북지역에 대설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교통대란과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목포∼홍도, 녹동, 제주 등 58개 항로에서 여객선 77척의 운항이 중단됐다. 김포공항에선 항공기 2편이 결항했다. 도로는 강원 5곳과 충북 2곳 등 7곳이 통제됐고, 설악산과 오대산 등 국립공원 12곳의 213개 탐방로도 폐쇄됐다. 소방당국은 차량고립 구조 3건과 교통사고 구급 8건 등 모두 18건의 소방활동을 펼쳤으나 집계된 피해는 없었다고 밝혔다.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에선 11세대 13명이 쌍전2리 경로당으로 사전대피했다. 특히 밤사이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50㎝에 육박하는 폭설이 쏟아진 강원도는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전날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교통사고 16건, 차량고립 5건, 낙상 4건이 발생했다. 전날 오후 11시 16분께 태백시 황지동에선 제설용 17t 트럭과 K7 승용차가 맞부딪쳐 승용차 운전자 A(44)씨와 동승자 B(46)씨가 가벼운 상처를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앞서 오후 5시 55분께 영동고속도로 둔내나들목 인근 강릉 방향 도로에선 스타렉스 승합차와 1t 봉고 트럭이 충돌해 승합차 탑승자 2명이 다쳤다.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1시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향로봉 49.6㎝, 미시령 44.1㎝, 진부령 35㎝, 속초 설악동 30.1㎝, 구룡령 29.4㎝, 대관령 20.8㎝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해안가인 고성 간성 20.6㎝, 속초 18.7㎝, 북강릉 17.8㎝의 눈이 쌓였고, 내륙은 화천 상서 21.9㎝, 양구 15.4㎝, 철원 김화 13.5㎝를 기록했다. 경기도는 가평 9.8㎝, 양평 6㎝, 이천 3.7㎝, 연천 3.4㎝, 여주 2.9㎝, 포천 2.7㎝, 양주 1.8㎝ 등 적설이 관측된 15개 시군 평균 2.4㎝의 적설량을 보였다. 용인, 이천, 여주, 가평, 양평 등 5개 시군엔 대설주의보가 발효됐다. 기온은 영하 2.2도에서 영상 3.3도 분포를 보였고, 강수량은 13~34㎜ 수준을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2시부로 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올렸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연휴기간 대설로 인한 차량 소통에 지장이 없도록 제설자재·장비를 총동원해 제설을 실시할 것"을 주문했다. 기상청은 이날 정오까지 전국적으로 비나 눈이 오겠고, 강원·전라·경상권은 밤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3일 예상 적설량은 강원 동해안·산지 20∼50㎝, 강원내륙·충북북부·경기내륙·경북내륙 5∼20㎝, 경북북동산지 10∼40㎝ 등이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2025-03-03 08:45:16[파이낸셜뉴스] 15일 오후 4시 30분 일본 삿포로에서 출발할 예정이던 인천행 에어부산 BX187편이 결항했다. 에어부산은 사전에 계획된 안전 점검을 하던 중 추가로 정비 작업해야 하는 부분이 생겨 사전 결항했다고 밝혔다. 해당 항공편의 승객 수는 202명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승객들에게 다른 항공편을 안내하고 내부 규정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불편을 드려 죄송하며 안전 운항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5-02-15 14:55:36[파이낸셜뉴스] 중부지역과 남서부권을 중심으로 대설과 거센 풍랑이 몰아치면서 8일 여객선 73척과 항공기 9편이 결항했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대설 대처 상황 보고에 따르면 동해 먼바다와 제주도 앞바다 등에 풍랑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백령∼인천, 목포∼홍도, 모슬포∼마라 등 61개 항로·여객선 73척의 운항이 멈췄다. 김포공항 1편, 김해공항 1편, 제주공항 2편, 청주공항 3편, 군산공항 1편, 광주공항 1편 등 항공기 9편도 뜨지 못했다. 도로는 충북 1곳, 충남 4곳, 전북 4곳, 전남 7곳, 경북 5곳, 경남 3곳, 제주 5곳 등 총 29곳이 통제됐다. 무등산과 지리산 등 국립공원 11곳의 220개 탐방로는 폐쇄됐다. 소방당국은 지난 4일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구조·구급 140건, 안전조치 344건, 급수 지원 1건 등 모두 485건의 소방 활동을 펼쳤으며, 집계된 피해는 없다고 전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전라권과 제주도 지역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됨에 따라 지난 4일 오전 7시 30분부로 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올린 바 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
2025-02-08 13:02:11[파이낸셜뉴스] 수도권 및 중부지역과 남서부권을 중심으로 몰아친 대설과 거센 풍랑으로 8일 여객선 73척과 항공기 9편이 결항했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대설 대처 상황 보고에 따르면 동해 먼바다와 제주도 앞바다 등에 풍랑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백령∼인천, 목포∼홍도, 모슬포∼마라 등 61개 항로·여객선 73척의 운항이 멈췄다. 김포공항 1편, 김해공항 1편, 제주공항 2편, 청주공항 3편, 군산공항 1편, 광주공항 1편 등 항공기 9편도 뜨지 못했다. 도로는 충북 1곳, 충남 4곳, 전북 4곳, 전남 7곳, 경북 5곳, 경남 3곳, 제주 5곳 등 총 29곳이 통제됐다. 무등산과 지리산 등 국립공원 11곳의 220개 탐방로는 폐쇄됐다. 소방당국은 지난 4일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구조·구급 140건, 안전조치 344건, 급수 지원 1건 등 모두 485건의 소방 활동을 펼쳤으며, 집계된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25-02-08 12:58:55[파이낸셜뉴스] 강풍을 동반한 폭설이 내린 7일 제주국제공항 항공편이 무더기 결항됐다. 2만명 넘는 이용객들은 발이 묶였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기준 항공편 302편(출발 147·도착 155)이 결항했다. 이날 운항이 예정됐던 항공편은 모두 413편(출발 208·도착 205)이다. 아직 결항하지 않은 항공편은 국내선 출발 1편과 국제선 3편(출발 2·도착 1) 등 4편이다. 다만 제주공항에 강한 눈보라가 쳐 이착륙이 쉽지 않은 데다 다른 지역 기상도 좋지 않아 운항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이날 제주공항의 순간최대풍속은 초속 31m, 최대풍속은 초속 18m를 각각 기록했다. 제주공항 측은 이날 제주에서 출발하는 예약 승객 기준으로 이용객 2만여명의 발이 묶인 것으로 추정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5-02-07 21:00:53[파이낸셜뉴스] 삼성화재가 항공기 지연 시간에 따라 정액형으로 보험금을 지급하는 '출국 항공기 지연·결항 보상 특약(지수형 항공기 지연 특약)'을 보험업계 최초로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지수형 보험은 사전에 정한 지수(Index)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구조의 상품으로, 보험금 청구가 간편하고 지급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실손형 항공기 지연 보장은 항공 지연 증명서 및 지연으로 인한 대기시간 중 발생한 비용 영수증 등 별도의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가입금액 한도 내에서 실제 손해액을 지급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삼성화재 지수형 항공기 지연 특약은 국내공항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여객기가 결항 또는 2시간 이상 출발 지연될 경우 지연 시간에 비례하여 최대 10만원(6시간 이상 지연 및 결항시)까지 정해진 보험금을 지급한다. 해당 특약은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공하는 공공데이터와 연동해 항공기 지연 또는 결항 발생시 자동으로 고객에게 알림톡을 발송하고, 안내에 따라 탑승권 사진만 업로드 하면 청구 즉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등 편의성을 높였다. 삼성화재 다이렉트 해외여행보험은 해외여행시 발생할 수 있는 상해, 질병, 도난사고, 항공기 지연에 대한 보상 등을 특약에 따라 보장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삼성화재 다이렉트 해외여행보험은 보험료가 인하되어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가입이 가능하며, 네이버페이 해외여행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에도 입점하여 고객이 타사 상품과 비교해 보고 선택할 수 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지수형 보험이 사고에 대한 빠른 대응과 복구를 위해 적극 도입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더욱 편리하게 보험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2025-02-07 13:10:35[파이낸셜뉴스] 28일 충남 보령시 대천항 대천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여객선이 풍랑주의보 등으로 모두 결항하면서 귀성객들의 고향 뱃길이 끊겼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여객선 결항 항로는 △대천~장고도 △대천~선촌 △대천~외연도 △오천~선촌 △안흥외항~가의도 △구도~고파도 △도비도~소난지도 등 7개 구간이다. 대천항 출발 여객선 결항은 풍랑주의보 때문으로 전날인 27일에도 충남 앞바다에 풍랑주의보가 발효돼 3개 항로 여객선 6편이 결항했다. 서산에서 출항하려던 여객선 3편도 풍랑주의보와 휴향 등으로 모두 결항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1-28 17:03:13[파이낸셜뉴스]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사고로, 무안항공을 오가는 국내외 항공편이 모두 결항됐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29일 오전 10시, 제주로 출발 예정이던 제주항공 7C341편 수속이 중단됐다. 오후 1시35분 제주행 진에어 LJ467편과 오후 4시50분 캄보디아항공 KR542편이 씨앰립으로 출발 예정이나 모두 결항했다. 이어 오후 8시50분 방콕으로 가는 제주항공 7C2215편과 오후 11시30분 타이페이로 가려던 진에어 LJ747편도 결항했다. 이날 오후 무안국제공항에 도착할 여객기도 모두 결항했다. 앞서 이날 오전 9시 3분께 무안공항에서 승객과 승무원 등 181명이 탑승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불이나 현재까지 28명이 사망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12-29 11:5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