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는 1인가구 비율이 36.5%에 달하는 가운데 맞춤형 지원 정책 발굴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17일까지 자치구와 가족센터 등을 대상으로 1인가구 맞춤형 지원 사업인 'Solo Together(솔로 투게더)' 세부사업 신청을 받는다.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지역 1인가구는 지난 2023년 통계청 기준 22만8970가구로, 전체 가구(62만7602가구)의 36.5%에 달한다. 광주시는 매년 급증하는 1인가구의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자치구별 1인가구 인구 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발굴해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오는 17일까지 자치구와 가족센터 등으로부터 세부사업 신청을 받아 우수사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사업은 이달 말부터 시행한다. 지난해에는 1인가구 특성화 사업으로 예산 1억4000만원을 들여 5개 자치구와 6개 세부사업을 시행했다. 동구의 경우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밑반찬, 제철요리 프로그램을 실시했고, 서구는 저소득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제과제빵, 정리수납 교육, 영양음식 제공 등을 지원했다. 청장년층을 대상으로는 요리, 신체 활동, 안전, 재무교육 등 1인가구 맞춤형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남구는 여성 1인가구를 대상으로 안전자조모임을 구성하고 호신용품 등을 지원했다. 또 취약계층 1인가구를 대상으로 요리교실도 열었다. 북구는 취약위기지역(산단 원룸촌) 중장년 1인가구에 상담, 정리·수납서비스, 요리, 집수리 교실 등을 지원했다. 광산구는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소통·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주거환경 개선 교육부터 봉사활동, 호신술, 사회 진입 삶 설계 등을 실시했다. 또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문제행동 교정 등 설루션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 7개 과정도 진행했다. 이영동 광주시 여성가족국장은 "1인가구 증가 원인은 비혼·이혼·사별, 가족생활·주거패턴 등 원인과 형태가 다양한 만큼 저소득층 위주의 정책보다는 생활패턴 등을 고려한 세심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청년부터 노년까지 인구 특성별로 수요자가 체감하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우수한 사업을 발굴해 촘촘한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3-07 17:03:51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19% 비중을 차지하면서 초고령사회 진입이 초읽기에 돌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10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973만411명, 70세 이상 인구는 631만9402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46만3121명(5.00%), 23만7614명(3.91%)씩 늘어나면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5132만5329명)의 18.96%(+0.94%p), 70세 이상 인구는 12.31%(+0.49%p)를 차지하고 있다. ■50대 이상 증가, 40대 이하는 감소 연령대별 인구 변화도 요동치고 있다. 40대 이하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50대 이상 인구는 증가하면서 노년인구 비중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50대 인구는 869만5699명(16.9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40대(15.44%), 60대(14.87%), 30대(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10대 미만(6.4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40대 이하(2867만9520명)는 전년(2934만1647명)보다 66만2127명(2.26%) 감소했으나 50대 이상(2264만5809명)은 전년(2209만7391명)보다 54만8418명(2.48%) 증가했다. 특기할 만한 것은 1인 세대 비중이 전체 세대 중 40%를 넘어섰고 이 중 70대 이상 비중이 20%로 가장 높아 '나홀로 노인'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1인 세대가 993만5600세대로 전체 세대 중에서 41.55%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컸다. 2인 세대(24.53%), 4인 이상 세대(17.07%), 3인 세대(16.85%) 순으로 나타났다. 1, 2인세대 합계는 무려 66.08%의 비중을 차지해 갈수록 1인세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1인 세대 중 70대 이상은 19.66%의 비중을 차지해 가장 높았다. 60대(18.44%), 30대(16.87%), 50대(16.45%), 20대(15.25%), 40대(12.93%), 10대 이하(0.41%) 순으로 높았다. 20~50대는 남자 1인 세대가 더 많고, 10대 이하 및 60대 이상은 여자 1인 세대가 더 많았다. ■지자체 8곳 초고령사회 진입 이미 일부 지자체는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26.10%), 경북(24.68%), 전북(24.11%), 강원(23.99%), 부산(22.63%), 충남(21.34%), 충북(20.85%), 경남(20.60%) 등 8곳은 초고령사회에 해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년과 비교할 때 충북(고령→초고령), 경남(고령→초고령) 2곳이 지난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구(19.64%), 서울(18.47%), 제주(17.94%), 대전(16.97%), 인천(16.58%), 광주(16.48%), 울산(15.92%), 경기(15.57%) 등 8곳은 고령사회, 유일하게 세종(11.01%) 1곳이 고령화사회에 해당됐다. 226개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시 지역(75개)은 고령화사회 8곳(10.67%), 고령사회 32곳(42.67%), 초고령사회 35곳(46.67%), 군 지역(82개)은 고령사회 5곳(6.10%), 초고령사회 77곳(93.90%), 구 지역(69개)은 고령화사회 5곳(7.25%), 고령사회 36곳(52.17%), 초고령사회 28곳(40.58%)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격차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1만4265명(50.69%), 비수도권 인구는 2531만1064명(49.31%)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보다 70만3201명 많았다. 지난 2019년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추월한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인구격차가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 주민등록 인구 이동률은 11.95%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시도 내 이동률(7.77%)이 시도 간 이동률(4.18%) 보다 높았다. 권역별 이동현황을 보면 수도권에서 수도권(71만9973명)으로,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4만2978명)으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5812명)으로,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6만9088명)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2024-01-10 17:5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