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일본 시마네현이 오는 22일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강행하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시마네현청 지하식당에 '다케시마 카레'가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케시마(竹島)는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이다. 시마네현이 지난 2005년 '다케시마의 날'을 만들어 2006년부터 매년 2월 22일 열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1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한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며 '다케시마 카레'의 등장 소식을 전하며 "이런다고 독도가 일본땅이 되나. 참으로 한심할 따름"이라고 꼬집었다. 서 교수는 "다케시마 카레가 20∼21일 이틀간 110인분 한정 판매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지난 몇 년간 이 카레를 꾸준히 선보인 건 지역 공무원과 시민들에게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인식을 주입하기 위한 나름의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이 카레는 독도 모양의 밥에 시마네현 오키 제도 바다에서 잡은 해산물을 넣은 카레 소스를 부어서 만들었다. 밥 위에는 다케시마를 뜻하는 죽도(竹島) 깃발이 꽂았다. 그는 "올해는 '다케시마의 날' 제정 20주년을 맞아 특별 전시회 개최, 책자 발간, 시마네현 케이블TV를 통한 방송도 계획돼 있다고 한다"며 "일본이 진정한 한일관계를 원한다면 이 행사부터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제부터라도 올바른 역사관을 갖고, 다음 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행동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2025-02-21 09:54:53[파이낸셜뉴스] 일본 시마네현이 22일 '다케시마의 날'에 맞춰 '다케시마 해양 카레'를 재출시했다. 다케시마(竹島)는 일본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한국령 독도의 명칭이다. 시마네현은 2월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해 각종 행사를 열고 있다. 시마네현은 지난 2021년에 이 카레를 처음 선보였으며 당시 독도 기념품을 만든 업자에게 개발비 절반을 지원하는 등 관제 홍보에 앞장서 왔다. 21일 산인츄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시마네현 마쓰에시에 위치한 시마네현청 지하 식당은 '다케시마 해양 카레'를 만들어 지난 20~21일 점심으로 제공했다. 20일에는 준비한 60인분이 동났다. 이 식당은 인근 오키 제도 바다에서 난 오징어 등 해산물을 넣은 카레 위에 3D 프린터까지 사용해 독도 모양으로 뭉친 밥을 얹었다. 밥 위에는 일본 국기를 꽂았다. 현 총무과 다케시마 대책실 이와사키 야스시 실장은 "오키의 지역 식재료를 사용한 카레로 다케시마가 화제에 오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23-02-22 14:32:43[파이낸셜뉴스] "일본 우익들이 제 이름으로 별의별 '쇼'를 다 하네요."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21일 전화 통화를 끝내고 보내온 짧은 문자엔 명확한 메시지와 함께 울분이 담긴 듯 했다. 울분의 원인이 된 건 네이버 프로필에 올라온 서 교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중 하나인 X(옛 트위터)였다. X계정을 누르니 이상한 화면이 나왔다. 연결된 계정은 분명 서 교수의 영문 이름을 딴 '@seokyoungduk'였지만, 사진이나 게시물은 상상도 못 한 게 올라와 있었다. 프로필은 일본에선 욱일기라 부르는 '전범기' 이미지였고 메인 사진도 일본 항공모함으로 추정되는 곳에 걸린 전범기였다. 전범기는 일본 제국주의를 상징한다. 첫 게시물 역시 유튜브 링크와 함께 "한국 정부는 1990년 다케시마를 울도군에 편입했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해당 유튜브는 게시물에 적은 내용과 동일한 영상이 '다케시마 시마네현 편입 스토리'라는 제목으로 올려져 있었다. 서 교수는 일본 시마네현이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제정한 지 20주년을 맞기 하루 전인 21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날 서 교수의 SNS 계정엔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강행하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시마네현청 지하식당에 '다케시마 카레'가 등장했다"며 "한심하다"는 내용을 올렸다. 그런 상황에서 서 교수도 알지 못하는 서 교수의 계정에 전범기와 '독도는 일본 땅'을 주장하는 게시글이 올라온 셈이다. 서 교수는 "인스타그램을 사용한 뒤로 X 계정은 몇 년 전에 아예 없앴는데, 독도 피드에 당한 거 같다"며 "그 동안 사칭한 계정들은 많았는데 이렇게 아예 내 이름으로 계정을 만든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포털 프로필을 통해 사칭한 계정으로 연결되는 점에 서 교수는 "해당 포털사에 연락해 수정을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2025-02-21 11:41:48[파이낸셜뉴스] '독도 지킴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본 시마네현 오키노시마초에서 일본식 독도 표현인 다케시마에 관한 상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1일 밝혔다. 최근 산인중앙신보의 몇 차례 보도에 따르면, 시마네현 오키노시마초는 다케시마에 관련한 특산품을 개발한 지역 업체에게 경비의 2분의 1(상한 20만엔)을 보조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반면 한국 울릉도에서는 관광 유람선이 운항하고 있으며 독도를 소재로 한 특산품이 즐비하다고 소개했다. 현재는 '다케시마 카레'나 다케시마를 포함한 오키 제도를 디자인한 술잔 등이 있을 뿐이라며 다케시마 대책실에 따르면 몇 건의 문의가 있었지만 아직 신청은 없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이러한 조치는 일본 국민들에게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의식을 높이기 위한 전형전인 꼼수전략"이라며 "이미 우리는 일상 생활속에서 독도에 관한 상품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향후 대한민국 문화 컨텐츠와 결합된 더 다양한 독도 상품을 개발해 전 세계인들에게 지속적으로 홍보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 교수는 지난 8월 시마네현이 각 종 SNS에 독도에 관한 억지 주장 광고를 올린것에 대해 정확한 역사적 팩트로 대응하는 '패러디 광고'를 제작해 국내외에 널리 알렸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2021-10-01 09:0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