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으로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과 활주로 길이 부족이 지목되며, 국토교통부와 항공당국의 안전관리 체계 전반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유사한 구조물이 다른 공항에도 설치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공항 내 안전관리 실태와 관련한 논란이 확산일로다. 2일 국토부에 따르면 콘크리트 둔덕은 무안공항뿐만 아니라 △여수공항(4m) △포항경주공항(2m) △광주공항(1.5m) 등에도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공항의 둔덕 모두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상태다. 항공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물이 비상착륙 시 충돌 위험을 높인다며 즉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활주로를 벗어난 항공기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할 가능성은 항공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며 "국토부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되지 않도록 즉시 시설개선과 설계변경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도 "해외에서는 시멘트 둔덕을 살인행위로 평가하기도 한다"며 "정부는 둔덕 철거를 포함해 공항의 안전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공항의 종단안전구역 기준 미흡도 문제로 지적된다. 종단안전구역은 항공기가 활주로를 벗어나는 상황에 대비해 활주로 끝에서 최소 90m(권고 기준 240m)를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포항경주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은 92m로 최소 기준을 간신히 충족했으며 사천공항(122m), 울산공항(200m) 등도 기준에 근접하거나 부족한 상태로 확인됐다.활주로 길이 부족 문제도 이번 사고의 주요 쟁점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대형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위해 최소 3000m 이상의 활주로를 권고하고 있지만, 무안공항의 활주로는 2800m에 불과하다. 특히 사고 당시 활주로 일부 구간이 연장공사 중이어서 실제 사용 가능한 길이는 2500m로 더 짧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는 지난 1일 전국 공항 시설에 대해 전수조사에 나섰다. 사고 당시 피해를 키운 로컬라이저의 콘크리트 둔덕에 대한 분석과 함께 해당 구조물이 국제기준에 부합했는지 철저히 검토할 계획이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1-02 18:10:47[파이낸셜뉴스] 대한항공 사내변호사로 근무했던 박상수 국민의힘 대변인이 국토교통부의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적법 설치 주장을 반박했다. 국토부가 관련 고시 이후 지난해 로컬라이저를 재설치하며 법을 어겼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박 대변인은 31일 본인의 SNS에 '여전히 의문'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국토부 보도자료에 모순되는 것으로 보이는 국토부 고시를 또 하나 알게 돼 정리해 본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전날 별도의 참고자료를 내고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재질의 로컬라이저에 대해 "규정에 맞게 설치됐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와 같이 종단안전구역 외에 설치되는 장비나 장애물에 대해서는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는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는 관련 규정에 맞게 설치됐다"고 밝혔다. 국토부 예규인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상 '공항부지에 있고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이는 착륙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적용된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박 대변인은 국토부 고시인 '공항 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1조 제4항'을 제시했다. 제4항에는 '정밀접근활주로의 경우에는 방위각제공시설(LLZ)이 설치되는 지점까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을 연장하여야 하며 비정밀 및 비계기활주로로서 도로 등 불가피한 장애물로 인하여 제1항의 규정을 충족시킬 수 없을 경우에는 해당 장애물까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을 연장하여야 한다'고 적시돼 있다. 그는 "무안공항이 정밀접근활주로라면, 로컬라이저(방위각제공시설)가 설치되는 지점까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이 연장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실제 무안공항 소개자료의 표에 따르면 항행안전시설 항목에 'ILS(CAT 1)'이라고 적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 대변인은 "결심고도와 가시범위로 정밀접근활주로인지 여부를 분류하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내법 규정상 분류는 'ILS(CAT 1)'이면 정밀접근활주로에 해당한다"라며 "그렇다면 정밀접근활주로에 해당하는 무안공항은 공항 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1조 제4항에 따라 로컬라이저까지 종단안전구역이 연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종단안전구역 밖이니 콘크리트 둔덕 구조물이 설치돼도 관련규정 위반이 아니라는 국토부 보도자료는 이 국토부 고시로 반박된다는 설명이다. 더욱이 무안공항 로컬라이저는 지난해 철거 뒤 새로 시공됐다. 하지만 국토부의 공항 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제21조 제4항 고시는 2022년 6월 21일 이후 시행됐다. 박 대변인은 "국토부 고시 이후 로컬라이저가 재설치 됐다면, 고시에 따라 설치됐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문제는 활주로 런웨이 연장선상에 콘크리트 장벽이 존재하는 것이 과연 안전한가의 문제"라며 "이러한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법규들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와 실질적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전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12-31 09:53:25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둔덕' 설계를 국토교통부가 맡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둔덕이 해당 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 조사한다고 밝힌 바 있어 조사의 공정성 여부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 30일 파이낸셜뉴스 취재내용을 종합한 결과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여객기 착륙을 돕는 안테나)를 지탱하고 있던 둔덕은 지난 2005년 국토부가 설계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05년 무안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며 서울지방항공청에서 설계를 담당했다"고 밝혔다. 서울지방항공청은 국토부 산하 기관으로 공항 시설 건설·운영 및 관리부터 조정·통제업무 등을 담당한다. 이번 여객기 추락사고를 두고 전문가와 업계에서는 로컬라이저를 지탱하고 있는 둔덕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목하고 있다. 로컬라이저를 지탱하기 위해 설치한 둔덕 속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충돌 당시 충격을 키워 폭발을 일으켰다는 주장이다. 다만 국토부는 해당 둔덕이 사고를 키웠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구조물이 사고의 규모를 키운 것인지에 대한 결론은 블랙박스와 비행기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될 것"이라며 "이 시설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사고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는 추가 조사를 통해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 다른 국내 공항에도 유사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돼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해당 시설을 설계했던 국토부가 '해당 시설이 사고 규모를 키웠는가'에 대한 조사를 직접 맡는다는 점이다.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전제되지 않는다는 우려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조사는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맡는다지만, 설계를 맡은 국토부 조사를 국토부가 중심이 된 중앙사고수습본부가 한다는 건 문제가 있다"며 "제주항공 사고 기체 조사를 제주항공이 맡는 것과 다를 게 없다"고 지적했다.hoya0222@fnnews.com 김동호 성석우 기자
2024-12-30 18:27:53[파이낸셜뉴스]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둔덕'의 설계를 국토교통부가 맡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둔덕이 해당 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 조사한다고 밝힌 바 있어, 조사의 공정성 여부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2·3면 30일 파이낸셜뉴스의 취재를 종합한 결과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여객기 착륙을 돕는 안테나)를 지탱하고 있던 둔덕은 지난 2005년 국토부가 설계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05년 무안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며 서울지방항공청에서 설계를 담당했다"고 밝혔다. 서울지방항공청은 국토부 산하 기관으로 공항시설의 건설·운영 및 관리부터 공항 운영에 관한 조정·통제업무 등을 담당한다. 이번 여객기 추락 사고를 두고 전문가와 업계에서는 로컬라이저를 지탱하고 있는 둔덕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목하고 있다. 로컬라이저를 지탱하기 위해 설치한 둔덕 속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충돌 당시 충격을 키워 폭발을 일으켰다는 주장이다. 다만 국토부는 해당 둔덕이 사고를 키웠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구조물이 사고의 규모를 키운 것인지에 대한 결론은 블랙박스와 비행 기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될 것"이라며 "이 시설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사고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는 추가 조사를 통해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 다른 국내 공항에도 유사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돼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해당 시설이 사고 규모를 키웠는가'에 대한 조사를 설계를 했던 국토부가 직접 맡는다는 점이다.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전제되지 않는다는 우려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조사는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맡는다지만, 설계를 맡은 국토부 조사를 국토부가 중심이 된 중앙사고수습본부가 한다는 건 문제가 있다"라며 "제주항공 사고 기체 조사를 제주항공이 맡는 것과 다를 게 없다"고 지적했다. 해외에서도 둔덕이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영국 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30일(현지시간) 영국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착륙 활주가 끝날 무렵 기체엔 큰 손상이 없었고,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그런데 항공기가 엄청나게 단단한 무언가에 부딪히면서 화염에 휩싸였고 그것으로 인해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분석했다. 리어마운트는 영국 공군에서 조종사이자 비행 강사로 근무했으며 영국 왕립 항공학회에서 최우수상을 두 차례 수상한 항공 문제 전문가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12-30 15:58:10[파이낸셜뉴스]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원인을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 '둔덕' 논란이 뜨겁다. 둔덕이 없었더라면 비행기가 폭발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로컬라이저'라는 항공기 착륙을 돕기 위한 계기착륙시스템은 통상 충돌 시 부서지기 쉬운 구조물로 만들지만, 무안공항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흙벽을 쌓아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30일 국토교통부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 제25조에 따르면 로컬라이저 안테나 등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공항장비와 설치물의 종류는 항공기가 충돌했을 때 최소한의 손상만을 입히도록 돼있다. 평시 구조적 통합성과 견고성을 유지하다, 그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항공기에 최소한의 위험만을 가하면서 파손·변형·구부러지게끔 설치돼야 하는 것이다. 또 이를 지원하는 시설은 부러지기 쉬운 장착대에 장착해야 한다고 적시돼 있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 착륙을 돕기 위한 역할을 하는 계기착륙시스템 일부로 사용되는 항공 항법 장비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날 무안공항 사고 브리핑을 통해 "항공기 동체가 로컬라이저에 부딪친 이후 벽면에 닿아 폭발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여객기가 외벽에 닿기 전 로컬라이저에 부딪치며 폭발이 일어났다고 보고 있다. 특히 로컬라이저 하부 둔덕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화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한 네티즌은 "외국 공항이나 다른 공항들은 부서지기 쉬운 구조물로 설계하는 반면, 무안공항은 콘크리트 둔덕 속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어서 충돌 피해가 더 컸다"라며 "외국 언론에서도 이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고 주장했다. 또 "해외에서도 흙으로 둔덕을 쌓은 경우는 있지만 가운데를 비워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둔덕은 사고의 여러 원인 중 하나일 뿐이라는 지적도 맞서고 있다. 1999년 대한항공 여객기의 포항공항 사고 당시에는 높이 1m, 길이 46m의 둔덕이 사고 피해를 줄였다는 주장도 펼치고 있다. 당시 건교부(옛 국토부) 관계자는 "둔덕이 대형 사고를 막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를 두고 둔덕이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하는 측은 "해당 사고는 랜딩기어도 잘 나왔고 뒷바퀴가 걸리면서 오히려 제동이 걸렸지만, 이번 사고는 둔덕 높이도 높고 엔진과 정면충돌하면서 화를 키웠다"고 반박했다. 이와 더불어 활주로의 정·역방향 착륙에 따른 로컬라이저 설치 여부도 논란이다. 사고 여객기가 활주로 역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며 로컬라이저와 충돌했다는 주장과, 활주로는 바람 방향에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을 수시로 바꾸는 만큼 로컬라이저 위치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사고 원인은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와 랜딩기어 미작동 등 여러 원인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사망자가 늘어난 이유로 둔덕이 거론되면서 향후 조사 결과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엔진 고장과 랜딩기어 미작동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사고"라며 "국토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다각적으로 사고 원인 조사에 착수한 만큼, 조사 결과를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12-30 07:36:41【파이낸셜뉴스 여수=황태종 기자】전남 여수시는 환경부 주관 '2021년 수소충전소 구축 국비 공모 사업'에 선정돼 둔덕동에 여수 2호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사업시행자인 수소에너지네트워크㈜는 국비 15억원을 지원받아 총 30억원으로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수소충전소를 구축한다. 여수에서는 지난해 여수국가산단에 하이넷 SPG수소충전소가 들어섰으나 원거리로 인해 시내권에서 수소차를 운행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수소충전소 고장 시 대체 충전소가 없어 수소차 보급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여수시는 수소충전소 도심권 추가 설치를 위해 부지 검토 등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접근성이 뛰어나고, 인근에 아파트나 주택 등이 없어 민원 발생 우려가 없는 둔덕동 s-oil LPG충전소(좌수영로 617) 부지를 선정했다. 시 관계자는 "2호 수소충전소는 접근성이 높고 대체 충전소로 기능할 수 있어 수소차 보급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자총회(COP28) 유치기원 중심도시로서 탄소중립 청정도시 조성을 위해 친환경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다양한 신산업과 미래산업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여수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소차 100대에 대해 1대당 37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으로 연중 신청서를 접수중이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1-03-04 14:46:41【여수=황태종 기자】전남 여수시(시장 권오봉)는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둔덕·학용 정수장 고도정수처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고도정수처리사업은 최첨단 막여과 공법을 도입해 양질의 수돗물을 생산하는 환경부 선도 사업이다. 바이러스, 세균, 병원성 미생물 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총사업비는 604억원으로 국비가 70% 시비가 30%다. 공사기간은 오는 2023년 6월 15일까지다. 시설규모는 둔덕정수장이 1일 9만2000㎥, 학용정수장이 1일 4만2000㎥다. 시는 2021년까지 막여과동과 정배수지를 건축할 계획이다. 이후 2022년까지 막여과 기자재를 설치하고 2023년 6월부터 정수장을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둔덕정수장과 학용정수장은 각각 1969년과 1979년부터 운영됐다. 모래여과방식으로 40년 이상 운영돼 시설개선이 절실했다. 지난 2012년 2월 둔덕·학용 정수장이 환경부 막여과 고도정수처리시설 육성정책 대상시설로 선정돼 사업 발판이 마련됐다. 2014년 6월에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했고, 2018년 10월에는 조달청과 막여과 기자재 물품구매 계약도 체결했다. 이후 올해 5월 시설공사 입찰을 진행해 화성산업(주) 외 1개사와 서화종합건설(주)이 도급사로 ㈜도화엔지니어링 외 2개사가 통합감리로 선정됐다. 시 관계자는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공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오는 2023년까지 800억원이 투입되는 노후 상수도관 교체사업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9-07-12 13:14:35문화재청은 경남 거제시 둔덕면에 위치한 ‘거제 둔덕기성’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제 509호)으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거제도 서편에 있는 사적 제509호 둔덕기성(일명 폐왕성)은 7세기 신라시대 성의 축조 수법을 알려 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성벽은 삼국시대 초축되고 고려시대 수축되어 축성법의 변화를 연구하는 데도 학술적 가치가 크다. 이 유적에서 인화문(印花紋) 토기, ‘상사리(裳四里)’ 명문기와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신라 문무왕대 설치된 상군(행정도시 성격) 및 경덕왕대 거제군의 치소성(지금의 군청 소재지)으로 추정된다. 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문헌에 따르면 고려 의종이 3년간 거제도에 유배됐고 조선 초 고려 왕족들이 유배된 장소로도 기록돼 있다. 이 성은 당초 의종이 거제도로 유폐된 후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지표조사, 시굴·발굴조사와 학술세미나 등을 통해 신라시대에 처음 쌓은 것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동문(東門) 터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현문식’(성벽의 외면에서 바라볼 때 凹형태) 구조로 특이할 만하고 체성(體城)의 축조수법이 타 산성에 비해 정연하며 집수지의 규모 등을 볼 때 관방·치소·유배지 등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그동안 이 성은 일반적으로 고려 의종의 유폐지로 알려져 ‘폐왕성’이라 불려왔는데 이 명칭은 1934년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통영군지’에 처음으로 언급됐으며 더 오래된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32권 거제현 고적조(古跡條) 등에 ‘둔덕기성’이라고 기록돼 있어 사적 명칭을 거제도의 객사였던 기성관과 함께 성곽의 역사성과 거제도의 정체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거제 둔덕기성’으로 정했다. /mskang@fnnews.com 강문순기자
2010-08-24 14:52:30문화재청은 경남 거제시 둔덕면에 위치한 ‘거제 둔덕기성’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 거제도 서편에 위치한 둔덕기성(屯德岐城, 일명 폐왕성)은 7세기 신라시대 성의 축조 수법을 알려 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현문식(懸門式, 성벽의 외면에서 바라볼 때 凹형태) 구조인 동문지(東門址)와 삼국시대 초축(初築)되고 고려시대 수축(修築)된 성벽 등은 축성법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이 유적에서 인화문(印花紋) 토기, 상사리 명문기와, 청자접시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신라 문무왕대 설치된 상군(裳郡) 및 경덕왕대 거제군의 치소성(治所城)으로 추정되며, 고려사·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의하면 고려 의종이 3년간 유배되고 조선 초 고려 왕족이 유배된 장소로도 전해져 오고 있다. 이 성은 당초 의종이 거제도로 유폐된 후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동아대박물관의 지표조사(1999년),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의 4차례 시굴·발굴조사(2004∼2009년)와 거제시가 주최한 학술세미나(2009년10월) 등을 통해 신라시대에 초축된 것이며 대형 문루를 갖춘 현문식 문지구조(門址構造)와 체성(體城)의 축조수법이 타 산성에 비해 정연하고 집수지의 규모 등을 볼 때 관방·치소·유배지 등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고려 의종 유폐지로 전해져 불려온 ‘폐왕성’이라는 명칭은 1934년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통영군지’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어 더 오래된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32권 거제현 고적조(古跡條) 등에 기록된 둔덕기성이라는 명칭이 거제도의 객사였던 기성관(岐城館)과 함께 성곽의 역사성과 거제도의 정체성을 잘 표현하고 있으므로 사적 명칭을 ‘거제 둔덕기성’으로 정했다. 문화재청은 30일 간 지방자치단체 및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수렴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거제 둔덕기성’을 사적으로 공식 지정할 예정이다. /mskang@fnnews.com강문순기자
2010-04-26 10:05:48[파이낸셜뉴스] jiany@fnnews.com 연지안 성석우 기자
2025-01-02 14: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