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금융감독원은 “올해 3분기 등록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금액은 10조7000억원”이라며 “주택저당증권(MBS) 발행 급감 등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6조9000억원(39.3%) 감소했다”고 30일 밝혔다. 유동화자산별로 살펴보면 전년동기대비 주택저당채권 등 대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은 감소한 반면 카드채권 등 매출채권 기초 ABS 발행은 증가했다. 우선 대출채권 가운데 부실채권(NPL) 기초 ABS 발행은 증가했지만 MBS 발행 급감으로 전체 발행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6% 줄었다. 매출채권은 카드채권 및 할부금융채권 기초 ABS 발행 확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발행규모가 37.6% 증가했다. 자산보유자별로는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일반기업의 ABS 발행 규모는 감소한 반면 금융회사의 발행규모는 증가했다. 주택금융공사의 경우, 특례보금자리론 종료 등으로 MBS 발행 감소가 지속되면서 67.6% 줄었다. 한편, 등록 ABS 전체 발행 잔액은 올해 9월 말 기준 258조8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2% 늘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2024-10-30 00:38:20[파이낸셜뉴스] 올해 1·4분기 채권·양도성예금증서(CD) 전자등록 발행규모가 작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1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4분기 예탁원 전자등록시스템을 통한 채권·CD 발행 규모는 125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늘어났다. 직전 분기 대비로는 11.0% 감소한 규모다. 채권의 등록발행 규모는 114조2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5% 증가했고, CD 등록발행 규모는 11조3000억원으로 1.7% 감소했다. 채권 유형별로는 회사채(금융회사채·특수목적법인채 포함) 77조2000억원, 특수채 30조1000억원, 국민주택채 3조2000억원, 지방공사채 2조9000억원, 지방채 8000억원 등이 발행됐다. CD는 11조3000억원이 발행됐다. 발행 비중은 금융회사채(35.1%), 특수채(24.0%), 일반회사채(22.2%), CD(9.0%), 특수목적법인(SPC)채(4.2%), 국민주택채(2.6%), 지방공사채(2.3%), 지방채(0.6%) 순으로 높았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4-04-16 10:06:01[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주식 발행(전자등록) 금액이 전년보다 20%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발행 금액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은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된 2019년 이래 처음이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예탁원을 통해 발행된 주식은 약 27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35조7000억원) 대비 22.5% 감소한 수치다. 발행 회사는 전년 대비 0.3% 줄어든 1351개사, 발행 수량은 전년보다 9.9% 증가한 178억9000만주를 기록했다. 시장별로 발행수량은 코스닥시장 주식이 약 70억4000만주(39.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비상장법인 주식이 약60억1000만주(33.6%), 유가증권시장 주식이 약 46억4000만주(26%)로 뒤를 이었다. 유가증권 주식은 전년(47억5000만주) 대비 2.3% 감소했고 코스닥 상장주식은 전년(78억주) 대비 9.7% 줄었다. 비상장법인 주식은 전년 대비 69.4% 증가해 가장 큰 변화율을 보였다. 발행금액으로 보면 유가증권 상장법인이 약 13조5938억원, 코스닥 상장법인이 약 9조4760억원을 주식발행으로 자금 조달했다. 유가증권 상장법인 및 코스닥 상장법인의 발행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37.8%, 0.8% 감소했다. 발행사유는 발행금액 기준으로 유상증자가 가장 큰 비중(22조5000억원, 81.3%)을 차지했다.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행사(4조9000억원, 17.8%) △스톡옵션 행사(3000억원, 0.9%)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주식을 신규로 전자등록한 발행회사는 총 273개사로 전년(313개사) 대비 12.8% 감소했다. 전자증권제도를 통해 새로 발행되거나 전자증권으로 전환된 주식은 30억1000만주로 전년(27억2000만주) 대비 10.5% 증가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4-02-02 14:34:36[파이낸셜뉴스] 지난해 한국예탁결제원 전자등록시스템을 통한 채권·양도성예금증서(CD) 전자등록 발행규모가 전년 대비 8%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예탁원에 따르면 지난해 채권·양도성예금증서(CD) 전자 등록발행 규모는 5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채권 발행 규모는 499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고, CD 발행 규모는 45조1000억원으로 12.2% 늘어났다. 채권 종류별로는 금융회사채(178조6384억원)가 3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특수금융채(147조9300억원·27.2%), 일반회사채(60조5233억원·11.1%), 일반특수채(60조150억원·11%) 등 순으로 높았다. 메자닌 증권(주식연계채권)의 발행 규모는 7조736억원으로 전년보다 16.1% 늘었다. 메자닌 증권은 특정 조건에 따라 채권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구조의 혼성증권이다. 메자닌 증권 중 전환사채(CB)가 5조593억원이 발행돼 전년보다 16.4%,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9377억원이 발행돼 81.0% 증가했다. 반면 교환사채(EB)는 1조766억원이 발행돼 전년 대비 12.2% 감소했다. 외화표시채권의 경우 달러 채권이 1116억원 발행돼 전년 대비 52.0% 줄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4-01-11 13:28:13【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정부가 주식발행 절차를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전면 전환한 이후 11개 기업이 증권거래소 심사를 마쳤다. 기업공개(IPO)가 대폭 간소화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음달 초 상하이·선전증권거래소 메인보드에 신주가 상장될 전망이다. 14일 21세기 경제보도와 상하이증권보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등록제 전면 시행 이후 11개 기업이 거래소(선전 6개·상하이 5개) 심사를 통과했다. 현재 상하이·선전거래소 메인보드에 접수된 IPO 등록기업 수는 261개에 달한다. 한 은행 고위 관계자는 21세기 경제보도에 "이르면 이달 말이나 4월 초에 상하이·선전증시에 상장하는 기업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별 IPO 모집금액을 보면 상하이거래소의 중중과기(12억5400만위안), 중신금속(40억위안), 장얜그룹(9억5000만위안), 창칭과기(8억5000만위안), 바이청주식(4억7000만위안) 등이다. 또 선전거래소는 중전항(15억위안), 하이센제약(6억위안), 샨넝주식(60억위안), 화웨이과이(4억3400만위안), 난광그룹(11억5400만위안), 덩캉커우챵(6억6000만위안) 등으로 집계됐다. 모집액 규모가 가장 큰 샨넝주식은 에너지 발전소 3단계 프로젝트와 유동성 보충에 자금을 쓸 계획이다. 이 회사는 석탄·전력을 생산하는 대형 에너지업체다. 주식발행등록제는 IPO를 추진할 때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로부터 기업가치를 인가(허가) 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서류를 법에 의거해 정확하게 신고만 하면 상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제반 절차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은 쉽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다. jjw@fnnews.com
2023-03-14 18:19:50【 베이징=정지우 특파원】 중국 정부가 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기업공개(IPO) 절차를 쉽게 바꾸는 주식발행등록제 시행에 관한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이로써 10년간 끌었던 주식발행등록제의 전면적인 개혁이 사실상 시작됐다. 중국은 경기 하방 압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경제 정책 중점 사항에 합리적인 자금조달 수요 충족을 넣었다. ■中 주식발행등록제 시행 임박 2일 중국 증권관리감독위원회 홈페이지를 보면 "당 중앙과 국무원은 최근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실시 종합시행계획을 승인했다. 최초 공개발행 주식등록 관리방법 등 주요 제도 규칙 초안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구한다"는 내용의 통지가 올라와 있다. 초안은 의견 수렴 후 수정·개정을 거쳐 시행된다. 정확한 전면 시행 시기는 담겨 있지 않지만 오는 3월 중국 최대 정치 이벤트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식발행등록제는 IPO를 추진할 때 증감위로부터 기업가치를 인가(허가)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서류를 법에 의거해 정확하게 신고만 하면 상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제반 절차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은 쉽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된다. 증감위는 "등록제 개혁의 본질은 선택권을 시장에 맡기는 것이다. 규제당국은 더 이상 기업의 투자가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정부와 시장의 관계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거래소는 기업이 발행·상장 조건, 정보공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증감위는 거래소 의견을 토대로 20영업일 이내에 등록 동의 여부를 결정한다. 등록제 전면 시행의 핵심은 상하이증권거래소·선전증권거래소의 메인보드다. 2019년 7월 상하이증권거래소 커촹반(과학혁신판), 2020년 8월 선전증권거래소 촹예반(창업판), 2021년 11월 베이징증권거래소에 차례대로 시범 도입했으나 상하이·선전거래소 메인보드 확대는 미뤄져왔다. 본격 시행되면 처음 추진 방침이 언급된 2013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완전히 통일되는 셈이다. 메인보드에선 신주 상장 후 5거래일 동안 가격제한 폭이 없어진다. 6거래일부터는 가격제한 폭을 10%로 유지한다. 장중 임시 상장폐지제도는 최적화한다. 신주 상장 첫날 대주거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기업 IPO 쉬워져…자금조달 기대 매년 전면 시행을 예고하고도 상하이·선전거래소에 대해선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중국 정부가 올해 마무리지으려고 하는 것은 중국의 경기 둔화 추세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0%에 그친 뒤 올해도 부동산 냉각 지속, 글로벌 수요 감소 등에 부딪혀 급격한 반등은 없을 것으로 중국 안팎에서 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5.2%, 유엔 경제사회처(UN DESA)는 4.8%, 세계은행(WB)은 4.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6%, 한국은행은 4% 후반으로 각각 내다보고 있다. 세계경제성장률보다 높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평균치(6~6.5%)와 견줘서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중국 31개 성·시 대부분도 올해 5~6.5%의 목표치를 제시했다. 따라서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시행을 통해 부동산 시장 침체, 글로벌 경기 둔화, 해외 수요 감소 등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시중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속내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서 IPO가 쉬워지면 해외로 향하는 자금의 발길을 국내로 돌리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당국의 올해 경제기조와도 상통한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해 12월 중앙경제공장회의에서 내수 확대, 공유·민영경제 공동 발전과 함께 경제·금융 리스크 예방에 합리적 자금조달 수요 충족을 담았다.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과 외국자본의 중국시장 진입 확대를 골자로 한 외자유치·활용 확대와도 같은 맥락이다. 시장정보업체 윈드(Wind)에 따르면 중국 본토 A주 IPO기업 수는 2018년 105개에서 커촹반 등록제가 운영된 2019년 202개를 거쳐 2020년 436개, 2021년 523개로 증가했다. 지난해엔 428개로 다소 줄었다. 증감위는 별도의 질의응답에서 "전면 시행은 메인보드뿐만 아니라 기존 운영된 거래소도 해당되기 때문에 '시범'이라는 단어는 취소한다"면서 "IPO 이외에 재융자, 인수합병(R&D) 구조조정, 정보공개, 투자자를 포함하며 주식과 함께 전환사채, 우선주도 들어간다"고 밝혔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02-02 18:23:57【베이징=정지우 특파원】 중국 정부가 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기업공개(IPO) 절차를 쉽게 바꾸는 주식발행등록제 시행에 관한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이로써 10년간 끌었던 주식발행등록제의 전면적인 개혁이 사실상 시작됐다. 중국은 경기 하방 압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경제 정책 중점 사항에 합리적인 자금조달 수요 충족을 넣었다. ■中 주식발행등록제 시행 임박 2일 중국 증권관리감독위원회 홈페이지를 보면 “당 중앙과 국무원은 최근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실시 종합시행계획을 승인했다. 최초 공개발행 주식등록 관리방법 등 주요 제도 규칙 초안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구한다”는 내용의 통지가 올라와 있다. 초안은 의견 수렴 후 수정·개정을 거쳐 시행된다. 정확한 전면 시행 시기는 담겨 있지 않지만 오는 3월 중국 최대 정치 이벤트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식발행등록제는 IPO를 추진할 때 증감위로부터 기업가치를 인가(허가)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서류를 법에 의거해 정확하게 신고만 하면 상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제반 절차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은 쉽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된다. 증감위는 “등록제 개혁의 본질은 선택권을 시장에 맡기는 것이다. 규제당국은 더 이상 기업의 투자가치를 판단하지 않는다. 정부와 시장의 관계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거래소는 기업이 발행·상장 조건, 정보공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증감위는 거래소 의견을 토대로 20영업일 이내에 등록 동의 여부를 결정한다. 등록제 전면 시행의 핵심은 상하이증권거래소·선전증권거래소의 메인보드다. 2019년 7월 상하이증권거래소 커촹반(과학혁신판), 2020년 8월 선전증권거래소 촹예반(창업판), 2021년 11월 베이징증권거래소에 차례대로 시범 도입했으나 상하이·선전거래소 메인보드 확대는 미뤄져왔다. 본격 시행되면 처음 추진 방침이 언급된 2013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완전히 통일되는 셈이다. 메인보드에선 신주 상장 후 5거래일 동안 가격제한 폭이 없어진다. 6거래일부터는 가격제한 폭을 10%로 유지한다. 장중 임시 상장폐지제도는 최적화한다. 신주 상장 첫날 대주거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기업 IPO 쉬워져…자금조달 기대 매년 전면 시행을 예고하고도 상하이·선전거래소에 대해선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중국 정부가 올해 마무리지으려고 하는 것은 중국의 경기 둔화 추세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0%에 그친 뒤 올해도 부동산 냉각 지속, 글로벌 수요 감소 등에 부딪혀 급격한 반등은 없을 것으로 중국 안팎에서 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5.2%, 유엔 경제사회처(UN DESA)는 4.8%, 세계은행(WB)은 4.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6%, 한국은행은 4% 후반으로 각각 내다보고 있다. 세계경제성장률보다 높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평균치(6~6.5%)와 견줘서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중국 31개 성·시 대부분도 올해 5~6.5%의 목표치를 제시했다. 따라서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시행을 통해 부동산 시장 침체, 글로벌 경기 둔화, 해외 수요 감소 등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시중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속내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서 IPO가 쉬워지면 해외로 향하는 자금의 발길을 국내로 돌리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당국의 올해 경제기조와도 상통한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해 12월 중앙경제공장회의에서 내수 확대, 공유·민영경제 공동 발전과 함께 경제·금융 리스크 예방에 합리적 자금조달 수요 충족을 담았다.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과 외국자본의 중국시장 진입 확대를 골자로 한 외자유치·활용 확대와도 같은 맥락이다. 시장정보업체 윈드(Wind)에 따르면 중국 본토 A주 IPO기업 수는 2018년 105개에서 커촹반 등록제가 운영된 2019년 202개를 거쳐 2020년 436개, 2021년 523개로 증가했다. 지난해엔 428개로 다소 줄었다. 같은 기간 투자액은 1378억위안에서 2490억위안, 4848억위안, 5427억위안, 5868억위안 등 해마다 최고치를 경신했다. 증감위는 별도의 질의응답에서 “전면 시행은 메인보드뿐만 아니라 기존 운영된 거래소도 해당되기 때문에 ‘시범’이라는 단어는 취소한다”면서 “IPO 이외에 재융자, 인수합병(R&D) 구조조정, 정보공개, 투자자를 포함하며 주식과 함께 전환사채, 우선주도 들어간다”고 밝혔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3-02-02 11:07:08민간과 금융당국이 자본시장에서 여태껏 방치됐던 관행을 혁신적으로 개편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30여년 동안 이어져왔던 외국인투자자 등록제를 폐지하고, 토큰 증권 발행·유통 체계를 재정비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9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제6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낡아서 글로벌화된 우리 자본시장에 더 이상 맞지 않는 기존 규제의 틀을 과감히 깨려 한다"며 이 같은 개선 방향성을 제시했다. 먼저 1992년 도입된 외국인투자자 등록제를 소멸시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 제도는 외국인이 국내 상장증권에 투자하기 위해선 금융감독원에 인적사항 등을 사전등록하도록 하는 조치로, 폐지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앞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개인 여권번호와 법인인식식별기호(LEI)로 외국인이 국내 자본시장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현재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외국인 장외거래 범위를 넓히고, 2017년 도입 후 사실상 비활성화돼 있는 외국인 통합계좌 관련 규제도 합리화한다. 내년부터는 자산 10조원 이상 상장사 중요정보에 대한 영문공시 역시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이 사안은 지난해 7월 제1차 금융혁신회의에서 설정한 "불가침의 성역은 없다"는 원칙하에 면밀히 살펴봤다는 김 위원장의 설명이다. 박병원 금융규제혁신회의 의장 역시 "선진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규제가 우리 금융산업에 여전하다"며 "해외에 없는 규제가 국내엔 왜 필요한지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품고 판을 뒤집을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12일 외신기자 감담회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 체계도 다시 갖춘다. 분산원장 기술로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을 허용해 관련 투자자들 재산권이 법적으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게 우선이다. 그런 차원에서 보호장치가 마련된 투자계약증권과 수익증권 장외시장 플랫폼도 제도화한다. 또 조각투자 사업자 등이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증권사를 거치지 않고 토큰 증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는 방안도 추진된다. 가이드라인 제시-샌드박스 테스트-제도화 등 단계를 통해 이들 제도 정착을 도모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오랜 기간 유지돼온 제도와 그에 따른 수많은 실무상 관행을 폐지 수준으로 개편하고, 새로운 규율체계를 준비하는 과정에 다소 불편과 예상 못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시장 참여자들과 적극 소통해 그 정도를 최소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논의된 외국인투자자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로드맵은 각각 오는 25일과 2월 초 발표될 예정이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3-01-19 18:44:19【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주식발행등록제를 적시에 전면 시행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시진핑 3기 출범 이후 심화된 경기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중 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추진 의지를 보인 후 아직 이행되지 않은 터라 연내 도입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0월 31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이강 인민은행 총재는 최근 '국무원의 금융업무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금융시장 개혁 심화 측면에서 주식발행등록제를 시기적절하게 전면 시행하고, 선물시장을 안정 발전시키며 해외상장등록제도 정착과 적격기업의 해외상장 지원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식발행등록제는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때 증권감독관리위원회로부터 기업가치를 인가(허가)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서류를 법에 의거해 정확하게 신고만 하면 상장할 수 있는 제도다. 제반 절차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은 쉽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된다. 중국 매체는 "옥석을 시장에 넘겨 결정토록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7월 상하이증권거래소 커촹반(과학혁신판), 2020년 6월 선전증권거래소 촹예반(창업판), 2021년 11월 베이징증권거래소에 차례대로 도입했다. 전면 시행은 남은 상하이 및 선전 거래소 메인보드로 확대를 의미한다. 이 경우 2015년말 이후 7년 만에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통일되는 셈이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와 올해 3월 양회에서 시행을 예고했으나 지금까지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인민은행이 다시 이를 언급한 것은 중국의 경기둔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시 주석의 업적 중 하나로 경제발전을 내세웠지만 상하이 봉쇄와 전염병 확산,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각종 경제지표는 나아질 조짐이 없다. 부동산 시장 역시 혹한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의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은 정부 목표치(5.5% 안팎)를 크게 밑도는 3% 초반으로 예상된다.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시행을 통해 제로코로나 불확실성과 부동산 시장 냉각, 정부의 빅테크·부동산 규제 등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시중 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속내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서 IPO가 쉬워지면 해외 증시로 향하는 중국기업의 발길을 국내로 돌리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당국의 기조인 실물경제 지원과도 상통한다. 등록제의 자금 조달 효과는 커촹반과 촹예반 사례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중국 연간 IPO 규모는 2019년 2532억위안에서 2020년 4805억위안, 2021년 5466억위안으로 성장했다. 커촹반·촹예반 비중도 같은 기간 44%, 65%, 61%로 상승 추세다. 올해 1·4분기에는 62.6%(베이징증권거래소 포함)에 달했다. 딜로이트가 지난 5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IPO 시장 조달 규모는 상하이·선전 메인보드에서만 금액 2000억~2300억위안(상장사 120~150개)에 이를 전망이다. 다만 메인보드를 통해 기업의 무더기 상장이 이뤄지면 단기적 주가 하락이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한 투자자들의 손실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중국 당국이 IPO 이후 12개월인 자사주 매입 금지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하고, 해외 뮤추얼펀드의 단기간 주식거래 제한을 완화한다고 발표하자 주요 외신은 "증시 띄우기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jjw@fnnews.com
2022-10-31 18:11:59【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주식발행등록제를 적시에 전면 시행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시진핑 3기 출범 이후 심화된 경기둔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중 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추진 의지를 보인 후 아직 이행되지 않은 터라 연내 도입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0월 31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이강 인민은행 총재는 최근 ‘국무원의 금융업무 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금융시장 개혁 심화 측면에서 주식발행등록제를 시기적절하게 전면 시행하고, 선물시장을 안정 발전시키며 해외상장등록제도 정착과 적격기업의 해외상장 지원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식발행등록제는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때 증권감독관리위원회로부터 기업가치를 인가(허가)받는 것이 아니라 각종 서류를 법에 의거해 정확하게 신고만 하면 상장할 수 있는 제도다. 제반 절차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기업은 쉽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게 된다. 중국 매체는 “옥석을 시장에 넘겨 결정토록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7월 상하이증권거래소 커촹반(과학혁신판), 2020년 6월 선전증권거래소 촹예반(창업판), 2021년 11월 베이징증권거래소에 차례대로 도입했다. 전면 시행은 남은 상하이 및 선전 거래소 메인보드로 확대를 의미한다. 이 경우 2015년말 이후 7년 만에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통일되는 셈이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와 올해 3월 양회에서 시행을 예고했으나 지금까지 이렇다 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인민은행이 다시 이를 언급한 것은 중국의 경기둔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시 주석의 업적 중 하나로 경제발전을 내세웠지만 상하이 봉쇄와 전염병 확산,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각종 경제지표는 나아질 조짐이 없다. 부동산 시장 역시 혹한기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중국의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은 정부 목표치(5.5% 안팎)를 크게 밑도는 3% 초반으로 예상된다. 주식발행등록제 전면 시행을 통해 제로코로나 불확실성과 부동산 시장 냉각, 정부의 빅테크·부동산 규제 등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시중 자금을 증시로 유입시키겠다는 속내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서 IPO가 쉬워지면 해외 증시로 향하는 중국기업의 발길을 국내로 돌리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당국의 기조인 실물경제 지원과도 상통한다. 등록제의 자금 조달 효과는 커촹반과 촹예반 사례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중국 연간 IPO 규모는 2019년 2532억위안에서 2020년 4805억위안, 2021년 5466억위안으로 성장했다. 커촹반·촹예반 비중도 같은 기간 44%, 65%, 61%로 상승 추세다. 올해 1·4분기에는 62.6%(베이징증권거래소 포함)에 달했다. 딜로이트가 지난 5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IPO 시장 조달 규모는 상하이·선전 메인보드에서만 금액 2000억~2300억위안(상장사 120~150개)에 이를 전망이다. 다만 메인보드를 통해 기업의 무더기 상장이 이뤄지면 단기적 주가 하락이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한 투자자들의 손실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중국 당국이 IPO 이후 12개월인 자사주 매입 금지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하고, 해외 뮤추얼펀드의 단기간 주식거래 제한을 완화한다고 발표하자 주요 외신은 “증시 띄우기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22-10-31 11: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