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플라이북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업체 페이스북이 상표명이 유사하다며 국내 스타트업(신생벤처)에게 상표명 사용 금지를 비롯한 사업영역 제한을 요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당 상표 이미지와 상표명이 외관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고 서비스도 차이가 크지만 일방적으로 해당 스타트업의 서비스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고 지적하고 있다. ■페이스북, 스타트업에게 '경고장' 29일 업계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지난 26일 도서 정보 공유 SNS '플라이북(Flybook)'에게 회사 이름이 자사 상표명 'facebook'과 비슷하다고 지적, 플라이북의 업종 영역을 '서적 및 전자출판물' 등 도서 분야로만 한정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내용증명은 상호 권리 등의 변경과 관련해 발송되는 우편물로, 문서내용을 증거로 남기기 위한 것이다. 향후 소송으로 진행되기 직전에 취하는 행동으로 필요한 경우 페이스북과의 소송으로 번질 수 있다. 해당 스타트업인 플라이북은 1년전 법인 설립과 함께 상표명 등록까지 마친 뒤 서비스를 진행했지만 페이스북이 갑자기 자사 상표권을 들고 나온 것이다. 페이스북은 내용증명을 통해 "자사가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브랜드 요소를 채택하는 것을 삼가해달라"며 "(플라이북은) 서비스표등록출원의 지정서비스업을 '서적과 전자출판물'과 관련한 사업으로 한정해 사용해달라. 또한 특허청에 보정절차도 취해달라"고 통보했다. 이어 "2015년 4월3일까지 요구사항 이행에 관한 답변을 보내달라"며 "(이행하지 않을 경우) 귀사(플라이북)의 서비스표등록출원의 사용을 저지하기 위한 모든 법적수단을 고려하고 있다"고 압박했다. 상표 유사성과 관련, 페이스북은 플라이북의 상표명이 페이스북 문자구성과 첫 글자가 'F'로 시작하고 동일한 접미사 'Book'으로 구성돼있음을 지적, 소비자들을 혼동시킬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페이스북은 이같은 내용증명은 플라이북에게 상표명 변경을 직접적으로 요구하지 않았지만 사업영역 제한 등의 요구를 거부할 경우 "'플라이북'이란 상표로 사업을 할 수 없게 하겠다"는 내용의 경고장이란 분석이다. ■부담되는 스타트업 플라이북은 지인들과 책에 대한 추천, 공유, 선물하기 등으로 도서 정보를 공유하는 SNS로 1만명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중이다. 그러나 SNS사업 특성상 향후 사업범위를 영화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로도 확대할 수 있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으로선 단순히 유사한 상표명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거대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사업제한'이란 족쇄에 채워지게 됐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페이스북이 널리 알려진 '저명상표' 영향력을 기반으로, 관련 분야의 중소 SNS업체의 지정상품 및 서비스업 범위 감축을 일방적으로 요청하는 것은 권리자의 무분별한 권리남용이라고 분석했다. 익명의 변리사는 "페이스북과 플라이북은 호칭이 전혀 다르며, 관념이나 외관 역시 상이해 비유사한 상표로 보는 것이 법원 및 특허청의 상표심사실무에도 부합한다"며 "해당 스타트업은 법적 대응에 나서도 승소 여부를 떠나 많은 비용 부담을 떠앉을 수 있다"고 말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2015-03-29 14:18:49BNK금융그룹은 지난 4일 BNK금융지주와 자회사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관련한 상표권을 각각 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시장에서 통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미국 국채와 예금 기반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국경 없는 결제와 송금, 디지털자산 거래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국내에서는 원화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은행권은 원화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개척해 한국 금융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그 일환으로 BNK금융지주도 자회사와 핀테크 제휴사를 통해 활용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상표명 총 11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목표로 부산은행 10건, 경남은행 4건의 출원을 각각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권 스테이블코인발행 준비법인인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 DID협회(OBDIA) 스테이블코인분과에 정식 가입하고, 주요 금융기관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에 직접 참여하기로 했다. 오픈블록체인 DID협회는 11개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는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합작 법인 설립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번 상표권 출원을 통해 BNK금융그룹은 금융지주와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각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인프라 조성에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시장 고도화에 시작점이 될 것"이라면서 "주요 금융기관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 진입 시기와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세부적으로 준비하겠다” 라고 밝혔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7-07 15:26:35[파이낸셜뉴스] BNK금융그룹은 지난 4일 BNK금융지주와 자회사인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관련한 상표권을 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미국 국채와 예금 기반의 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국경 없는 결제와 송금, 디지털자산 거래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돼 결과적으로 국내에서는 원화의 효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은행권은 원화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 개척을 통해 국내 금융안정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시장 선점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그 일환으로 BNK금융은 자회사 또는 핀테크 제휴사를 통해 활용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상표명 총 11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 주도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목표로 부산은행 10건, 경남은행 4건의 출원을 각각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은행권 스테이블코인발행 준비법인인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 DID협회(OBDIA) 스테이블코인분과에 정식 가입하고, 주요 금융기관들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에 직접 참여 한다. 오픈블록체인 DID협회는 11개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참여하는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합작 법인 설립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번 상표권 출원을 통해 BNK금융은 금융지주와 부산은행, 경남은행이 각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인프라 조성에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BNK금융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시장 고도화에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금융기관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 진입 시기와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세부적으로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2025-07-07 14:39:07【파이낸셜뉴스 전주=강인 기자】 농촌진흥청은 미생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분양하는 '식물 유용 미생물 정보·자원 통합서비스' 시스템을 운용한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통합서비스는 미생물 농약, 비료 주성분 미생물 이름, 균주 번호 등 기본 정보와 작물 생육에 미치는 미생물 효과, 병해충 관리, 토양 개량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또 특허청 '지식재산정보 검색 서비스'(KIPRIS),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유기농업자재 공시조회', 농진청의 '농약안전정보시스템'과 연계해 특허, 유기농업자재, 미생물 농약 정보 등을 한 번에 제공한다. 이에 미생물 학명, 균주 번호, 효과, 작물, 병명, 충명, 회사명, 상표명, 특허 발명 명칭, 유기농업자재 공시 번호, 미생물 농약 등록번호 등 모든 정보를 다중 검색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농업미생물은행과 통합서비스 시스템이 연계돼 있어 미생물 자원 분양도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이번 통합서비스 운영으로 농업인은 작물별 사용 가능한 미생물 유기농업자재와 농약을 바로 검색해 현장에서 쉽게 쓸 수 있게 됐다. 연구자는 미생물 관련 특허, 문헌 정보, 식물병 정보를 한 번에 찾아 해당 연구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통합서비스 시스템 구축으로 분산 정보를 서로 연계하고 다중 검색이 가능해졌다"라며 "농업인, 기업체, 연구자가 정보와 자원을 교류하고 공유함으로써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kang1231@fnnews.com 강인 기자
2025-06-30 11:42:53[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최다 특허권자는 삼성전자, 최다 상표권자는 ㈜아모레퍼시픽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광복 80주년,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특허·상표 다등록권리자를 조사한 결과, 특허는 삼성전자(13만4802건), 상표는 ㈜아모레퍼시픽(1만6514건)이 각각 다등록권리자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1946년 특허법, 1949년 상표법 제정 이후부터 2024년 12월까지 누적 등록건을 등록권리자명 기준으로 산출했다. 1호 특허는 정인호 선생의 '말총모자' 한국인 제1호 특허는 독립유공자 정인호 선생이 1909년에 등록한 말총모자 특허로 정인호 선생은 이 특허를 활용해 벌어들인 판매수익 등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광복 이후에는 1948년 중앙공업연구소(현 국가기술표준원)의 ‘유화염료제조법’이 1호 특허로 등록됐고, 이후 지난해 말까지 총 270만5171건의 특허가 등록됐다. 오는 2027년에는 등록 특허 300만호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동안 등록된 특허를 살펴보면, 특허 등록 1위는 전체 특허의 5.0%인 13만4802건을 등록한 삼성전자다. 1969년 전자사업에 뛰어든 삼성전자는 이후 반도체, 모바일 기기 분야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전 세계를 대표하는 혁신기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지난 한해 등록 특허 수 만도 총 5255건이었다. 2위는 LG전자로 전체 등록 특허의 2.9%인 7만7802건을 등록했다. 1959년 최초로 국산 라디오를 개발한 LG전자는 스마트 가전 분야 등에서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등록 특허 건수는 2424건이다. 3위인 현대자동차는 그동안 총 5만4305건의 특허를 등록했으며, 이는 전체 등록 특허의 2.0%다. 1967년 설립이후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현재 전 세계를 대표하는 자동차 메이커 중 하나로 성장했다. 4위는 최근 인공지능(AI) 기술구현을 위한 기반기술인 고대역폭메모리(HBM: High Bandwidth Memory)로 주목을 받고 있는 SK하이닉스로 총 등록 특허건수는 3만9071건이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퀀텀닷(QD) 디스플레이 기술로 글로벌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가 총 2만8544건으로 5위로 나타났다. 300만호 달성 특허는 2027년,상표는 2029년 우리나라 상표는 지난 1949년 천일산업의 상표명 ‘天’이 1호 상표로 등록된 이후, 지난해 말까지 총 274만1047건이 등록됐다. 오는 2029년께 상표 등록 300만호 달성이 예상된다. 상표 다등록 권리자 1위는 1945년 태평양화학공업사로 시작한 ㈜아모레퍼시픽으로 총 1만6514건의 상표를 등록했다. '설화수(Sulwhasoo)', '헤라(HERA)' 등 다양한 화장품 분야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2위 역시 화장품 전문업체인 LG생활건강으로 총 1만5969건의 상표를 등록했다. LG생활건강은 '더후(THE WHOO)' 등 화장품 관련 상표와 '페리오(PERIOE)' 등 생활용품 관련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 3위는 9357건의 상표를 등록한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그룹이며, 4위는 식품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는 씨제이(CJ) 주식회사로 총 9317건의 상표권을 등록했다. 5위는 9272건의 상표를 등록한 롯데지주 주식회사다. 지식재산권 분야에서 현재 우리나라는 특허 출원 세계 4위, 국내총생산(GDP) 대비 특허출원 전 세계 1위를 기록하며 선진 5대 특허 강국으로 발돋움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발표가 단순한 기록을 넘어 그동안 우리나라의 산업 발전과 경제 성장을 이뤄온 과정을 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올 한해 불안정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우리 기업이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기술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2025-05-08 09:16:20최근 웰빙 열풍과 더불어 '고대 곡물'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호라산밀(사진), 상표명으로는 '카무트(Kamut)'로 알려진 고대 밀 품종이다. 호라산밀을 카무트라 부르는 이유는 호라산밀을 가장 많이 판매하는 업체의 상표명이 카무트이기 때문이다. 마치 굴착기를 포크레인이라고 불렀던 것과 같은 이유다. 호라산밀의 원산지는 중동 호라산 지역으로 일반 밀보다 크기가 두 배 이상 크고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영양학적으로 호라산밀은 일반 밀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연, 마그네슘, 셀레늄 등 항산화 작용을 하는 미량영양소가 풍부하다. 미국의 유럽 임상영양학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호라산밀을 섭취한 그룹은 일반 밀을 섭취한 그룹보다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혈당 수치가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대사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의미다. 한의학적으로도 호라산밀은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고 기혈(氣血)을 보하는 곡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곡물은 인체의 중심인 비장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를 도우며 면역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호라산밀은 성질이 따뜻하며 맛은 감(甘)해 체질적으로 허약하거나 만성 피로를 겪는 이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또한 글루텐 함량이 낮아 소화가 상대적으로 잘 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도 낮아 현대인의 만성 염증과 장 건강 문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셀리악병과 같이 글루텐에 극도로 민감한 경우에는 섭취를 피해야 한다. 현대의학과 전통의학 모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호라산밀은 단순한 유행 식품을 넘어, 식이요법의 한 방편이자 건강 관리의 도구로서 가치가 크다. 식탁에 작은 변화 하나가 건강한 삶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고대 곡물의 지혜가 다시 한번 일깨워 주고 있다. 한진우 인산한의원 원장
2025-05-01 18:49:18[파이낸셜뉴스] 출연진이 앉은 소파의 상표명을 과도하게 노출한 tvN '벌거벗은 세계사'가 중징계인 법정제재를 받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지난 14일 전체 회의를 열고 '벌거벗은 세계사'에 법정 제재인 '경고'를 의결했다. 이 프로그램은 간접광고 상품인 출연진들이 앉은 소파의 상표명이 반복적으로 노출돼 시청 흐름을 방해한다는 민원이 제기된 바 있다. '벌거벗은 세계사'는 실내 스튜디오에서 출연자들이 강의를 듣는 형식으로 방송이 진행된다. 강연자와 강의 참고 영상을 제외하면 출연자들이 앉아 있는 의자가 수시로 노출되는 구조인데, 반복적으로 상표명이 노출돼 시청 흐름을 방해했다는 지적이다. 김정수 위원은 "프로그램 내용과 무관한 의자 광고가 붙박이로 나오는 셈"이라며 "광고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의자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혀 문제가 없는 것처럼 (제작진이) 받아들이는 것 같아 경각심을 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과도한 간접광고"라고 꼬집었다. 김 위원은 법정 제재 '주의' 의견을 냈지만, 강경필 위원은 '경고' 의견을 내며 제재 수위를 높였다. 강 위원은 "방심위에 회부된 것을 인식하고도 똑같은 형태로 방송이 됐다"며 "사안이 가볍지 않아 법정 제재 '경고' 의견"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민원이 접수된 방송은 지난해 12월 17일 등의 방송분이었는데, 지난 15일 방송분에서까지 상표명이 적힌 동일한 의자가 사용됐다. 류희림 위원장도 "간접광고에 대한 불감증"이라며 같은 의견을 내면서 2대 1로 '경고'가 의결됐다. 한편, 의견진술을 위해 출석한 tvN 관계자는 "시청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패널 위치나 로고 위치를 나름 고민을 한 것"이라며 "당장 수정하기 어려운 상황이긴 하지만 문제가 되지 않게 방법을 찾아서 조정해보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5-04-16 10:39:26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신규 3단계 국가도메인 ‘ai.kr’, ‘io.kr’, ‘it.kr’, ‘me.kr’의 도입을 결정하고 내년 1월 17일까지 상표권자 우선등록을 한 뒤 내년 3월 5일부터 일반등록을 개시한다고 3일 밝혔다. KISA는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한민국 국가도메인 ‘.kr’과 ‘.한국’을 관리하고 있다. 최근 해외 국가도메인인 ‘.ai(앵귈라)’, ‘.io(영국령 인도양 지역)’, ‘.it(이탈리아)’, ‘.me(몬테네그로)’가 인공지능(AI) 분야, 스타트업, IT기업, 블로거들 사이에서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신규 3단계 국가도메인 생성을 통해 우리 국민이 원하는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개발했다. 해외 국가도메인인 ‘.ai’는 통상 1년 등록비가 10만원 안팎이지만 ‘ai.kr’은 1년에 2만원 정도면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을 뜻하는 AI 의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창의적인 사용도 가능하다. ‘io.kr’은 인풋과 아웃풋(Input & Output) 또는 디지털(101010)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으며, ‘it.kr’은 정보기술분야 혹은 쇼핑몰 인기 상품(잇템) 등의 뜻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me.kr’의 경우 미디어(Media), 메디컬(Medical)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신규 3단계 국가도메인은 대한민국에 주소지가 있는 개인·법인이라면 누구나 등록할 수 있으며, 영문 2글자 이상 63자 이내로 숫자 및 붙임표(-)의 혼용도 가능하다. 등록처는 15개 국가도메인 등록대행자 누리집이며 등록비용은 평균 2만원 안팎이다. 아울러 상표권자 우선등록 기간에는 국내 상표권자가 상표명과 동일한 도메인이름을 도메인별 1개씩(총 4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시 상표등록원부 등 소정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신규 3단계 국가도메인 ‘ai.kr’, ‘io.kr’, ‘it.kr’, ‘me.kr’ 생성을 통해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 또는 개인들이 원하는 도메인이름을 해외 유사 국가도메인 대비 합리적인 비용으로 등록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대한민국의 국가도메인 ‘.kr’과 ‘.한국’의 보급·확산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4-12-03 09:18:55[파이낸셜뉴스] "세계최초 조루 복합제 원투정의 신규 제품 6가지를 추가로 선보일 예정인데, 이중 3가지는 연내 나올 계획입니다. 현재 블록버스터가 없는 조루 시장에 원투정이 사실상 독점 체제를 구축하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습니다. " 5일 파이낸셜뉴스와 만난 김영덕 씨티씨바이오 제약사업부 사장(사진)은 이같이 향후 비전을 언급했다. 원투정은 지난 7월 30일 이후 최근 대만과 허가 등록을 전제로 300억 독점 공급을 체결했다. 매출이 급증하면서 공장 가동률도 높아가고 있기 때문에 신구 장비 및 시설과 인력 확충도 계획중인 상황이다. 올 하반기 주력 비전과 관련 김 사장은 “원투정에 대한 PMS(출시 후 이상반응조사)와 별도로 새로운 적응 확대 임상을 시도하려고 계획중”이라며 “현재 블록버스터가 없는 조루시장의 원투정이 잘 안착되어 세계로 뻗어 나가도록 비뇨기계 과련 학회에서의 주제강연 및 전시를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11월 까지 이어지는 공장의 시설확충이 무사히 잘 되도록 꾸준히 지원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출시한 지 이제 막 한 달이 지난 원투정의 성과도 기대 대비 괄목하다고 평가했다. 실제 원투정은 개량신약으로 매우 우수한 임상을 보여 올해 말부터는 좋은 성적표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비뇨기과에서 상위에 랭크된 동구바이오제약이 '구세정'이라는 상표명으로 국내시장을 맏고 있고, 씨티씨바이오는 그동안 관계를 맺어온 해외 제약사들의과 지속적으로 협의 중으로 사장의 확충에 신경을 쓰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사장은 “특별히 캐나다에 cGMP를 보유하고 B사와 CDMO 계약을 맺고 북미권 그리고 여러 나라를 폭넓게 커버하려는 전략도 함께 하고 있다”라며 “조루증이 발기부전시장과 달리 아직은 블루오션이다. 현재 쓰이고 있는 약물들이 리도카인류의 마취제, SSRI인 다폭시펜, 마약성 진통제인 트리마돌등이 쓰이고 있는데 환자에게 주는 비용대비 효과가 크지 않다”라고 전했다. 결국 원투정이 향후 뛰어난 효과로 조루증 환자에게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봤다. 씨티씨바이오는 이같은 점에서 추가적인 임상도 설계중이다. 최근 K바이오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큰 가운데 향후 씨티씨바이오도 한국 의약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싶다는 포부도 전했다. 그는 "당 사는 그동안 세계 여러나라에 ODF 제품을 중심으로 하여 의약품을 등록하고 수출에 성공한 많은 경험치를 가지고 있다. 해외에 이미 많은 랩오피스를 가지고 있고 그들을 중심으로 협력중"이라며 "한국 식약처의 위상과 함께 K-바이오의 성과들이 이어지고 있어서 우리회사 역시도 세계최초의 조루 복합제 원투정이 좋은 논문과 학회등을 통해 ODF 제품들 처럼 잘 안착되어 한국 의약품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고 싶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씨티씨 바이오는 다소 스팩트럼이 넓은 기업인데, 그중 제약사업은 회사 전체에서 회사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게 자리잡고 성장하고 있다"라며 "이제까지 이뤄온 여러가지 제약의 기술들을 접목해 건강식품분야, 동물의약품, 반려동물 제품, 사료첨가제 분야로 충분히 확장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저는 씨티씨바이오에서 이 역할을 담당하여 국내를 넘어 세계 진출이 가능한 제품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4-09-05 10:22:25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일(현지시간) 일라이릴리의 알츠하이머 약 도나네맙 사용을 승인했다. FDA는 '키순라(Kisunla)'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될 도나네맙 성분의 약을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을 보이는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CNBC이 인용한 알츠하이머 협회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만 알츠하이머 환자가 700만명에 육박한다. 또 알츠하이머는 65세 이상 미 성인 사망원인 가운데 5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알츠하이머 협회는 미 알츠하이머 환자 수가 2050년에는 지금의 두 배에 육박하는 1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도나네맙은 이날 승인까지 우여곡절을 겪었다. FDA는 지난해 불충분한 임상시험 데이터를 이유로 승인을 거부했고 지난 3월에는 승인을 늦추기도 했다. 그러나 이달 초 FDA 외부 자문위원회가 도나네맙 완전 승인을 권고하면서 FDA 승인이 예고됐다. 자문위는 부작용 위험보다 혜택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 도나네맙은 바이오젠과 일본 협력사 에자이가 내놓은 레켐비(Leqembi)와 진검 승부를 펼치게 됐다. 레켐비는 지난해 여름 FDA 승인 뒤 보급이 시작된 상태다. 도나네맙과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30년 역사의 결과물이다. 두 약품 성분은 모두 단일 클론 항체로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독성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알츠하이머를 치료하지는 못하지만 초기 단계에서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도나네맙과 레켐비 모두 치명적인 부작용 위험도 있다. 뇌가 부풀어 오르는 뇌부종, 뇌 안에서 피가 나는 뇌출혈 등의 위험성이 있다. 송경재 기자
2024-07-03 18:0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