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1억원 넘는 연봉을 받는 국내 근로자 수가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이렇다 보니 매월 실수령액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국세청 조사 결과 이른바 ‘억대 연봉자’는 2009년 19만7000명에서 2022년 131만7000명으로 13년 새 6.7배 불어났다. 억대 연봉자 수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6만5000명씩 증가했다. 다만 2021년과 2022년에는 연평균 20만명씩 늘었다.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고임금 인력이 늘어나고 전반적인 급여 수준이 상승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업계에서 억대 연봉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전자 직원 평균 임금을 살펴보면 2019년까지만 해도 1억800만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2020년 1억2700만원, 2021년 1억4400만원, 2022년 1억3500만원으로 상승세를 그렸다. 아울러 SK하이닉스 또한 2020년에는 1억원에 미치지 못했으나 2022년에 1억3400만원으로 대폭 상승했다. 네카오 등 IT 기업도 코로나19 기간 개발자 품귀 현상으로 평균 임금이 큰 폭으로 오르며 억대 연봉 근로자 급증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식대 연 240만원, 부양가족 수 본인 1인, 간이세액 100%를 비과세 소득으로 가정했을 경우 연봉 1억원의 근로자는 매월 통장으로 658만원을 지급받는다. 연봉 2억원을 받을 경우 매월 실수령액은 1139만원, 연봉 3억원이면 매월 1590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 4억원은 월 2000만원을 받는다. 억대 연봉 근로자가 늘어나면서 근로소득세 비중도 커지고 있다. 총급여액이 1억원을 넘는 근로자가 전체 결정세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5.4%로 기록됐다. 2022년에는 62.7%까지 높아졌다. 총급여는 국세청이 집계하는 급여총액에서 식대 등 비과세 소득 항목을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2022년 기준으로 억대 연봉자 총급여액은 209조8000억원, 총결정세액은 37조1000억원으로 확인됐다. 억대 연봉자 전체의 평균 근로소득세로 계산한다면 소득의 17.7%가량을 세금으로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5-27 21:41:31[파이낸셜뉴스] #OBJECT0# 시중은행들의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어선 가운데 남녀 근로자의 소득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임원 비중도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는 국내은행 여성 임원은 외국계 은행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20일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은행원들의 소득은 남성의 66.6~8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격차가 큰 은행은 신한은행으로 올 상반기 기준 남성 직원들의 급여는 6600만원이었으나 여성 직원은 4400만원으로 66.6% 수준에 머물렀다. 하나은행은 여성 직원 급여가 6000만원으로 남성(7900만원)의 75.9%였다. KB국민은행은 여성 직원이 5500만원으로 남성(7100만원)의 77.4%였다. 우리은행은 여성 직원 급여가 5600만원으로 남성(6900만원)의 81.1%로 나타났다. 상반기 급여를 하반기에도 그대로 받는다고 가정할 경우 신한은행 여성 직원들만 8800만원으로 억대 연봉에 미치지 못한다. 시중은행의 여성임원 비중도 여전히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 가운데 여성 임원이 4명으로 가장 많은 KB국민은행도 비중으로 따지면 9.1%로 10%가 채 안됐다. 이어 하나은행이 3명으로 8.8%, 신한은 2명으로 6.7%를 차지했다. 외국계은행인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과 비교해봐도 차이가 확연하다. SC제일은행은 임원 37명 가운데 여성이 9명으로 비율이 24.3%이며 한국씨티은행은 임원 14명 중 여성 임원이 6명으로 비율이 42.8%에 달한다. 성별 임금 격차가 큰 것도 여성 임원 비중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성별 임금 격차가 큰 것은 여성 임원 비중이 낮은 탓도 크다"며 "지난해 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기업에 1명 이상의 여성 이사 선임을 의무화한 '여성 이사 할당제'를 도입했는데 이같은 제도를 더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채용과정에 있어서 성별 차별도 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2018년 한 카드사는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미리 정해둔 성비에 따라 1차 서류전형 합격자를 뽑아 당시 남성 지원자와 점수가 같거나 그보다 높은 여성 지원자 92명이 탈락했다. 한편 우리나라 전체 여성 근로자 급여의 경우에도 남성의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성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1인당 평균 급여가 남성이 4884만9000원, 여성이 2942만7000원으로 성별 격차는 1942만2000원이었다. 여성 급여가 남성의 60.2% 수준이라는 의미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2023-08-17 15:50:28[파이낸셜뉴스]한 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국민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휩싸인 '억대 연봉' 논란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업무 특성상 장기근속 교대근무자에게 추가 수당을 지급해왔고 앞으로는 연공성 완화를 위해 직무급제를 이용하겠다는 설명이다.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연봉 1억원 이상을 수령한 인원이 각각 3589명, 141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연료비 폭등에 대응해 전기, 가스요금을 올려 경영난에 빠진 한전과 가스공사 돕기에 나섰으나 내부에서는 수천명이 억대 연봉을 수령했다는 비판이다. 반면, 두 회사는 기획재정부 예산운용지침에 따라 지난해 총 인건비 인상률 1.4%를 준수했고 24시간 운영되는 회사 특성상 추가 수당 지급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가스공사는 억대연봉자에는 대해 전국에 설치된 가스배관을 따라서 24시간 가스공급을 위해서 설치된 관리소 운영을 위해 휴일 및 야간수당 지급이 불가피한 장기근속 교대근무자 577명이 포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21년에는 전년도 경영평가 등급이 낮아서 성과급을 지급받지 못해 억대 연봉자가 감소한 것에 비해, 경영평가 등급이 상승해 2022년도 성과급이 지급됨에 따라 억대 연봉자가 증가됐다고 해명했다. 한전 역시 대연봉자 증가는 장기근속 영향이 가장 크고 24시간 전력설비 운영을 위해 휴일 및 야간근무수당 지급이 불가피한 교대근무자 661명이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다만, 한전은 호봉제 중심 보수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전 직원에 대해 직무급제를 도입해 연공성 완화에 나섰다. 가스공사도 올해부터 모든 직원에 대해 직무급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추진하면서 취약계층의 공공요금 부담 완화 지원책을 전개 중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올해 2월에 인력효율화를 위해 조직을 1처 7부로 축소했고 정원도 102명 감축했다"며 "유인으로 관리되는 관리소는 단계적으로 무인화해 인건비를 줄여나갈 예정으로 올해는 18개 관리소를 무인화해 교대근무자를 90명을 축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23-02-17 13:29:07[파이낸셜뉴스] 소득 요건이 없는 정책 모기지인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택 구입, 생활 안정 자금 용도로 쓸 수 있는 데다 올해 1년 간만 한시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이다. 억대 연봉자들도 집값이 9억원보다 낮으면 5억원까지 4%대 대출이 가능하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올 1·4분기 중 출시를 목표로 특례보금자리론을 준비하고 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일반형 안심전환대출과 적격대출을 보금자리론에 통합한 정책 상품이다. 주택가격요건은 시세 6억원에서 9억원 이하로 확대하고, 기존 7000만원이었던 소득요건 부부합산소득은 없애기로 했다. 대출한도는 최대 3억6000만원서 5억원으로 확대한다. 대출금리는 신규구매·대환·보전용 구별없이 기존 보금자리론에 기반한 단일 금리체계를 적용할 예정이다. 신규 주택구매자는 물론 변동금리 주담대를 고정금리로 갈아타려는 차주,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 주담대(보전용) 모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당국은 금리인상기 실수요자 부담 완화를 위해 현재 적정금리 6% 대비 약 1.7~2%p 낮은 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특례보금자리론은 연 4%대에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도도 비교적 자유롭다. 기존 보금자리론과 마찬가지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대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 총부채상환비율(DTI) 60%가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1년 간 한시적으로 운영키로 한 '특례 보금자리론'에는 정부 예산 1168억원이 투입된다. 올해엔 부동산 대출규제도 대폭 완화된다. 다주택자도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집을 살 때 주담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2018년 9·13 대책에서 다주택자의 주담대를 전면 금지한 것을 5년 만에 복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울, 경기 과천, 성남(분당·수정), 하남, 광명 등 규제지역 다주택자들은 집값의 30%까지(LTV 30%) 주담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2023-01-02 16:51:002021년 한 해 동안 직장인들의 세전 평균연봉이 처음으로 4000만원대를 넘어섰다. '억대 연봉'을 받는 직장인 수도 최초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근로소득자 100명 중 5명은 '억대 연봉자'다. ■억대연봉자 100만명 시대 7일 국세청 '2022년 4·4분기 공개 국세통계 안내'에 따르면 지난해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는 1995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46만4000명)했다. 그중 결정세액이 없는 근로자는 704만명(전체의 35.3%)으로 전년(725만5000명, 전체의 37.2%)에 비해 1.9%p 감소(21만500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1인당 평균급여는 4024만원으로 전년(3828만원)보다 5.1% 증가했다. 부양가족 숫자 등의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산술적으로 12개월로 나누면 세후 월 300만원 수준의 급여를 받았다. 1억원을 초과하는 '억대 연봉' 근로자 수는 112만3000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전년 91만6000명에서 22.6% 늘었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4720만원으로 1인당 평균급여가 가장 많았으며 서울(4657만원), 울산(4483만원), 경기(4119만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 중 각종 세액공제 등으로 근로소득세를 내지 않은 사람은 704만명으로 전체의 35.3%다. 지난해 사업소득, 이자소득 등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사람은 949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4% 늘었다. ■종소세·양도세 모두 늘어 2021년 종합소득세 신고인원(949만5000명)은 비사업소득자(근로·연금·기타소득)를 위한 모두채움 서비스(국세청이 소득세 세액을 제공) 확대 제공 등으로 전년 대비 18.4% 증가했다. 종소세 총결정세액은 44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7조6000억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귀속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으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인원은 17만9000명으로 전년(17만9000명)과 유사한 수준이다. 2021년 귀속 양도자산 신고건수(168만건)는 토지신고 건수 증가 등으로 전년(145만5000건) 대비 15.5% 증가했다. 양도세 과세대상(과세 미달, 1세대 1주택 비과세 제외)으로 2021년 귀속 양도세를 신고한 주택의 평균 양도가액은 3억47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600만원)했다. 주택의 평균 양도가액(3억4700만원)을 소재지별로 살펴보면 서울(7억1200만원), 세종(3억7100만원), 경기(3억6500만원) 순으로 높았다. 2021년 세무조사를 완료한 건수는 1만4454건으로, 세무조사 부담 완화와 경제회복을 위한 국민의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전년(1만4190건)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세무조사 부과세액은 5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국세청은 "올해도 세무조사 부담 완화를 위해 1만4000여건으로 축소 운영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2022-12-07 18:17:23[파이낸셜뉴스] 전국금융산업노조가 오는 9월 총파업 돌입을 선언한 가운데 이에 대한 사회적 비판도 가열되고 있다. 연 1억원 이상을 받는 금융권 종사자들이 사적 이익을 위해 금융 소비자의 불편을 방패 삼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금융노조는 조합원의 임금과 복지 수준이 대중의 인식과 크게 다르며, 점포폐쇄 중단 혹은 완화가 은행의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금융노조 6년만에 총파업 예고… 노사 합의 가능성도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오는 9월 16일 약 6년만의 총파업을 앞두고 있다. 지난 19일 진행한 조합원 대상 쟁의 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 의견이 우세하면서다. 37개 지부 전국 사업장에서 총 7만1958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이 6만7207표를 얻었다.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은 이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자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쟁의행위 찬성률은 '투표 조합원 수' 기준 93.4%, '재적조합원 수' 기준 74.04%의 찬성으로 가결됐다"며 "이로써 금융노조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의거한 합법적인 쟁의권을 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파업을 통한 금융노조의 주된 요구사항은 점포폐쇄 중단, 공공기관 혁신안 폐기, 실질임금 삭감 저지 등으로 요약된다. 금융노조는 물가가 전년 대비 6% 오르고, 은행순익도 지난해 기준 44%가 오르는 상황에서 사측이 제시한 1.4% 임금상승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지난 2년간 점포가 681개 줄어들고 은행원은 2274명 줄어드는 등 노동환경도 악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금융노조는 사용자측과 지난 3월부터 대표단교섭 4차례, 중앙노동위원회 2차 조정 등 과정을 거쳤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지난 7월 진행한 제2차 중노위 조정에서 임금인상안으로 사측은 1.4%를, 노측은 6.1%를 제시하면서 '조정 중지' 결정을 받았다. 금융노조는 오늘 기자간담회를 시작으로 총파업일 전까지 3차례에 걸쳐 금융노동자 총파업 결의대회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총파업에 앞서 노조원의 사기를 끌어올린다는 의도다. 오는 23일에는 서울경기 지역 노조원을 대상으로, 오는 25일과 9월 1일에는 각각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지역 노조원을 대상으로 결의대회를 진행한다. 임금 현실화·점포 폐쇄 중단 요구…대중 설득은 숙제 다만 사측을 대상으로 한 의견 관철 외에 대중을 설득하는 일도 금융노조에게 숙제다. 이미 금융권 종사자는 많이 번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고 총파업에 나서면서 은행이 문을 닫으면 금융 소비자 불편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노조와 사측이 소비자를 볼모로 한 힘겨루기에 나선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이 같은 지적에 박 위원장은 "한 개 국책은행을 조사해본 결과 정규직·비정규직 조합원의 임금 평균은 약 7200만원에 약간 미달했다"면서 '억대연봉'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한 금융노조 관계자는 "사라진 복지에 대한 최소한의 복지 복원을 산별교섭에서 요구하는 것"이라면서 "평균 나이 40세, 금융업종 근속연수가 16~17년 정도 된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연봉 7000만~8000만원은 높은 수준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점포폐쇄를 늦추려는 시도가 단지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서라는 지적에 대한 금융노조 입장도 이날 전했다. 박 위원장은 "금융노조가 주장하는 것은 영업점을 폐쇄하기 전 고객 불편 최소화와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 보호를 우선적으로 고려해달라는 것"이라며 "산업의 전환과 관련해 일부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부분을 인정해도 지금은 과도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노조 관계자는 "최근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은행이 최대 단기순이익을 냈다"며 "이를 사회로 환원하려면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런 움직임이 실제 금융노조 총파업으로 치닫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앞서 지난해에도 금융노조는 쟁의행위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총파업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노사가 극적 합의에 이르면서 파업은 하지 않았다. 당시 노사는 예고된 총파업일 약 1주일 전에 임금을 2.4% 인상하는 내용의 '산별중앙교섭 임금협약 조인식'을 개최하면서 합의했다. 박 위원장은 이와 관련, "파업 이전에도, 이후에도 노사 간 입장을 좁히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해 나갈 것"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2-08-22 16:58:40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자산이 전년 대비 47%가량 늘었다. 연봉 1억원을 넘게 받는 사람이 처음으로 90만명을 넘어섰다. 종합부동산세를 내는 사람은 약 26% 늘었다.국세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국세통계연보'를 발간했다. 2020년 귀속 2019년 소득 기준으로 종합소득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등 126개(항목기준)의 세금 관련 통계다. ■억대 연봉자 90만명 첫 돌파 2020년 귀속 소득 기준으로 종합소득세 신고인원은 802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5.6%(42만5000명) 증가했다. 종합소득세 총결정세액은 37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7.2%(2조5000억원) 늘었다.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금융소득 종합과세자는 17만9000명이었다. 전년 대비 12.6%(2만명) 늘었고 종합과세자의 1인당 평균 소득은 2억7800만원이었다. 주소지별로 서울이 3억6200만원, 부산 2억5700만원, 광주 2억5500만원 순이었다. 근로소득세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는 1949만5000명이었다. 전년 대비 1.7%(32만8000명) 증가했다. 이 중 결정세액이 0원이어서 세금을 내지 않은 근로자는 전체의 37.2%인 725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0.4%(20만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총급여가 1억원을 넘는 근로자는 91만6000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90만명을 돌파했다. 2018년 80만200명, 2019년 85만2000명이었지만 1년 새 7.5%(6만4000명) 늘어난 것이다. 1인당 평균급여는 3828만원으로 전년 대비 2.2%(84만원) 증가했다. 평균급여는 지역별로 세종이 451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 4380만원, 울산 4337만원 순이었다. 근로자들의 연말정산 평균 환급액은 63만6000원이었다. 외국인 근로자는 54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7.0%(4만1000명) 줄었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36.3%(19만8000명)로 가장 많았다. ■자산시장 활황 양도자산 늘어 부동산 가격 급등이 이어지면서 양도자산건수 급증이 통계수치로 확인됐다. 양도자산건수는 145만5000건으로 46.7%(46만3000건) 급증했다. 특히 주택은 86.6% 늘었고, 부동산에 관한 권리 양도도 57.4% 증가했다. 주식 양도건수는 93.4%나 늘었다. 주식시장이 달아오르면서 거래량이 늘어 양도세 과세대상 주식이 전년 대비 거의 2배로 늘어난 것이다. 양도소득세를 신고한 주택의 평균가격은 3억5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서울이 6억9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3억4600만원, 경기 3억3300만원 순이었다. 종합부동산세를 낸 사람은 개인(70만8000명)을 포함해 25.7% 증가한 74만4000명이었다. 결정세액은 3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000억원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결정인원은 6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8.6%(14만8000명) 늘었다. 지역별로 서울이 39만1000명, 경기가 14만7000명으로 전체의 80.9%를 차지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2021-12-22 18:13:06[파이낸셜뉴스] 외교부 산하기관인 재외동포재단에 소속된 임원들이 성과급 수천만원을 포함해 억대 연봉을 받아왔지만, 재단 일반 직원의 초봉은 수년째 2천만원대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 외교부와 재외동포재단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의 연간 실수령액은 판공비 1800만원과 성과급 2852만원 등을 포함해 1억5548만원에 달했다. 올해 1∼8월 실수령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32.1% 증가한 1억3694만 원에 이르렀다. 특히 성과급의 경우 올해 8월에 이미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5148만원을 챙겼다. 다른 한 임원의 1인당 지난해 실수령액도 성과급 2228만원을 포함해 1억원을 넘겼다. 올해는 8월까지 이미 성과급 3294만원을 포함해 1억원에 육박하는 보수를 받았다. 반면에 정규직 5급 공채 사원의 초봉은 수년째 2천만원대로 사실상 동결된 상태다. 재단 채용 공고에 따르면 이들의 연봉은 2019년 2808만원에서 올해 2887만원으로 거의 오르지 않았다. 특히 공채 사원은 수습 기간 3개월 동안 월급의 90%만 받는다. 이는 내년 최저임금 월 환산액인 191만4440원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태 의원은 지적했다. 태 의원은 "재단 이사장과 이사에게는 억대 연봉을, 5급 공채 직원에게는 임원들 판공비 수준의 연봉을 책정한 것이 국민 상식에 부합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재외동포 지원사업과 재단 홍보 등의 업무를 맡는 재단의 5급 공채 사원은 최소한 토익 830점 이상을 취득한 후 서류, 필기, 인성 검사, 직무역량평가, 면접 등 험난한 과정을 거쳐 채용된다. 태 의원은 "이 정권 들어 억대 연봉 받는 낙하산 인사들이 과연 우리 청년들이 치르는 공채시험에 단 한명이라도 통과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임원과 노동자 간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 임원의 연봉 상한을 정하는 이른바 '살찐 고양이 조례'가 도입되고 있는데 재외동포와 모국 간 교류를 강화하고 이들의 현지국 정착을 돕는 역할을 맡는 재단에 대한 적용여부를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2021-10-08 16:22:03[파이낸셜뉴스] 온라인 직장인 커뮤니티에 한국방송공사(KBS) 직원으로 추정되는 이용자가 'KBS에 불만 있으면 욕하지 말고 능력되면 입사하라'는 취지의 글을 올려 온라인에서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달 31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의 한 이용자는 "우리 회사 가지고 불만이 많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이용자는 KBS 소속 직원임을 인증한 상태다. 글쓴이는 "너네가 아무리 뭐라 해도 우리 회사 정년은 보장된다. 수신료는 전기요금에 포함돼서 꼬박꼬박 내야 한다"며 "평균 연봉 1억이고 성과급같은 건 없어서 직원 절반은 매년 1억 이상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발 밖에서 우리 직원들 욕하지 말고 능력되고 기회되면 우리 사우님되라"고 덧붙였다. 이 글이 캡쳐돼 온라인에 퍼지면서 누리꾼들은 분노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수신료 강제 징수를 하지 말든지 왜 이런 글을 올리나" "인성에 문제가 있다" 등 반응을 보였다. 앞서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30일 "KBS 직원 60%가 연봉 1억원 이상을 받고 억대 연봉자 가운데 73.8%인 2053명은 무보직"이라고 주장했다. KBS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1억원 이상 연봉자는 2020년도 연간 급여대장 기준 46.4%다. 이 비율은 2018년 51.7%에서 꾸준한 감소 추세에 있다. 무보직자도 2020년 1500여명 수준으로 김웅 의원 주장보다도 500여명 이상 적다"고 해명했다. jo@fnnews.com 조윤진 인턴기자
2021-02-01 09:02:53네이버가 '웹툰(인터넷만화) 시장 1조 시대'를 이끄는 창작자들의 사관학교로 자리매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월간이용자수(MAU)가 6700만에 달하는 네이버웹툰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독자를 만나는 웹툰 작가 중 억대 연봉자들이 늘어나면서다. 네이버웹툰 연재 작가들은 네이버가 지원하는 수익 다각화 프로그램 PPS(Page Profit Share)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 글로벌 연간 거래액은 약 8000억 원에 이른다. 또 최근 1년 간 네이버웹툰 플랫폼을 통해 정식연재를 하는 한국작가 중 절반 이상(58%)인 249명(5월 기준)은 평균 1억 원 이상의 수익을 얻고 있다. 네이버웹툰 상위 10위권 작가의 연평균 수익 역시 31억 원에 달한다. 네이버웹툰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역량도 강화되고 있다. 웹툰 작가들의 작품이 미국, 유럽, 남미 등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지는 등 지식재산권(IP) 영상화 사업이 탄력을 받으면서다. 이와 관련 학계에서도 네이버웹툰 경쟁력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미디어경영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에서 부경대 김정환 교수는 네이버웹툰의 '도전만화'와 PPS 프로그램에 대해 조명했다. '도전만화'는 이용자 누구나 자신의 창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아마추어 플랫폼이며, PPS(Page Profit Share)는 작가 수익 분배 모델이다. 김 교수는 "네이버웹툰 작가 리그시스템인 '도전만화-베스트도전-정식연재' 체제가 창작자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며 "이를 통해 웹툰 창작 활동 전반에 진입장벽이 낮아졌다"고 강조했다. 김미희 기자
2020-12-08 17: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