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0일 병상 확충을 위해 국립대병원을 투입하고, 코로나 상황 장기화에 대비해 모듈형 중증 병상 확충을 적극 추진하라는 소식에 에스와이가 강세다. 에스와이는 이동식 모듈러 음압시설을 만들고 있다. 20일 오후 2시 38분 현재 에스와이는 전 거래일 대비 530원(14.23%) 오른 42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병상 확충을 위해 국립대병원을 투입하고, 공공병원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하는 등의 특단의 조치를 시행하라는 특별지시를 내렸다. 문 대통령은 첫째, 국립대병원의 의료 역량을 코로나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 투입하고 둘째,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공공병원 중 가능한 경우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하며 셋째, 코로나 상황 장기화에 대비해 국립중앙의료원이 운영하는 모듈형 중증 병상 확충을 적극 추진할 것과 넷째, 공공 부문 의료 인력을 코로나 환자 진료에 최대한 투입할 것을 지시했다. 한편 패널라이징 모듈러주택 전문기업인 에스와이는 전문건설업체 스틸라이프와 협업해 이동식 모듈러 음압시설을 개발한 바 있다. 에스와이는 공기 중에도 전염성이 높은 다제내성결핵 격리치료용 격리병동을 북한에 납품한 노하우가 있다. 에스와이의 이동식 모듈러 음압시설은 내부면적 18㎡ 규모다. 고밀도 우레탄 단열재를 심재로 사용한 패널로 제작해 단열 성능이 탁월하다.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로부터 진도 6.5 규모 강진을 견디는 내진 성능도 검증받았다. 에스와이의 특허 기술인 캠락(Cam Lock) 방식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어 1개 병동을 완성하는데 빠르면 2시간 이내에 가능하다. 에스와이는 음압병동에 요구되는 공간 면적, 시설 사양 등을 충족하도록 설계, 제작했으며 향후 인증 기준이 마련되면 인증을 취득해 조달청 등록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2021-12-20 14:41:51[파이낸셜뉴스] 에스와이가 상승세다. 연일 코로나 확진자가 7000명을 웃돌면서 이동식 음압병동 관련 테마주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단기간에 대규모 공급이 가능한 이동식 음압병동을 개발한 에스와이에 기대 매수세가 몰렸다는 관측이다. 10일 오전 10시 45분 현재 에스와이는 전일 대비 140원(+3.69%)상승한 39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종합건축자재 기업인 에스와이는 지난해 말 전문건설업체 스틸라이프와 협업해 고밀도 우레탄패널과 공조시설, 음압 설계가 적용 된 이동식 모듈러 음압병동을 개발완료했다. 음압병동이란 바이러스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특수 격리시설이다. 에스와이가 개발한 이동식 모듈러 음압병동은 공장 제작식으로 발주에서 설치까지 10일이면 대규모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2021-12-10 10:46:36[파이낸셜뉴스] 종합건자재기업 에스와이는 전문건설업체 스틸라이프와 협업해 고밀도 우레탄패널과 공조시설, 음압설계가 적용된 이동식 모듈러음압병동을 개발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에스와이는 이동식 모듈러음압병동은 공장제작식으로 발주에서 설치까지 10일이면 완료된다고 설명했다. 모듈러음압병동은 5.5평 규모로 음압 공조기와 전실 설계, 전문의료시설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췄다. 멸균전문 소독업체인 그린F5와 협업해 방역서비스도 제공된다. 설치는 현장에서 평평한 부지 위에 5톤 트럭 등으로 옮긴 병동을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 에스와이 관계자는 “전문음압병실은 병상 당 2억원에 건설기간만 4개월이 소요되지만, 에스와이 자재를 활용한 모듈러병동은 5000만원 수준으로 약 열흘이면 대량 공급할 수 있다”며 “현재 전국적으로 부족한 음압병실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수출용 모델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에스와이는 이미 북한에 결핵환자 격리병동을 납품한 이력이 있다. 공기 중 전염성이 높은 다제내성결핵 격리치료용으로 지난해와 올해 각각 20여동의 모듈러병동을 납품했다. 회사는 각 지자체의 공공시설과 부지 활용으로 단기간에 대규모 공급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지자체 공설운동장의 2만여㎡ 경기장 부지를 활용할 경우 본부 역할을 하는 의료스테이션과 50개의 음압병동을 10여일 만에 확보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재 추경을 통해 편성된 300억원의 음압병실 확충 예산을 기준으로 600개의 병실 확충이 가능하다. 기존 예산 책정 시에는 120개 확충이 목표였다. 이는 5배 수준이다. 산술적으로 전국의 226개 기초자치단체에서 50개의 음압병동을 확보한다면 1만여개의 추가 음압병실이 구축된다. 에스와이 관계자는 "기타 재난 시에도 긴급 구호주택으로 활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공공기관 독신자 숙소나 지자체 유원지 글램핑장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map@fnnews.com 김정호 기자
2020-03-20 11:3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