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한국 경제 잠재성장률이 2040년 0.7%까지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혁신 아이디어로 경제 성장을 견인할 연구개발(R&D) 인력이 2040년까지 지금보다 12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저출산 문제가 미래 기업경쟁력의 큰 변수로 떠올랐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15일 '저출산·고령화의 성장 제약 완화를 위한 생산성 향상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4.7% 수준을 유지하던 우리나라 경제 잠재성장률은 코로나19를 거치며 지난해 1%대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노동 성장 기여가 크게 줄며 2040년에는 0.7%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2018년 노벨상 수상자 폴 로머의 연구를 인용하며 "저출산·고령화 극복은 우리나라 혁신 역량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폴 로머는 "국가의 장기적 경제성장은 아이디어 축적에 달려있다"며 "혁신적 아이디어를 많이 쌓기 위해서는 연구인력 증가율과 연구자당 생산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SGI가 향후 연구인력 수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우리나라 연구 인력은 2020년 55만8000명에서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2030년 51만2000명, 2040년 43만7000명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년새 12만명 이상이 줄어드는 셈이다.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영향으로 국가 혁신이 정체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는 △파격적 여성 연구인력 공급책 △해외 전문인력 유입 확대 △인공지능(AI)의 적극적 활용 등을 제시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일본 다음으로 가장 낮은 수준인 여성의 연구인력 비중을 높이기 위해 여학생의 이공계 진학 및 교육과정 이수를 독려하고, 해외 전문 인력을 국내로 유입하기 위한 비자 체계 개선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단순·반복 업무에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해 근로자를 핵심 업무에 집중하게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02-15 13:47:39"1년 내내 공고를 올려놔도 오는 사람이 없습니다. 내국인은 아예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이 인력난에 흔들리고 있다.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청년층이 취업을 기피하는 데다 코로나19 이후로 내국인력의 빈자리를 채웠던 외국인력마저 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올해 비전문 취업비자(E-9)를 11만명까지 늘렸지만 사업장별 외국인 고용허용인원이 정해져 있어 무용지물이다. 뿌리산업계는 외국인 고용한도를 풀어줘 산업을 '유지'만이라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19일 파이낸셜뉴스가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가 최근 발간한 뿌리산업 실태조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국내 6대 뿌리산업인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기업 종사자 수가 4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8년 55만5072명이었던 종사자 수는 2019년 51만6697명으로 급감했고 2020년엔 49만936명, 2021년엔 48만9743명까지 줄어들었다. 뿌리산업의 종사자 수 감소는 내국인 종사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18년 50만1393명이었던 내국인 종사자는 2019년 46만6056명, 2020년 44만3124명, 2021년 43만9764명으로 지속적으로 줄었다. 약 3년 새 6만명이 넘는 내국인 근로자가 뿌리기업을 떠나간 셈이다. 전문가들은 뿌리기업 인력난의 근본적인 원인은 청년 인력이 공급되지 않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뿌리기업 같은 경우 임금이 낮고 근무환경도 열악해 우리나라 청년층들이 취업을 기피하고 있다"며 "공고를 내도 오는 사람이 없어 외국인 의존도가 높아지고 산업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한 뿌리산업계 관계자는 "현재 뿌리산업의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청년층은 뿌리기업에 오려고 하지 않아 산업의 대가 끊길 위기에 처해 있다"고 전했다. 뿌리산업에 내국인력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기업들은 빈자리를 통상 외국인력으로 채워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기업의 85%가량은 외국인 근로자를 5년 이상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가장 큰 이유로는 '내국인 구인 애로'가 가장 높은 응답을 차지했다. 하지만 현재는 이 같은 외국인력마저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코로나19로 국경이 막히면서 외국인 노동자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은 데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지면서 이들의 몸값이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해 10월 정부는 산업 현장의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국내에서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전문 취업비자(E-9)를 역대 최대 규모인 11만명까지 늘렸다. 하지만 사업장 규모별로 외국인 총고용허용인원이 정해져 있어 이 같은 조치가 뿌리산업의 인력난을 해소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뿌리산업 같은 경우 이젠 외국인력이 없으면 안되는 상황"이라며 "외국인력 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사업장별 쿼터를 현재보다 늘리거나 아예 폐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뿌리산업계에서도 고질적인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장별 외국인 쿼터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보원 한국금속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누구든 사람이 와야 인재를 양성할 텐데 일할 사람이 없어 사업하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며 "외국인 고용제한 인원을 확대해 뿌리산업이 발전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오 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전무도 "현재 뿌리산업은 내국인이 오지 않아 외국인밖에 고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뿌리산업을 '유지'라도 할 수 있게 현재 정해진 쿼터를 늘려 외국인만큼이라도 자유롭게 고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2023-01-19 18:34:11[파이낸셜뉴스]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시장 충격이 10년 내로 가속화될 전망이다. 2030년까지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증가폭이 지난 10년(2010~2020년)의 약 3분의 1에 불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가운데 경제 주축인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320만2000명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00년대부터 시작된 저출산과 맞물려 전체 취업자 수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경제활동참가율 역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65세로 편입되는 2024년을 정점으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노동부가 3일 발표한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향후 8년간 고령화, 저출산 등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우선 2030년까지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인구)는 134만4000명 증가하지만 증가폭이 크게 둔화한다.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는 2000~2010년 463만3000명, 2010~2020년 396만명 각각 증가해왔다. 지난 10년간에 비해 3분의 1로 증가폭이 줄어드는 셈이다. 생산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를 말하며, 이는 다시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경제활동인구와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뉜다. 15세 이상 인구 전체적으로는 증가세를 유지하지만, 2030년까지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320만2000명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첫 마이너스 전환이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000~2010년 266만6000명, 2010~2020년 117만5000명 등으로 각각 늘었다. 불과 8년 내로 청년층 비중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장년층 이상 비중은 크게 높아지는 모습이다. 2030년 인구에서 청년층(15∼29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3.8%에서 2020년 19.9%, 2030년 14.7%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장년층 이상(50세 이상) 비율은 2010년 35.1%에서 2020년 45.8%, 2030년 55.0%로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같은 기간 125만1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국민들의 전체 경제활동 자체는 줄어들지 않는다.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74만6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 15세 이상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고령화로 소폭 감소(0.2%p) 감소하는 반면 15~64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큰 폭(2.8%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15세 이상 참가율은 베이비붐 세대가 65세로 편입되는 2024년 정점(63.5%)을 찍은 이후 감소세로 전환될 것이란 분석이다. 고용부는 "30~40대, 60대 등 모든 연령대의 참가율이 늘지만, 참가율이 낮은 고령층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체 참가율은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2000년대부터 시작된 저출산과 맞물려 전체 취업자 수 감소로 이어지게 됐다. 15세 이상 취업자는 202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한다. 취업자는 2030년까지 98만4000명 증가하지만, 이는 과거 증가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15세 이상 취업자수 증가폭은 2000∼2010년 286만명, 2010∼2020년 287만2000명이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22-02-03 10:15:01[파이낸셜뉴스] 인구 고령화와 구직자의 중소기업 기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인력난과 고령화를 동시에 겪고 있는 것이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산업기술연력이 166만명으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으나, 3만7000여명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했다. 이날 산업부는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국 1만2646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정부승인 통계로 지난 2005년부터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주관한다. 조사기간은 지난 7월말부터 10월까지였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인력난 심화 △50대 이상의 장년층 확대에 따른 고령화 심화 △경력직 선호 현상 확대라는 특징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18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166만1000명으로 전년대비 2만7000명(1.7%) 증가했다. 전체 근로자수 대비 비중은 34.1%다. 부족 인원은 총 3만7484명으로 전년대비 576명 증가(1.6%)했다. 부족률은 2.2%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기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이 110만1000명으로 전년대비 0.6% 증가했다. 2018년말 기준 바이오·헬스(5.1%), 반도체(2.6%), 소프트웨어(2.6%), 자동차(1.9%) 산업은 산업기술인력이 증가했다. 조선(4.9%), 철강(2.2%), 화학(1.0%), 디스플레이(0.9%) 산업은 기술인력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49.6%(82만5000명), 비수도권 50.4%(83만7000명)로 산업기술인력의 수도권 비중은 전년과 비슷했다. 학력별로는 고졸을 제외하면 학력이 높을수록 산업기술인력 현원의 증가율, 부족률이 모두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중소업체에 50대이상 장년층 비중이 높았다. 나성화 산업부 산업일자리혁신과장은 "중소업체의 고급인력 부족현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인력 현원이 늘어났음에도 인력이 부족하다고 하는 것은 일자리 미스매치가 지속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별에 따른 산업기술인력은 전년과 유사했다. 남성이 143만6000명(1.6% 증가), 여성은 22만5000명(2.1% 증가)이었다. 입사 1년 이내 조기 퇴사인력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6만1604명으로 나타났다. 조기 퇴사율은 42.2% 수준으로 전년(40.6%) 대비 상승했다. 반면, 채용인력 중 경력자 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신입자 비중은 하락해 50% 미만이었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산업혁신인재 성장지원 사업(예산 1015억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바이오·헬스, 화학 분야 전문연구인력 양성 과정도 신설한다. 한편, 산업부는 2030년 기준 미래 신산업 인력 수급전망을 위해 올 상반기 중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미래자동차, 지능형로봇 등 5개 분야의 인력 전망 결과를 발표한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2020-01-22 10:11:52중소기업 연구개발(R&D) 인력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내놓은 '중소기업 청년 R&D 인력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 연구원의 39세 이하 청년 비중은 2008년 78.4%에서 2018년 54.3%로 24.1%포인트 급감했다. 이 기간 29세 이하 연구원 비중은 19.8%에서 14.4%, 30~39세 연구원 비중은 58.6%에서 39.9%로 각각 줄었다. 이로써 중소기업의 청년 연구원 비중은 2018년 기준 54.3%로 중견기업(64.7%)과 일반 대기업(62.0%)보다 낮았다. 성별로는 남성 연구원의 절반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조사됐다. 남성 연구원 중 40세 이상 비중은 2008년 23.7%에서 2018년 51%로 증가했다. 여성 연구원은 20대 비중(35.1%)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 연구원 중 40세 이상 비중은 2018년 5.9%에서 2018년 21.3%로 늘어나는 등 경력단절 현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1개사당 청년 연구원 수는 2008년 6.2명에서 2018년 2.3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중소기업 1개사당 40세 이상 연구원 수는 2008년 1.7명에서 2018년 1.9명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은 R&D 인력 부족 현상을 겪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의 51.8%가 적정 수준 대비 현재 R&D 인력이 부족하며 중소기업의 44.5%는 향후 R&D 인력 수급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노민선 연구위원은 "R&D 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중소기업의 연구능력을 급속히 약화시킬 수 있다"며 "이공계 청년 인력의 중소기업으로의 유입을 촉진하고 이들의 장기재직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졸업 후 중소기업 취업을 약정한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장려금 지원 △석·박사 청년 R&D 인력을 신규 채용한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등을 우선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20-01-10 16:27:26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오는 2028년 생산가능인구(15~64세 인구)가 약 260만명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10년 후 고졸이나 대졸자 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같은 인구구조 변화는 고용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노동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내놓았다. 지난 2007년부터 2년마다 발표되는 인력수급전망에는 앞으로 10년간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 등이 담긴다. 지난 2018년부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변화가 포함됐다. 저출산 영향으로 학령인구가 줄며 10년 동안 노동시장에서 필요한 청년 신규인력이 38만5000명 모자랄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인력은 고교·대학 졸업생, 실업기간이 1년 이내인 단기실업자를 의미한다. 저출산 여파로 지난해 57만명이던 고교 졸업생 수는 2028년 4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말 기준 대학 정원(50만명)보다 10만명 줄어든 수치다. 이렇다보니 10년 뒤 고졸자와 대졸자 수는 수요에 비해 각각 60만명, 45만명 공급이 부족할 전망이다. 반면 전문대 졸업자 수요는 기술 발전 등으로 일자리가 줄며 64만명 초과 공급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대졸자 등의 인력공급이 부족해도) 노동시장 미스매칭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실업 걱정이 완전히 해소되는 것으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으로 10년간 15세 이상 인구는 191만명 증가하는 반면 15~64세 인구는 260만명 감소한다. 특히 60세 이상 인구가 505만명 늘며 전체 인구 증가를 주도할 전망이다. 이 같은 추세는 경제활동인구에서도 볼 수 있다.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2년부터 감소로 전환하고,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도 증가세를 보이다 2026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2551만4000명이던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8년에는 2481만6000명으로 69만9000명 줄어든다.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2018~2023년 130만명 늘어나지만 2023~2028년 6만8000명이 감소한다. 40대는 86만3000명이 줄어든다. 반면 60대와 70대 경제활동인구는 각각 138만5000명, 104만1000명으로 늘어난다.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 취업자는 145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화 등 기술발전으로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5만명), 정보통신업(12만명) 취업자가 크게 늘어난다. 반면 제조업은 세계 성장률 둔화, 산업구조조정 영향으로 증가폭이 크지 않다. 다만 전자와 의료 정밀기기업종은 빅데이터 처리용 메모리, 헬스케어 등의 수요 확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19-12-17 17:39:58"인구감소는 분명한 사실이지만 어떤 부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는 산업에 따라 다르다.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신축적인 인력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1회 서울인구심포지엄 첫번째 강연자로 나선 서울대 경제학과 이철희 교수(사진)는 한국 저출산·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정책적 대응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젊은층 인구 감소가 노동시장에 가져올 문제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면서, 단순히 인구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볼 게 아니라 앞으로 얼마나 많은 노동량이 필요할지 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연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16년 3760만명에서 2050년엔 2590만명으로 줄어든다. 반면 같은기간 전체 취업인구는 2700만명에서 2050년에는 2360만 정도로 감소한다. 2050년 취업인구는 현재 대비 87%, 총 근로시간은 83% 수준이 되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인구가 줄어든 것보다 전체 노동공급량은 덜 줄어든다"면서 "기술발전, 로봇 활용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면 노동부족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신 노동시장 인력이 지금보다는 훨씬 고령화될 텐데 앞으로 우리가 쓰는 정책에 따라 이 수치는 달라진다"면서 "이런 변화는 산업별, 일자리 형태별로 매우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산정책의 방향과 관련해서는 결혼한 여성의 비율과 그들의 출산율을 함께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20~49세 유배우 여성비율은 2000년 이후 빠르게 떨어져 2000년에 70%가 기존 상태였다면 2016년엔 절반 수준"이라면서 "그렇지만 유배우 합계출산율은 떨어지지 않고 2005년 1.6명에서 2012년 2.4명, 2016년엔 2.23으로 회복했다"고 말했다. 적어도 한번 결혼을 하는 여성들이 일생 동안 낳는 아이 수는 유지된 것이다. 그는 "2000년 이후 유배우 비율이 유지됐다면 2016년 가상 합계출산율은 실제는 1.14명이지만 2.01로 오른다"면서 "만약 유배우 출산율도 오르지 않았을 경우 가상 합계출산율은 0.73명으로 재난 수준의 초저출산이 됐을 것이므로 과거 정책이 유배우 출산율을 올린 효과는 인정받아야 한다"고 평가했다. 특별취재팀 심형준(팀장) 차장 김학재 김은희 기자(이상 정치부) 김서연 차장(경제부) 정상희(건설부동산부) 이환주 오은선(생활경제부) 한영준 송주용(산업2부) 남건우(증권부) 권승현(산업부) 김유아 최용준(사회부) 기자
2017-11-16 17:58:29고령화 시대로 접어들어면서 부족해지는 노동인력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여성과 해외 고급인력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고용정보원 박명수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오는 8일 열리는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에서 발표한다. 기획재정부 등 11개 부처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11개 연구기관이 공동 개최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정책방향과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라는 총론을 12개의 세부 주제로 나눠 전문가의 발제와 토론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12개의 세부 주제는 ▲100세 시대 도래의 시사점과 정책방향(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수영 교수)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 및 도시정책 방향과 과제(국토연구원 최영국 박사)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농어촌 대응 방안(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박사) ▲100세 시대 여가 및 문화활동 활성화 방안(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소영 박사) ▲100세 시대 대비 가족정책 과제(한국여성정책연구원 최인희 박사) ▲100세 시대 대비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남순 박사) ▲100세 시대 대비 중고령자 사회 참여 활성화 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정 박사) ▲100세 시대 대응 산업발전 전략과 과제(한국산업연구원 장석인 박사) ▲고령사회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소ㆍ벤처기업 지원 방안(백석대학교 홍길표 교수) ▲100세 시대 금융의 역할: 세제혜택 금융상품의 역할(자본시장연구원 홍원구) ▲100세 시대 인력공급 전망과 과제(한국고용정보원 박명수 연구위원) ▲베이비붐 세대 은퇴 대비 평생학습을 위한 정책방향(평생교육진흥원 이세정 전략기획실장)으로 짜여질 예정이다. 이 가운데 박 연구위원은 ‘100세 시대 인력공급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에서 향후 우리나라의 노동력 규모를 추정한 결과 2018년부터 노동력 증가율이 1% 이하로 낮아지고 20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노동력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 돼 경제성장률이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예상, 100세 시대로 부족해질 노동인력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박 연구위원의 대응방안으로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여성과 청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직업훈련 기회 증대 등으로 55세 이상 고령 인력 적극 활용 ▲고급 인력에 대해서는 이민 적극 수용 등이 제시될 예정이다. /relee@fnnews.com 이승환기자
2011-12-07 16:01:48취업 때 고졸 취업자는 ‘수입’을, 대졸 취업자는 ‘안정성’을 우선시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서울시내 노동인력이 갈수록 고령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내 취업자는 483만5000명으로, 2008년의 492만2000명에 비해 1.8% 감소했으며 실업률은 3.9%에서 4.5%로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지난해 20∼29세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4.1% 감소했으며 30∼39세는 3.5%, 40∼49세는 2.0% 각각 줄었다. 반면 50∼59세 취업자는 2.7% 늘었고 60세 이상은 3.3% 증가해 서울의 노동인구가 고령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년 전인 1999년과 비교하면 전체 취업자 가운데 25∼34세 취업자 비율이 31.3%에서 26.1%로 감소했으나 45세 이상 취업자는 같은 기간 30.1%에서 40.3%로 증가, 이같은 현상을 반영했다. 취업 때 고졸, 대졸 취업자의 선택기준이 달라 직업 선택시 고려 사항으로 고졸 취업자는 37.5%가 수입, 30.8%가 안정성을 택한 데 비해 대졸 취업자는 안정성(30.7%)을 꼽은 응답자가 수입(26.5%)보다 많았다. 지난해 연령별 여성 취업자 비율은 25∼29세가 16.1%였으나 30∼34세는 11.2%로 크게 하락했다. 여성의 취업장애 요인은 49.9%가 육아 부담을 꼽아 출산 및 육아문제에 직면한 30∼34세 여성들이 직업활동에 장애를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이 직업을 갖는 데 대해서는 여성의 86.4%가 찬성했으며 이들 가운데 58.7%는 여성이 가정 일과 상관없이 직장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다./dikim@fnnews.com 김두일기자
2010-01-25 14:21:46국내 제조업의 인력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숙련된 인력 부족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KIET)은 20일 ‘제조업 선도기업의 인력 고령화 심각’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철강·조선·기계·자동차·석유화학 등 5대 제조업의 매출액 기준 5위 이내 선도기업의 인력구조를 분석한 결과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KIET에 따르면 철강과 조선·기계의 경우 선도기업은 동종 업종 가운데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높았고 자동차도 생산직의 평균 연령이 동종업종에 비해 많았다. 철강업종 선도기업인 A사의 경우 평균 연령은 42세로 1차 금속산업의 평균 연령(40.2세)보다 높았고 평균 근속연수도 18.1년으로 동종 업종 평균인 9.8년의 2배에 이르렀다. 기계업종 C사도 기능직 평균 연령이 45세로 동종 업종의 36.9세보다 높았고 자동차업종 D사의 생산직 평균 연령은 40.6세로 동종 업종 36.6세보다 많았다. 특히 조선업종 B사의 경우 전체 생산직 근로자 가운데 50대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99년 16.7%에서 지난해에는 31.6%로 대폭 늘어났다. 최희선 부연구위원은 “80년대 후반 ‘3저 호황기’에 채용된 인력은 2010년에는 50세 전후에 이르게 되고 2015년 이후에는 대량 정년 퇴직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같은 인력 고령화는 기업에 인건비와 시설투자 등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지적했다. 실제 석유화학산업 E사의 경우 46세 이상 현장직 사원 1명의 인건비가 30세 이하에 비해 1.8배 많았다. KIET는 제조업 선도기업은 고령화된 인력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고려하고는 있지만 아직 조기퇴직제도나 일시적 구조조정 등 소극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조기퇴직이나 구조조정은 단기적으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세대간 숙련 이전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숙련의 공백을 초래할 위험도 있다”면서 “전직지원제도 등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인적자원 관리정책과 함께 기능 전수나 고령인력 활용을 위한 임금피크제 도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blue73@fnnews.com윤경현기자
2007-09-20 15:0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