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A형 간염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4일 울산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수도권 및 충청지역에서 A형 간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조개젓에 의한 A형 간염 대규모 유행을 제외하고는 2012년 이후 동기간 대비 환자 수가 가장 많은 실정이다. A형 간염은 바이러스(Hepatitis virus)에 오염된 물이나 식품(조개젓, 젓갈 등)으로 전파되는 감염병이다. 초기증상은 감기몸살과 비슷하며 식욕부진, 심한 피로감, 황달, 구토, 암갈색 소변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A형 간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익혀먹는 등 위생적인 조리과정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조개류의 경우 반드시 90℃에서 4분간 가열하거나 90초 이상 쪄서 섭취해야 한다. 연구원은 항체보유율이 낮은 20~30대는 항체검사 없이 예방접종을 받고, 40대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고위험군 대상 예방접종 사업’이 지난해에서 올해 6월까지로 연장돼 만성 B형간염 환자와 C형간염 환자, 간경변으로 진료 받은 이력이 있는 20~40대는 빠른 시일 내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무료접종 대상과 지정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와 보건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종수 보건연구부장은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음식물 섭취를 주의하고 손 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면서 “과거 A형간염을 진단받은 이력이나 접종이력이 없는 고위험군의 경우 예방접종을 필수로 권한다”라고 밝혔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1-05-04 13:45:42【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는 올해 처음으로 A형 간염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 섭취를 중지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8일 광주시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3~4월 경북 구미시 한 음식점을 이용한 사람들 중 6명이 A형 간염에 감염됐으며, 이들은 모두 조개젓을 섭취한 것으로 역학조사 결과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의 A형 간염 환자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개젓을 섭취한 비율이 높아지고 환자 발생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으로 인한 A형 간염 발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올해 22주차 기준 A형 간염 발생 현황은 전국 1435명, 광주 27명이다. 이에 광주시는 A형 간염 예방을 위해 안정성 확인 시까지 △조개젓 섭취 중단 △조개류 익혀먹기 △요리 전,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등의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또 환자 발생 빈도가 높은 1970년~1999년에 출생한 만성 간 질환자 등 A형 간염 고위험군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무료 예방접종을 보건소 또는 지정의료기관에서 받도록 권고했다. 20~30대(1980∼1999년생)는 낮은 항체보유율을 고려해 항체검사 없이 바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40대(1970∼1979년생)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김광은 시 건강정책과장은 "전국적으로 A형 간염 환자 중 조개젓을 섭취한 비율이 증가하고 환자 발생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며 "A형 간염 예방을 위해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조개젓은 섭취를 중지하고, 예방접종을 받는 등 A형 간염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0-06-08 14:50:58[파이낸셜뉴스] A형 간염 유행 원인으로 조개젓이 지목된 가운데 정부가 조개젓 외 주요 젓갈류를 검사한 결과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에 유통 중인 오징어젓과 낙지젓 등 젓갈류 제품 총 125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앞서 조개젓 제품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다른 ‘젓갈류’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검사 대상은 지난해 생산 유통량이 많은 젓갈로, 새우젓 24건, 오징어젓 20건, 멸치젓 19건, 낙지젓 18건, 창난젓 17건, 명란젓 14건, 황석어젓 13건 등 총 125건이다. 앞서 식약처는 지난 9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136건을 회수해 조사했고, 44건의 제품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돼 이를 회수해 폐기한 바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조개류는 반드시 익혀 먹고,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젓갈의 경우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올해 A형 간염 발병 환자 수는 11월 현재 1만7000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앞선 5년의 발병 환자 수를 합한 것보다 더 높은 수치다. #건강 #조개젓 #조개젓A형간염 #A형간염바이러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19-11-20 09:10:25보건당국이 조개젓 섭취 중지를 권고한 전후로 A형감염 환자가 최대 83% 감소했다. 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9월11일 조개젓 섭취 중지를 권고하고 제품 안전관리를 강화하면서 일주일간 최대 660명(8월18~24일)이었던 A형간염 환자는 최근 110명(지난달 27일~이달 2일)으로 83% 급감했다. 섭취 중지를 권고한 이후 A형간염으로 신고된 환자는 △9월22~28일 428명 △10월6~12일 357명 △10월13~19일 250명에 이어 A형간염 평균잠복기인 한 달(4주)이 지난 10월20~26일 193명까지 감소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환자 격리치료, 접촉자 예방접종 등을 진행했다. 역학조사를 통해 주요 발생 원인이 오염된 조개젓임 밝혀낸 뒤 안전성 확인 전까지 섭취 중지를 권고했다. 하지만 여전히 A형간염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올해 A형간염 환자 평균연령은 39세로 30대 6259명(36.8%), 40대 6160명(36.2%) 등 30~40대 환자가 73.1%에 달한다. 이어 20대 2370명(13.9%), 50대 1521명(9.0%), 기타 684명(4.0%) 순이다. 환자가 주로 발생한 30~40대는 A형간염 항체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대다. 2015년 A형간염 항체 양성률 조사에 따르면 30-39세의 항체 양성률은 31.3%, 40-49세의 항체양성률은 80.3%였다. 발생률이 높은 40대 초반과 30대 후반에 국한할 경우 항체 양성률은 더 낮을 것으로 보인다. #조개젓 #A형간염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19-11-05 15:47:53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제품 총 136건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44건의 제품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돼 회수·폐기 조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 결과 A형 간염 유행의 원인을 조개젓으로 확정, 국내 유통제품에 대한 식품안전관리 강화 차원에서 실시했다. 지난 9월 11일부터 9월 25일까지 국내 제조 및 수입 '조개젓' 제품 총 136건이 대상이다. 수거·검사 결과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건의 제품에 사용한 원료의 원산지는 국산 30건, 중국산이 14건으로 확인됐다. 이 제품은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 국내식품 부적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은 유통·판매가 가능하다. 이번 사건으로 정부는 조개젓의 원료 생산 단계부터 제품 제조 단계까지 사전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식약처는 국내 완제품 조개젓의 경우 영업자가 식약처 공인검사기관에 검사를 의뢰해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입증해 확인되는 경우에만 유통·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명령'을 실시할 계획이다. 수입제품은 수입검사를 강화해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제품이 유통·판매되지 않도록 한다. 지방자치단체에는 전통시장 등 즉석판매·제조업체가 판매하는 제품의 수거·검사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도록 조치하고 관련 단체(협회), 판매업체 등에 안전성이 확인된 제품만 유통·판매할 것을 요청했다.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는 "조개젓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전통시장, 마트 등에서 덜어서 구입해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섭취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앞으로도 유통식품의 수거·검사를 강화하고 사전 안전관리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19-09-27 17:23:08[파이낸셜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유통 중인 '조개젓' 제품 총 136건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44건의 제품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어 회수·폐기 조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 결과 A형 간염 유행의 원인을 '조개젓'으로 확정해 국내 유통제품에 대한 식품 안전관리 강화 차원에서 실시했다. 지난 9월 11일부터 9월 25일까지 국내 제조 및 수입 '조개젓' 제품 총 136건이 대상이다. 수거·검사 결과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44건의 제품에 사용한 원료의 원산지는 국산 30건, 중국산이 14건으로 확인됐다. 이 제품은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 국내식품 부적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제품은 유통·판매가 가능하다. 이번 사건으로 정부는 조개젓의 원료 생산단계에서부터 제품 제조단계까지 사전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식약처는 국내 완제품 '조개젓'의 경우 영업자가 식약처 공인검사기관에 검사를 의뢰해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입증해 확인되는 경우에만 유통·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명령'을 실시할 계획이다. 수입 제품에 대해서는 수입검사 강화조치해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제품이 유통·판매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지방자치단체에는 재래시장 등 즉석판매·제조업체가 판매하는 제품에 대해 수거·검사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도록 조치하고 관련 단체(협회), 판매업체 등에 안전성이 확인된 제품만 유통·판매할 것을 요청했다.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는 "조개젓 제품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거나 재래시장, 마트 등에서 덜어서 구입해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섭취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앞으로도 유통식품에 대한 수거·검사를 강화하고 사전 안전관리 대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19-09-26 21:56:37질병관리본부는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올해 A형간염 유행의 주요인을 오염된 조개젓으로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조개젓 섭취를 중지해 달라고 11일 권고했다.2019년 A형간염 신고건수는 1만4214명으로 전년 동기의 1818명 대비 약 7.8배 증가했다. 30~40대가 전체 신고 환자의 73.4%를 차지했으며 남자가 7947명(55.9%)으로 여자에 비해 다소 높았다. 지역별 인구 10만명당 신고건수는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순으로 높다.질병관리본부는 그동안 환자에 대한 격리치료, 접촉자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집단발생 사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역학조사를 통해 발생 원인을 조사했다. 또 미개봉 제품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조개젓(4건)은 지방자치단체가 판매·유통을 중지시키고 회수 후 폐기했다.질병관리본부는 2019년 A형간염 발생이 증가한 원인을 심층역학조사해 A형간염 유행의 주요 원인이 조개젓임을 확인했다. 8월까지 확인된 A형간염 집단발생 26건 조사 결과 21건(80.7%)에서 조개젓 섭취가 확인됐고, 수거가 가능한 18건의 조개젓 검사 결과 11건(61.1%)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 이 중 유전자 분석을 한 5건은 환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와 조개젓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유전자가 같은 근연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질병관리본부는 "올해 A형간염 유행은 조개젓이 큰 원인이나 집단발생 후 접촉 감염, 확인되지 않은 소규모 음식물 공유에 의한 발생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 예방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A형간염 예방수칙은 △A형간염 안전성 확인 시까지 조개젓 섭취 중단 권고 △조개류 익혀 먹기 △요리 전,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A형간염 예방접종 권고 등이다. 한편 오염된 조개젓 제품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털에서 A형간염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19-09-11 15:40:16[파이낸셜뉴스] 질병관리본부는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올해 A형 간염 유행의 주요 요인을 오염된 조개젓으로 확인하고 안전성이 확인될 때 까지 조개젓 섭취를 중지해 줄 것을 11일 권고했다. 2019년 A형간염 신고건수는 1만4214명으로 전년 동기간 1818명 대비 약 7.8배 증가했다. 30~40대가 전체 신고 환자의 73.4%를 차지했으며 남자가 7947명(55.9%)으로 여자에 비해 다소 높았다. 지역별 인구 10만명 당 신고건수는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순으로 높다. 질병관리본부는 그동안 환자에 대한 격리치료, 접촉자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집단발생 사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역학조사를 통해 발생 원인을 조사했다. 또 미개봉 제품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조개젓(4건)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판매 및 유통을 중지시키고 회수 후 폐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019년 A형간염 발생증가 원인에 대해 심층역학조사를 실시해 A형간염 유행의 주요 원인이 조개젓임을 확인했다. 8월까지 확인된 A형간염 집단발생 26건 조사결과 21건(80.7%)에서 조개젓 섭취가 확인됐고 수거가 가능한 18건의 조개젓 검사결과 11건(61.1%)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 이중 유전자 분석을 시행한 5건은 환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와 조개젓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유전자가 같은 근연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집단발생 사례 3건에 대해 환자발생경향을 분석한 결과 유행발생 장소에서 조개젓 제공이 시작되고 평균잠복기인 약 4주 후에 환자 발생보고가 시작돼 조개젓 제공 중지 약 4주 후에 관련 환자보고가 줄어듦을 확인했다. 또 집단발생 5건과 관련된 조개젓 검체와 집단 및 개별사례에서 확보된 189명의 인체 검체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개젓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의 87.5%, 인체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의 76.2%가 동일한 유전자 군집을 형성해 A형간염이 공통 감염원으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질병관리본부가 7월 28일부터 8월 24일까지 확인된 A형간염 확진자 2178명 중 270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해 조개젓 섭취력을 조사한 결과, 42%에서 잠복기내 조개젓 섭취력을 확인했다. 8월 26일까지 신고된 A형간염 환자 1만2835명의 가족 접촉자 중 2차 감염률을 분석한 결과 334가구에서 2명이상 환자가 발생해 가족내 2차 감염율은 2.65%로 추정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A형 간염 유행은 조개젓이 큰 원인이나 집단발생 후 접촉 감염, 확인되지 않은 소규모 음식물 공유에 의한 발생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 예방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A형간염 예방수칙은 △A형간염 안전성 확인시까지 조개젓 섭취 중단 권고 △조개류 익혀먹기 △요리 전, 식사 전, 화장실 다녀온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A형간염 예방접종 권고 등이다. 한편, 오염된 조개젓 제품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감염병포탈에서 A형간염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19-09-11 09:15:40부산시는 지난 6월부터 동일한 식당 이용객을 대상으로 집단 발생했던 A형 간염의 원인이 '조개젓'이라는 결과를 최종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아울러 지난 8월 26일 이후 관련 확진자가 없어 A형 간염이 사실상 '유행종료'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덧붙였다.시는 지난달 31일까지 9개 카드사에서 1347건의 결제내역을 확보해 식당을 방문한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조개젓 섭취 여부에 따른 발병 비교위험도가 114.60으로 조개젓이 감염원인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를 확보했다.앞서 발병 초기부터 조개젓이 원인일 가능성을 높게 본 시는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반과 함께 심층분석에 나섰다. 이에 지난달 28일 미개봉 조개젓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IA형)를 검출했으며, 이어 음식점 주인이 개인 섭취용으로 별도 보관 중이던 조개젓에서도 바이러스(IA형)를 검출한 바 있다. 이번 A형 간염 집단유행으로 8월 31일을 기준으로 총 161명의 확진자와 20명의 병원체 보유자가 발생했다. 확진자의 연령은 15세부터 52세까지로 확인됐고, 주로 20~40대였다.또 확진자들이 해당 음식점을 방문한 시기는 6월 4일부터 7월 13일이었다. 따라서 시는 확진자 중 가장 마지막으로 식당을 방문한 7월 13일을 기준으로 최대 잠복기인 50일 되는 시점(9월 1일)이 지난 현재 조개젓 섭취로 인한 추가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현재까지 파악된 2차 감염자는 1명이며 추가 발생 개연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시는 선제적 조치로 인해 2차 감염자가 소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이번 A형 간염 집단발병 원인이 조개젓임을 확인한 만큼 적극적인 후속조치를 통해 전국적으로 유행 중인 A형 간염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2019-09-02 18:14:02[파이낸셜뉴스] 부산시는 지난 6월부터 동일한 식당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집단 발생했던 A형 간염의 원인이 '조개젓'이라는 결과를 최종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아울러 지난 8월 26일 이후 관련 확진자가 없어 A형 간염이 사실상 '유행종료'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덧붙였다. 시는 지난달 31일까지 9개 카드사에서 1347건의 결제내역을 확보해 식당을 방문한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그 결과 조개젓의 섭취여부에 따른 발병 비교위험도가 114.60으로 조개젓이 감염 원인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를 확보했다. 앞서 발병 초기부터 조개젓의 원인 가능성을 높게 본 시는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반과 함께 심층 분석에 나섰다. 이에 지난달 28일 미개봉 조개젓에서 A형 간염바이러스(IA형)를 검출했으며, 이어 음식점 주인이 개인섭취용으로 별도 보관 중이던 조개젓에서도 바이러스(IA형)를 검출한 바 있다. 이번 A형 간염 집단 유행으로 8월 31일을 기준으로 총 161명의 확진자와 20명의 병원체 보유자가 발생했다. 확진자의 연령은 15세부터 52세까지로 확인됐고, 주로 20~40대였다. 또 확진자들이 해당 음식점을 방문한 시기는 6월 4일부터 7월 13일이었다. 따라서 시는 확진자 중 가장 마지막으로 식당을 방문한 7월 13일을 기준으로 최대 잠복기인 50일 되는 시점(9월 1일)이 지난 현재, 조개젓 섭취로 인한 추가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2차 감염자는 1명이며 추가발생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시는 선제적 조치로 인해 2차 감염자가 소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시는 이번 A형 간염 집단발병의 원인이 조개젓임을 확인한 만큼, 적극적인 후속조치를 통해 전국적으로 유행 중인 A형 간염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조개젓과 관련해 발생한 집단 발병은 종료수순에 들어가지만 A형 간염은 여전히 전국적으로 유행 중"이라며 "특히 수도권을 비롯한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한 만큼 계속해서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2019-09-02 15:5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