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올해 3·4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미상환 발행잔액이 48조148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25.1%, 직전 분기 대비로는 5.1% 감소했다. 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ELS 발행금액은 9조40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발행 종목 수는 3116종목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다. 발행형태별로 공모발행이 83.2%, 사모발행이 16.8%를 차지했다. 공모는 전년 도익 대비 13.8% 감소했으며 사모는 전년 동기 대비 86.6% 늘었다. 기초자산 유형을 보면 지수형 ELS가 5조6781억원으로 발행금액의 60.4%를 차지했다. 국내주식 및 해외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종목형 ELS는 3조4626억원으로 36.8%를 차지했다. 아울러 직전 분기 대비 주요 해외지수 및 국내지수 발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과 유로스탁(EURO STOXX) 50을 포함하는 ELS가 3조3428억원과 2조9746억원 발행돼 직전 분기 대비 각각 4.8%, 5.3% 증가했다.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와 닛케이(NIKKEI) 225를 포함하는 ELS는 3094억원과 1조1618억원 발행돼 직전 분기 대비 6.1% 감소, 84.4% 증가했다. 기초지수에 코스피 200을 포함하는 ELS는 4조6102억원 발행돼 직전 분기 대비 3.8% 늘었다. 발행회사별로 22개 발행회사 중 상위 5개 증권사의 ELS 발행금액은 5조3610억원으로 전체 발행금액의 57%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ELS 상환금액은 11조95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상환 유형별로 만기상환 및 조기상환 금액이 각각 6조3229억원, 4조8216억원으로 전체 상환금액의 52.9%, 40.3%를 차지했다. 중도상환 금액은 8098억원으로 전체 상환금액의 6.8%를 차지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11-07 11:17:01[파이낸셜뉴스] 미국 빅컷으로 운신의 폭이 넓어진 중국이 연휴를 앞두고 고강도 경기 부양책에 시동을 걸면서 국내 경기민감주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앞서 글로벌 1위 중국 맥주 기업 화룬맥주와 국내 유통계약을 체결한 제주맥주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글로벌 증시의 전반적인 강세가 이어진 가운데, 오랜만에 중국 증시가 고강도 통화 및 재정정책 발표에 따른 상승 랠리를 보이고 있다. 항셍지수와 상해종합지수는 최근 한 달간 수익률이 각각 13.1%, 12.8% 급등하는 등 국내 시클리컬 및 중국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르면 오는 10월 1일 인민은행장과 국가금융관리총국 국장,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지원책을 소개할 예정이다. 실제 인민은행은 시장이 예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부양책(지준율 인하, 7일물 역레포 금리 인하, 기존 모기지 금리 인하, 2주택 계약금 완화 등)을 제시했다. 삼성선물 옥지회 연구원은 "중국 지도부가 이례적으로 경제 문제를 지적하며 재정 지출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라며 "무엇보다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 조치를 실행할 의지를 드러내면서 중국의 경제 성장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가 다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제주맥주는 지난 6월 글로벌 맥주 기업 화룬맥주와 대표 제품 '설화맥주'에 대한 국내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 설화맥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로 2021년 기준 중국 내 점유율 22.3%로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맥주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화룬맥주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주류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화룬맥주는 중국 최대 맥주 기업으로 맥주 제조, 판매 및 유통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다. 화룬맥주는 설화맥주를 비롯해 프리미엄 제품 'Super X'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하이네켄과 같은 글로벌 히트 제품에 대한 중국 내 유통권도 보유하고 있다. 화룬맥주는 현재 홍콩 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시가총액은 우리돈 18조원에 달한다. 설화맥주의 국내 유통은 이미 개시됐다. 제주맥주는 1차 물량을 완전 소비하고 향후 유통 물량을 확대해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제주맥주 관계자는 "설화맥주의 국내 1차 물량은 큰 규모는 아니었지만 샘플링이 마무리된 상태로 2차 물량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맥주는 연내 자금 조달 절차를 마무리하고 종합 식음료(F&B)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냉동김밥 1위 기업 인수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겠다는 의지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9-30 10:09:11[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총 5만6275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특히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민원 급증으로 은행권의 금융민원 접수건수가 가장 많이 늘었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민원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접수건수는 전년동기 대비 16%(7769건) 늘어난 5만6275건을 기록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은행(5594건 증가), 손해보험(1802건 증가), 중소서민(1111건 증가) 민원은 증가한 반면 생명보험(582건 감소)과 금융투자(156건 감소) 민원은 감소했다. 권역별 비중은 손해보험(35%), 은행(25%), 중소서민(21%), 생명보험(11.7%), 금융투자(7.3%) 순이엇다. 구체적으로 올해 상반기 은행 민원은 1만4080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65.9% 급증했다. 홍콩 H지수 기초 ELS 관련 민원이 다수 제기되어 펀드·신탁 민원유형이 대폭 증가했고 보이스피싱, 예적금 관련 민원유형이 소폭 증가했다. 반면 여신 관련 민원유형은 감소했다. 중소서민 민원은 전년동기 대비 10.4% 늘어난 1만1836건이었다. 신용카드사(367건 증가)와 신용정보회사(235건 증가) 민원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올해 상반기 생명보험 민원은 6586건으로 전년동기보다 8.1% 감소했다. 보험모집과 보험금 산정·지급이 1년 전보다 각각 12.5%, 15% 감소한 영향이다. 생명보험과 달리 손해보험 민원은 1만9668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보험금 산정 ·지급(1662건 증가)과 계약 성립·해지(395건 증가)가 각각 17.5%, 30% 늘어난 반면 면부책 결정(251건 감소)에서 12.5% 줄었다. 금융투자 민원은 4105건으로 전년동기보다 3.7% 감소했다. 증권사와 투자자문사에 대한 민원은 각각 79건, 219건 감소했지만 부동산 신탁사와 자산운용사 민원은 증가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금융민원 처리건수는 총 4만9941건으로 전년동기보다 2.1% 증가했다. 처리건수는 2022년 상반기 4만734건, 2023년 상반기 4만8902건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상반기 전체 민원에 대한 평균 처리기간은 35.3일로 전년 동기(48.9일) 대비 13.6일 대폭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민원 수용률은 37.2%로 전년 동기(34.9%) 대비 2.3%p 증가했다. 일반민원 수용률은 33.5%로 전년 동기(31.2%) 대비 2.3%p 증가했으며 분쟁민원 수용률은 44.5%로 전년 동기(40.3%) 대비 4.2%p 늘었다. 금감원은 "신속한 분쟁처리와 함께 소비자 피해구제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적체 민원 해소, 처리기간 단축 등 민원처리 효율화와 함께 소비자 피해예방 및 구제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실손보험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실손보험 보험금 산정 및 지급에 대한 민원유형은 총 349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6%(839건) 증가했다. 금감원은 "실손보험과 관련된 소비자 유의사항 등을 지속적으로 안내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24-09-12 00:50:00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에 S&P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원금손실구간에 들어간 상당규모의 ELS가 조기상환에 실패해 만기를 기다리고 있지만 주가 변동성 악재로 만기 손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10일 KIS자산평가에 따르면 S&P 연계 ELS 중 녹인 배리어(원금손실한계선)을 터치한 상품 잔액은 이달 기준 총 2529억원으로 집계됐다. S&P 연계 녹인형 ELS 잔액은 3조6502억원 수준이다. 녹인형 ELS는 해당 기초 지수가 하한 배리어(원금손실한계선)를 한 번이라도 터치하고, 약속한 수준 이상으로 지수가 회복되지 않으면 원금이 손실을 보는 상품이다. 즉 해당 지수가 추가 하락할 경우 ELS 손실 규모는 현재 추정금액의 두 배로 뛸 수 있는 셈이다. 경기침체 가능성으로 인한 미국 증시 불안감은 추가적인 녹인형 ELS 손실 우려를 키우고 있다. 앞서 H지수 연계 ELS 투자 손실을 간접적으로 학습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불안감에 불을 지핀 것은 미국 고용 지표다. 미 노동부는 6일(현지시간) 8월 비농업부문 일자리가 14만2000건 늘어났지만, 월가 예상치(16만 건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7월 구인건수는 767만건으로 시장 예상치(809만건)를 밑돌아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라며 "미국의 고용시장은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미 증시 변동성 확대는 아시아 주요 주가지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증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한편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연계 ELS는 녹인형 기준으로 2조4418억원이다. 녹인 터치 잔액은 447억원 수준에 그쳤다. 상반기 중 10조원가량의 만기액이 상환됐지만, 재발행은 중단한 상황이다. 이 외 코스피 200 연계 ELS 녹인형 잔액은 1조6475억원으로 녹인터치 잔액은 472억원 수준이다. 유로스톡스50 연계 ELS 녹인형 잔액은 3조988억원으로 녹인터치 잔액은 현재 1292억원이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2024-09-10 18:30:33[파이낸셜뉴스]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에 S&P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의 근심도 깊어지고 있다. 원금손실구간에 들어간 상당규모의 ELS가 조기상환에 실패해 만기를 기다리고 있지만 주가 변동성 악재로 만기 손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10일 KIS자산평가에 따르면 S&P 연계 ELS 중 녹인 배리어(원금손실한계선)을 터치한 상품 잔액은 이달 기준 총 2529억원으로 집계됐다. S&P 연계 녹인형 ELS 잔액은 3조652억원 수준이다. 녹인형 ELS는 해당 지수가 하한 배리어(원금손실한계선)를 한 번이라도 터치하고, 약속한 수준 이상으로 지수가 회복되지 않으면 원금이 손실을 보는 상품이다. 즉 지수가 추가 하락할 경우 ELS 손실 규모는 현재 추정금액의 두 배로 뛸 수 있는 셈이다. 경기침체 가능성으로 인한 미국 증시 불안감은 추가적인 녹인형 ELS 손실 우려를 키우고 있다. 앞서 H지수 연계 ELS 투자 손실을 간접적으로 학습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불안감에 불을 지핀 것은 미국 고용 지표다. 미 노동부는 6일(현지시간) 8월 비농업부문 일자리가 14만2000건 늘어났지만, 월가 예상치(16만 건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7월 구인건수는 767만건으로 시장 예상치(809만건)를 밑돌아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라며 "미국의 고용시장은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미 증시 변동성 확대는 아시아 주요 주가지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증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한편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연계 ELS는 녹인형 기준으로 2조4418억원이다. 녹인 터치 잔액은 447억원 수준에 그쳤다. 상반기 중 10조원가량의 만기액이 상환됐지만, 재발행은 중단한 상황이다. 이 외 코스피 200 연계 ELS 녹인형 잔액은 1조6475억원으로 녹인터치 잔액은 472억원 수준이다. 유로스톡스50 연계 ELS 녹인형 잔액은 3조988억원으로 녹인터치 잔액은 현재 1292억원이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2024-09-10 14:44:02[파이낸셜뉴스]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등 영향으로 은행권 운영리스크가 최근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3월까지만 봐도 운영리스크로 인한 순손실 규모가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라임 불완전판매로 크게 늘었던 2020년 수치도 넘어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전체 위험가중자산(RWA) 가운데 운영 RWA가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 추후 제도 보완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이 5일 발표한 '은행권 운영위험 현황'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은행권 운영리스크 순손실금액은 1조8726억원으로 집계됐다. DLF·라임 불완전판매 사태 직후인 지난 2020년 기록(1조6225억원)을 3개월 만에 넘어섰다. 운영리스크는 부적절하거나 잘못된 내부절차, 시스템, 직원 또는 외부 사건 등으로 발생하는 리스크를 말한다. 통상 복잡한 금융상품 판매가 늘어나거나 소송이 늘어나면 증가하는데 과거 10년래 최고치였던 2020년 기록을 최근 갈아치운 것이다. 지난 2016~2019년 1000억원대였던 은행권 운영리스크 순손실은 2020년 불완전판매 영향으로 1조원대로 급증했다. 이후 2021~2023년 1조원을 밑돌다가 올해 들어 2배 넘게 늘었다. 3월말 현재 은행권 운영 RWA 산출에 반영 중인 과거 10년 누적 손실 금액은 총 6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은행권 전체 RWA 중 운영 RWA가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됐다. 3월말 기준 은행권 RWA는 총 2310조2000억원으로 이 중 운영 RWA는 179조원으로 7.7%를 차지했다. RWA는 은행 자산을 유형별로 위험 정도를 감안해 산출한 수치로 신용 RWA, 운영 RWA, 시장 RWA로 나뉜다. 3월말 신용 RWA과 시장 RWA는 각각 2042조6000억원(88.4%), 89조6000억원(3.9%)으로 파악됐다.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전통적인 신용 위험라든가 시장 위험 외에 운영 위험이 은행의 전체 위험자산 중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게 적당한 수준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추후 점검을 통해 제도 보완 등이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seung@fnnews.com 이승연 서혜진 기자
2024-09-05 09:59:41[파이낸셜뉴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충당금 적립과 금리 인하 효과 등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조5000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2024년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이 12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한 수치다. 시중은행 순이익이 6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9000억원) 대비 2000억원 감소한 반면 지방(+1000억원)·인터넷은행(+1700억원)은 소폭 증가했다. 특수은행 순이익은 4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4000억원) 대비 1조6000억원 감소했는데 이는 2023년 상반기 한화오션 경영정상화로 순이익이 크게 늘어난 기저효과에 주로 기인한다. 2024년 상반기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67%로 전년 동기(0.79%) 대비 0.12%p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9.03%로 전년 동기(10.85%) 대비 1.82%p 하락했다. 항목별로 국내은행 이자이익은 29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9조4000억원) 대비 4000억원 늘었다. 이는 이자수익자산 증가(+4.1%)에 주로 기인하며 순이자마진(NIM)은 0.06%p 축소해 이자이익 증가세가 둔화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3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8000억원) 대비 4000억원 줄었다. 수수료이익(+2000억원)과 유가증권관련이익(+2000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는데 외환·파생관련이익이 6000억원 감소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12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00억원 늘었다. 대손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5000억원 줄어든 2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상반기 중 특수은행의 한화오션 관련 충당금 환입에도 불구하고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 등에 따라 국내은행 대손비용이 큰 폭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다. 마지막으로 영업외손익은 -1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원) 대비 2조3000억원 줄었다. 2023년 상반기는 한화오션 투자지분 손상차손 환입으로 영업외손익이 증가한 반변 올 상반기에는 ELS 관련 충당부채 1조4000억원을 적립하며 영업외손익이 감소했다. 금감원은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라 금융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위기시에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08-21 15:48:24[파이낸셜뉴스] 금융감독원이 오는 22일부터 6주간 KB금융지주·국민은행에 대한 종합검사에 돌입한다. 최근 국민은행 직원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부당이득을 취하고 담보 가치를 부풀려 산정하는 사고도 벌인 만큼 내부통제 운영 실태 점검이 주된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급증하는 가계부채에 대한 현황 파악과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과 같은 고위험 상품 판매 관행 점검도 현안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검사 휴지기를 마친 금감원은 검사팀 인력 40여명을 꾸려 내주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에 종합검사를 착수한다. 지난 2021년 6~7월 종합검사를 실시한지 3년만으로 현안이 산적한 만큼 고강도 검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금감원은 이에 앞서 지난달 10월부터 사전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 최근 연달아 일어나는 은행권 금융사고와 관련 내부통제 실태를 집중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에서는 지난해 증권대행사업부 소속 직원들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수십억원대 부당이득을 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100억원 이상 대형 대출 배임 사고가 3건 적발됐다. 경기 안양 A지점에서 104억원, 대구 B지점 111억원, 용인지점 C지점 272억원 등이다. 이들은 실제 할인 분양가가 아닌 최초 분양가를 기준으로 담보가치를 산정하는 등 '담보가치 부풀리기'로 거액의 여신을 내준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은행 직원과 감정평가 간 직무분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대출 한도를 통제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이 미비한 등 은행 차원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고위험 상품 판매에 대한 관행 점검도 주요 이슈다. 금감원은 올 상반기부터 홍콩H지수 ELS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는데 은행권에서 국민은행(8조1972억원)이 가장 많이 판매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판매 과정에서 불완전판매가 일어났다고 보고 전반적인 은행권 고위험 상품 판매에 대한 제도 개선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가계대출 점검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가계대출을 자제해 달라는 메시지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증가세가 잡히지 않고 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715조7383억원으로 1달 새 7조1660억원 또 늘었다. 특히 국민은행은 은행권에서 가계대출 잔액이 가장 많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08-19 10:46:23[파이낸셜뉴스]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아시아 증시가 파랗게 질렸다. 2일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3시 기준 닛케이225지수는 전일 대비 5.47% 떨어진 3만6039.20을 기록 중이다. 지난 1일 2.49% 급락한 데 이어 이틀 동안 3000포인트 가량 빠졌다.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엔화가치 강세까지 겹친 것이다 도요증권의 오츠가 류타 연구원은 "미국 경기 둔화와 엔화 강세 우려로 기업 실적에 대한 전망이 바뀌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매도하는 것 같다"면서 "단기간에 시장 분위기가 약세로 바뀌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1.21%), S&P500(-1.37%), 나스닥(-2.30%) 등 3대 지수는 급락했다. 미국의 경제지표 악화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속에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났다고 미국 경제방송 CNBC는 전했다. 주요 기술주 가운데 엔비디아(-6.67%), 테슬라(-6.55%), AMD(-8.26%) 등이 급락했다. 중국과 대만 증시도 장중 이틀째 내림세다. 같은 시간 홍콩항셍지수는 전일 대비 2.45% 내린 1만6880.20를 기록 중이고 대만 기관지수는 4.43% 빠진 2만1638.09,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0.67% 하락한 2912.67를 기록 중이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2024-08-02 15:07:27[파이낸셜뉴스]신한금융그룹이 올해 상반기 2조7470억원 규모의 당기순익을 시현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순익 2조6262억원과 비교할 때 4.6% 늘어난 것이다. 신한금융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잠재 손실을 대비한 충당금 적립 여파에도 기업대출 중심의 이자이익 증가와 신용카드·투자금융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이 늘어나면서 실적 성장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신한금융이 발표한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해 2·4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425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보다 15.1% 늘어난 것으로 직전분기와 비교할 때도 7.9% 증가했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경상 기준 이익은 역대 최대다. 지난 1·4분기 일회성으로 발생한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배상 충당금이 환입되면서 경상이익이 급증했다. 수치상 분기 순이익 기록은 지난 2022년 3·4분기의 1조5946억원이 더 많지만, 당시 일회성 이익인 신한증권 매각액(4438억원)이 실적에 포함됐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부동산 관련 잠재 손실에 대한 선제적 충당금 인식에도 불구하고 경상 손익 기준으로 분기 최대 손익을 달성했다"면서 "기업대출 성장 기반의 이자 이익과 신용카드·투자금융 수수료 등의 비이자이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반기 이자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7.0% 증가한 5조6377억원을 달성했다. 상반기 누적 그룹 순이자마진(NIM)이 1.97%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2·4분기 이자이익은 전분기 대비 분기 그룹 NIM과 은행 NIM이 각각 5bp, 4bp 하락했다. 비이자이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2조1146억원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감소했으나 신용카드, 리스, 증권수탁, 투자금융(IB) 등 수수료이익과 보험이익이 늘면서 4.0% 증가했다.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성장을 이끈 2·4분기 비이자이익은 전분기 대비 10.9% 급증했다. 상반기 그룹 글로벌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4% 급증한 4108억원을 시현다. 신한베트남은행이 SBJ은행은 상반기 중 각각 1413억원, 715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12.1%, 16.7% 급증한 것으로 두 은행이 신한금융 글로벌 부문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끄는 모습이다. 한편, 상반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98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줄었다. 책임준공확약형 토지신탁에 대한 충당금 적립에도 불구하고 은행의 대손비용이 감소하며 감소폭이 2%대에 그쳤다. 2024년 상반기 누적 대손비용률은 0.48%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신한금융의 상반기 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각가 은 13.05%, 15.76%로 나타났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5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2% 늘었했다. 대출자산이 증가하며 이자이익이 성장한데다 전년 동기 적립했던 충당금 적립효과 소멸에 따른 대손비용 영향이 감소한 결과다. 신한은행은 2·4분기 당기순이익 1조1248억원을 시현했다. 이는 직전 분기 대비 21.1% 급증한 것이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5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2% 늘었했다. 대출자산 증가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에 더해 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효과 소멸이 나타나면서 급증세를 보였다. 원화대출금은 전년 말 대비 6.4% 증가했다. 가계 부문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영향으로 전년 말 대비 2.1% 늘었다. 기업 부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고르게 증가하며 전년 말 대비 9.9% 증가했다. 비은행 계열사를 살펴보면 신한카드의 2·4분기 당기순이익은 1943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0% 증가했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7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7% 급증했다. 신한투자증권의 2·4분기 당기순이익은 1315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3.7% 증가했으며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0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감소했다. 신한라이프의 2·4분기 당기순이익은 1587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1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신한금융그룹 이사회는 이날 보통주 배당금을 주당 540원으로 결의했다. 지난해 1·4분기부터 시작한 분기 균등 배당 정책을 이어갔다. 신한금융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핵심목표로 오는 2027년까지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보통주 자본비율 13%, 주주환원율 5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2027년까지 3조원 가량 자사주를 소각해 총 주식수 4억5000주까지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하반기 전망에 대해 “상반기에 집중됐던 자산 성장은 하반기에는 다소 완화될 것이고, 시장금리 인하에 따른 NIM 하락 압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2024-07-26 14:4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