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이후 자취를 감춘 5만원권이 다시 시중에 풀리고 있다. 코로나19가 끝나며 대면 경제 활동이 늘었고 시중금리 상승으로 고액권을 들고 있는 것보다 예·적금 등의 형태로 굴리는 게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67.1%로 지난 2018년(67.4%) 이후 가장 높았다.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 2014년(25.8%)부터 2018년까지 5년 연속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24.2%) 이후 2021년에 17.4%까지 떨어진 후 지난 2022년에 56.5%까지 올라오며 다시 반등했다. 이같이 5만원권 환수율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19로 위축된 대면 상거래가 회복됐기 때문이다. 환수율은 해당 기간 발행액 대비 환수액의 비율로 화폐 환수율이 높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은 관계자는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금수송회사(CIT)의 상거래기업 화폐관리업무 실적은 지난 2020년 3조원에서 2022년 5조2000억원까지 늘었다. 고금리에 화폐를 단순히 금고에 넣어 보관하는 것에 대한 기회비용이 크게 증가한 것도 원인이다. 시중금리가 크게 늘면서 은행에 돈을 예치해 이자를 받는 게 더 효율적이게 된 것이다. 예금은행의 정기예금(1년) 평균 금리(신규취급액)는 지난 2020~2021년 1.18%에서 2022년~2023년 3.45%까지 상승했다. 미국 등 주요국 고액권도 코로나19 이후 금리상승의 영향으로 환수율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00달러 환수율이 2020년 75.7%에서 2022년 105.6%까지 늘었다. 100유로 이상의 환수율도 2020년 51%에서 2022년 81.3%까지 상승했다. 향후 5만원권 환수율은 단기적으로는 시중금리 향방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은행의 수신금리가 높아지면 환수율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뜻이다. 장기적으로는 비현금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이 최초 발행 후 경과된 기간(14.5년)이 최근 유통수명(15년 내외)에 근접함에 따라 초기 발행물량을 중심으로 손상권 환수가 늘어날 전망”이라며 “향후 시장금리의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의 화폐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1-14 12:14:45[파이낸셜뉴스] 11월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5만원권 환수율은 25.4%로 전년 동기 대비 39.4%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만원권이 최초 발행된 2009년 6월 이후 최저치다. jinie@fnnews.com 박희진 기자
2020-11-30 17:41:18[파이낸셜뉴스] 5만원권을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은 기분 탓이 아니었다. 실제 5만원권의 환수율이 올해 25%를 간신히 넘으며 2009년 발행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우리나라를 덮친 코로나19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며 현금 확보 심리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5만원권 환수율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10월중 5만원권 환수율은 25.4%로 나타났다. 발행된 21조9000억원 가운데 5조6000억원만 환수된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4%포인트 미끄러진 규모다. 5만원권이 처음 발행된 2009년 6월 이후 최저치이기도 하다. 5000원권 환수율이 전년 동기 대비 1.3%포인트 늘고, 1000원권의 경우 1.3%포인트 하락한 데에 그친 것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환수율 하락은 시중에 발행된 화폐가 그만큼 돌아오지 않았다는 뜻이다. 5만원권 환수율 급감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국면에서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5만원권 쌓아두려는 수요 증가가 지목된다. 대면 상거래 부진으로 화폐 유통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5만원권 환수가 더뎌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시중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저금리 기조 등으로 현금보유 성향이 높아진 영향도 있다. 한은은 “코로나19 이후 안전자산 선호, 저금리 등으로 예비용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금융 불안기에도 고액권을 중심으로 환수율이 하락했고, 현재 주요국에서 고액권 환수율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3차 대유행’을 맞으며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당분간 환수율 저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한은은 내년까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되면 5만원권 수요에 맞춰 발주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 환수율의 단기 하락세는 지하경제 유입 등의 구조적 문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코로나19에 따른 화폐유통경로상 부정적 충격, 경제적 불확실성 증대에 의한 예비용 수요 확대 등의 영향이다”라고 짚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인턴기자
2020-11-30 09:03:04[파이낸셜뉴스] 올해 5만원권 환수율이 25.4%로 2009년 첫 발행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 대면 상거래도 줄면서 환수율이 낮아졌다는 평가다. 한국은행은 내년에 5만원권 발주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11월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5만원권 환수율 평가 및 시사점'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5만원권의 발행액은 1월부터 10월까지 모두 21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환수액은 5조6000억원으로 발행액에서 환수액을 뺀 환수율은 25.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39.4%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 2009년 5만원권이 최초 발행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과거 금융불안기인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고액권인 만원권의 환수율은 107.1%로 전년대비 6.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시에는 95.1%로 전년대비 0.8%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금융불안기에는 경기위축 등의 영향으로 발행액과 환수액이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에는 5만원권 발행액이 늘어나면서도 환수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환수율이 급락해 과거 금융불안기와 대비된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의 특성상 대면 상거래 제약이 발생해 화폐 유통이 위축되면서 5만원권 환수액이 크게 감소했다는 평가다. 동시에 안전자산 선호 등 예비용 수요로 발행액은 증가해 올해 1~10월중 지급 상위 3개 금융기관을 통한 5만원권 발행액은 전년동기 대비 8.8% 감소했지만 3개 기관을 제외한 여타 시중은행의 발행액은 25.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이후 시중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저금리 등으로 현금보유성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은은 내년중에도 이 같이 낮은 환수율이 나타날 경우 5만원권 수요에 대응해 발주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 환수율이 단기간에 크게 하락한 것은 지하경제 유입 등의 구조적 문제라기보다는 코로나19에 따른 화폐유통경로상 부정적 충격, 경제적 불확실성 증대에 의한 예비용 수요 확대 등 경제적 충격이 크게 작용한 데 주로 기인한다"며 "코로나19의 진행상황에 따라 5만원권 환수율도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2020-11-27 16:57:15▲ 사진: 방송 캡처 5만원권 지폐의 올 상반기 환수율이 50%에 그쳤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6월 발행된 5만원권은 11조2,016억8,200만원이고 환수액은 5조6,820억1,800만원으로, 환수율은 50.7%로 집계됐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14년 25.8%에서 지난해 40.1%로 오른 데 이어 올해도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다른 지폐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크게 낮은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1만원권 환수율은 111.2%나 됐고 5천원권(93.5%)과 1천원권(94.7%)도 90%를 넘겼다. 5만원권 발행 잔액은 지난 6월 말 현재 69조8.432억7,800만원으로 전체 지폐발행 잔액(89조1,276억1,400만원)의 78.4%를 차지한다. 또 5만원권 발행 잔액은 올 상반기에 5조5,196억6,500만원이나 증가했다. 한은은 2014년 6월부터 금융기관의 5만원권 지급한도 관리를 중단하고 수요에 맞춰 충분하게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시중에 풀린 5만원권 지폐는 급증하고 있지만, 부작용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강경훈 동국대 교수는 지난달 한국금융연구원이 개최한 '국가 자금세탁 위험 평가' 공청회에서 "거래와 보관이 수월한 5만원권의 경우 은닉 등 불법자금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김영란법 제정으로 5만원권의 지하경제 유입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 전망"이라고 밝혔다. /leej@fnnews.com 이효정 기자
2016-08-05 11:36:41시중에 풀린 5만원권이 지난해 말 처음으로 1인당 20장을 넘어섰다. 하지만 환수율은 연간 29.7%로 역대 가장 낮아졌다.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이 100장이라면 30장만 돌아오기 때문에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5만원권의 시중 발행 잔액은 52조34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연간 증가분도 발행 첫해 증가물량을 넘었다. 5만원권은 발행 첫해인 2009년말 9조9230억원에서 2010년 18조9962억원→2011년 25조9603억원→2012년 32조7665억원→2013년 40조6812억원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시중에 풀린 화폐(기념주화 제외) 중 5만원권의 비중도 꾸준히 늘어 지난해엔 70%에 육박했다. 5만원권 비중은 2009년 26.6%→2010년 44.0%→2011년 53.5%→2012년 60.4%→2013년 64.3%로 늘어났다. 장수로 따지면 10억4000만장으로 국민 1인당 20.6장으로 처음으로 20장을 넘었다.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은 작년 11월말(10억500만장) 10억장을 넘기 시작했다. 이는 5만원권에 대한 환수율이 크게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5만원권 연도별 환수율은 발행 첫해 2009년 7.3%에서 2010년 41.4%, 2011년 59.7%, 2012년 61.7% 등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새 정부가 출범한 2013년 48.6%로 떨어진 환수율은 지난해 29.7%로 고꾸라졌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2015-01-18 16:59:145만원권 환수율이 발행 첫해를 빼고는 처음으로 지난 3·4분기에 10%대로 하락했다. 또 대형마트.백화점이 발행한 액면가 30만원 이상의 고액 상품권이 1년 새 2배로 증가했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9월 중 환수된 5만원권은 9820억원이었다. 이는 발행된 5만원권 4조9410억원의 19.9%에 그친 것이다. 분기 환수율이 이보다 낮은 적은 2009년 6월 첫 발행 이후 그해 2·4분기(0.1%)와 3·4분기(1.1%)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09년 4·4분기에 24.7%로 높아졌으며 새 화폐 보급이 확산되면서 2012년 4·4분기에는 86.7%까지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5만원권이 지하경제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한은은 5만원권을 둘러싼 지하경제 논란이 거세자 올해 처음으로 일반인과 기업을 상대로 화폐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여 연내 공표할 방침이다. 5만원권 환수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대형마트.백화점의 고액상품권 발행량이 1년 새 2배나 불어난 점도 지하경제가 확대되는 신호일 수 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지난해 한국조폐공사가 유통사의 위탁을 받아 찍어낸 30만.50만원권 상품권은 478만장으로 1년 전(227만장)보다 110.6% 증가했다. 액면가 50만원 상품권은 2009년만 해도 연간 42만1000장이 발행됐지만 지난해에는 365만4000만장으로 늘었다. 4년 만에 9배 가까이로 급증한 것이다. 같은 기간에 5만원권 상품권 발행량이 2.1배로, 10만원권은 2배로 각각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50만원권은 크게 늘어난 것이다. kmh@fnnews.com 김문호 기자
2014-10-20 08:19:51올해 전국에서 5만원권 환수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부산·경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2일 한국은행이 새누리당 이만우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부산·경남 지역의 5만원권 환수율은 3.0%에 그쳤다. 시중에 나간 5만원권 100장 가운데 3장이 한국은행으로 돌아온 것. 올 들어 부산·경남에선 5만원권 1조4천168억원어치가 발행됐고, 421억원어치가 환수됐다. 한은이 각 지역 금융기관을 통해 내보낸 5만원권은 시중에 풀렸다가 다시 한은 금고로 돌아온다. 금융기관들이 필요 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게 되면 이를 한은에 예치하기 때문이다. 환수율은 특정 기간에 발행된 화폐가 한은으로 돌아온 비율을 뜻한다. 부산·경남에 이어 대구·경북지역 환수율(5.6%)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고 경기(6.3%), 광주·전라(16.2%), 대전·충청(20.0%), 서울·강원지역(34.8%)이 그 뒤를 이었다. 한은은 부산·경남지역의 5만원권 환수율이 특히 낮은 이유는 소비 흐름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 지역에서는 돈을 벌기만 하고 정작 소비는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한다는 얘기다. 실제로 한은이 지난 2011년 부산·울산·경남지역 주민들의 신용카드 지출을 조사해본 결과, 서울 등 수도권에서의 지출 비중이 15.4%에 달했다.
2014-10-10 10:21:24[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시중 현금 증가율이 1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은 181조 947억원으로 2022년 말 174조8623억원보다 3.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지난 2004년 말(1.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화폐발행잔액은 시중에 공급된 화폐 잔액으로 한은이 발행한 금액에서 환수한 금액을 뺀 수치다. 환수율이 높아지면 잔액 증가율도 둔화하게 된다. 화폐발행잔액은 지난 2016년 말 97조3823억원에서 2017년 말 107조9076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이후 2018년 말 115조3895억원, 2019년 말 125조6989억원으로 늘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유동성이 커지면서 2020년 말 147조5569억원, 2021년 말 167조5719억원 등으로 불어났다. 화폐발행잔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난 2016년 12.2%, 2017년 10.8%, 2018년 6.9%로 둔화하다가 2019년 8.9%로 증가 전환했다. 이어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 17.4%로 급증했고, 2021년(13.6%)에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이후 2022년 4.4%로 내린 뒤 지난해3%대까지 떨어졌다. 한은은 최근 대면 상거래 회복세로 인한 화폐 환수율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현금을 환수하면 금고에 보관했다가 시중은행 요청을 받고 다시 내보낸다”며 “환수가 많이 되는 상황에서는 화폐발행잔액의 증가율이 높아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증가율이 코로나19 사태 때 일시적으로 10%를 웃돈 것은 화폐 발행을 크게 늘린 데 따른 이례적인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고금리에 따른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 증가, 신용카드·모바일 페이 등 비현금 지급수단 사용 증가로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3%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해 말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159조8679억원으로 집계되며 전체의 88.3%를 차지했다. 반면, 1만원권 잔액은 2021년 말 17조8220억원, 2022년 말 16조3751억원, 지난해 말 15조7017억원으로 3년 연속 줄어들었다. 지난해 말 비중은 8.7%였다. 5000원권 잔액도 2022년 말 1조4390억원에서 지난해 말 1조4384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1-17 14:47:45[파이낸셜뉴스]한국은행이 발행하는 은행권 중 5만원권이 '현금 지급결제 대세'로 자리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5만원권이 전체 화폐발행잔액에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반면, 1만원권 비중은 10% 아래로 떨어져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추석 용돈이나 축의금, 조의금 등 현금을 주로 사용할 때 5만원권이 새로운 표준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8월말 전체 화폐발행잔액은 176조8000억원, 이중 5만원권이 155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발행잔액의 88.1%로 2009년 6월 이후 가장 14년 여 만에 5만원 비중이 가장 높았다. 화폐발행잔액은 한국은행이 시중한 공급한 화폐에서 환수한 돈을 제외하고 시중에 남아있는 금액이다. 물가 상승 등 현금 지급결제시 고액권 결제 수요가 커지면서 5만원권 유통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2009년 5만원권 첫 발행 후 2010년 2월 화폐발행잔액의 30%, 2010년 9월에는 40%를 넘었고 2011년 8월 50%로 확대됐다. 2015년 1월 70%, 2017년 11월엔 80%까지 늘었다가 2021년 6월 85% 고지를 넘어섰다. 1만원권 비중은 확 줄었다. 지난 8월말 기준 1만원권 발행잔액은 15조6000억원으로 전체의 8.8%에 그쳤다. 역대 최저다. 5만원권 발행 전인 2009년에는 1만원권 비중이 85%를 넘었지만 2010년 9월 50% 밑으로 떨어졌고 2013년 3월 30%, 2015년 11월 10%대로 하락세를 그렸다. 5000원권은 1조4000억원, 1000권은 1조6000억원으로 전체의 0.8%, 0.9%에 불과했다. 은행권이 시중에서 유통된 후 한국은행으로 돌아오는 비중인 환수율은 떨어지고 있다. 5만원권 환수율은 40~60%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24.2%, 2021년 17.4%까지 떨어졌다. 경제주체들이 거래나 예비 목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5만원권이 그만큼 많아졌던 것이다. 방역조치 완화 이후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해 56.5%, 올해 1·4분기 112.4%로 높아졌다가 2·4분기 41%로 하락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2023-09-25 11:3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