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항우연 기술 확보, 2017년부터 시범서비스.. 자율주행차 등에 활용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차세대 도로교통용 정밀 위성항법기술을 상용화했다. 이번에 개발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측정한 연세대 대운동장 실측사진(오른쪽)이 현행 GPS로 촬영한 것보다 경계선을 정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오차 1m 이내 수준의 동적위치측정이 가능한 차세대 도로교통용 정밀 위성항법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현재 자동차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하는 위성항법(GNSS)은 오차가 약 15~30m 수준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등에서 사용할 수 없다. 또 인공위성을 이용한 항공.해상.측지용 위치결정시스템이 이미 개발돼 있으나 정확도, 동적운행에 따른 신뢰성, 높은 단말기 가격 등으로 실제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차세대 도로교통용 정밀 위성항법기술은 국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9년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말 원천기술을 확보했으며 오창지역 테스트베드(시험대)에서 성능 검증까지 마쳤다.
세계 최초로 차로 구분이 가능한 오차범위 1m 이내(통상 0.2~0.9m) 수준의 도로교통용 초정밀 위성항법기술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현행 내비게이션이 사용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디지털코드와 함께 GPS 반송파를 사용해 위치 오차를 대폭 개선해 이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정밀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기존의 저렴한 GPS상용칩(수신기)을 사용해 단말기 가격이 현재와 비슷해 상용화와 보급이 빠를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충북 오창에서 바이모달 트램 차량에 정밀 GPS 내비게이션을 장착하고 오창 시내를 주행하며 새로 개발된 기술을 선보였다.
바이모달 트램은 하이브리드전기차량으로 버스처럼 일반도로를 달리고 지하철처럼 전용궤도를 운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교통수단이다.
국토부는 이달 중 실용화사업에 착수해 단말기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GPS 신호를 바로잡는 인프라를 수도권에 우선적으로 구축, 2017년부터 시범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자율주행차 시범주행이 가능하도록 2018년부터는 전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밀 GPS는 자율주행차와 C-ITS, 상업용 드론, 고기능 스마트폰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위치정보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조원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낼 것"이라며 "국제표준을 제안하는 등 정밀 위치정보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활동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ehkim@fnnews.com 김은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