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발표된 '2020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정부는 포용기반 확충 차원에서 40대는 물론이고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여성이나 자영업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정책과 함께 공정경제 확산을 위한 대책도 담겼다.
현재 일자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대를 위한 고용대책을 1·4분기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을 통한 취업지원 및 기업의 40대 고용인센티브를 확대하고 40대 창업을 활성화하는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40대 고용 활성화 차원에서 실업자를 대상으로 폴리텍 특화훈련 기회를 확대하고, 고용촉진 장려금 지급대상을 늘리며(35~69세), 40대 창업기업에 창업기업지원서비스 바우처 제공 등이다.
청년세대인 10~30대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을 기존 20만명에서 29만명으로 확대한다. 청년내일채움공제도 25만명에서 34만2000명으로 늘린다.
신중년으로 불리는 50~60대는 경력활용 지역일자리 사업 및 신중년적합직무 고용장려금 확대 등이 추진된다. 또 60대 이상 노인일자리사업도 61만개에서 74만개로 확대하는 동시에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시행한다.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해 육아휴직 활성화, 온종일 돌봄, 어린이집 확충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돌봄·건강 등 수요 증가에 대응한 사회서비스 일자리도 9만5000개 확충하기로 했다. 노인빈곤 해소를 위해서는 소득하위 40%까지 기초연금을 현재 월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인상한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