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계약금 1500만원 걸고 대기” 공공재개발 후보지 벌써 ‘들썩’

8·4 공급대책 발표후 관심 폭증
성북1선 매물 없는데 수요 몰려
계약금 미리 걸어놓은 투자자도
성북3·충신1 등 개발 참여 선언

“계약금 1500만원 걸고 대기” 공공재개발 후보지 벌써 ‘들썩’
2014년 11월 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 장위뉴타운. 주민 갈등으로 재개발 구역에서 해제됐지만 8·4 공급대책에서 공공재개발을 허용하며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8·4 공급대책에 포함한 서울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거론되는 정비구역 대상지역에 외지인들의 부동산 투자 열기가 뜨거운 것으로 파악됐다. 성북1구역의 경우 매물은 없고 수요는 많아 투자자가 부동산에 계약금을 맡겨놓는 경우까지 생겨났다. 이런 가운데 고(故) 박원순 시장 시절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던 일부 주택정비구역들도 공공재개발 계획에 참여의지를 보이고 있어 투자 열기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5일 중개업계에 따르면 공공재개발이 발표된 지난 5월 6일 이후 투자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공공재개발은 재건축과 달리 초과이익환수제 적용을 받지 않고, 기부채납도 20~50% 수준으로 이번에 발표된 공공재건축의 50~70%보다 낮기 때문이다.

■"공공재개발 매력적" 투자금 몰려

서울 성북1구역 A중개업소 관계자는 "최근 부동자금이 몰리며 투자자가 4~5명씩 항상 대기하고 있다"며 "매물은 없는데 사려는 사람이 너무 많아 계약금으로 1500만원을 미리 걸어놓고 간 사람도 있다"고 전했다.

공공재개발은 LH와 SH 등 공공이 참여해 신속한 재개발을 돕는 사업방식이다. 참여 사업장엔 △조합원 분담금 보장 △부족한 분담금 대납 및 저리 융자 지원 △용적률 완화 및 기부채납 완화 △신속한 인허가 △ 분양가 상한제 적용 제외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통상 55개월 걸리던 재개발을 공공이 참여하면 24개월로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LH에서 50% 정도 비용을 조달해 조합의 자금부담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성북3구역 역시 투자 열기가 높다. 초기 투자비용이 1억원대로 낮아 투자수요가 높다는 평가다.

성북3구역 B중개업소 관계자는 "가장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서울의 마지막 재개발이라고 생각한다"라며 "5·6대책에서 공공재개발 이야기가 나온 뒤 지방 사람들이 대거 몰려들었다"고 말했다.

■구역 해제 지역 다시 한번 도전

8·4 공급대책 이후 공공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고 박원순 시장 시절 재개발에 제동이 걸렸던 지역들도 공공재개발 참여 의지를 표명했다. 과거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사업 지연 등으로 해제된 지역도 공공재개발을 허용하면서다.

투자자가 몰리는 성북 3구역의 경우 서울시가 정비구역 직권해제하며 조합이 해체됐지만 발빠르게 움직였다. 조합에 참여했던 주축들이 추진위를 다시 만들고 지난 5월 27일 성북구청에 공공재개발 추진 협조 요청서를 보냈다.

성북3구역은 인근 1구역과 달리 자동차가 들어갈 길이 없어 재개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축 빌라도 쉽게 찾기 힘든 상황이다. 심지어 온라인에서 도로를 중심으로 실물 지도를 볼 수 있는 '로드뷰'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도 있다.

한양도성 등재를 위해 직권해제된 충신1지역도 공공재개발 참여를 선언했다.
조합 관계자는 "주민 여론조사도 없이 직권해제를 당해 국가를 원망하기도 했었지만 재개발 이외에는 답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화장실도 아직 수거식일 만큼 주거환경이 열악한 동네라 기부채납이나 공공임대도 모두 수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범사업지 대상에서 제외됐던 장위 9구역, 은평구 증산 4구역 등도 8·4 공급대책이 발표되며 공공재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이미 기반시설을 갖춘 재건축은 수익을 따지지만, 기반시설이 열악한 재개발은 주거환경 개선을 먼저 보는 경우가 많다"라며 "재개발 사업진행이 느려 사업을 포기했던 지역이 재추진할 경우 주민 동의를 얻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