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128대 1'…펄펄 끓는 아파트 분양시장 언제까지?

로또 청약·공급 감소 우려…서울 청약경쟁률 100대 1 육박 정부, 서울·수도권 127만 가구 공급…실제 공급량 '미지수' 내년 상반기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시작 전까지 계속될 듯

'128대 1'…펄펄 끓는 아파트 분양시장 언제까지?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은마아파트. 2020.08.05. chocrystal@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정부의 잇단 규제와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도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의 열기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최근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선보인 신규 분양 단지들이 1순위(당해지역)에서 높은 경쟁률로 청약을 마감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실제 견본주택의 개관이 미뤄지거나 취소됐지만, 청약 열기는 한층 고조되면서 경쟁률이 치솟고 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 신규 물량 감소에 대한 우려와 시세보다 낮은 분양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맞물리면서 청약시장이 과열되는 양상이다. 특히 분양시장의 전통적인 비수기로 꼽히는 이달에도 서울 주요 지역의 청약경쟁률은 수백 대 일에 달할 정도다.

한국감정원의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은평구 수색증산뉴타운에서 분양한 'DMC센트럴자이'가 지난 13일 특별공급 청약을 접수한 결과 183가구 모집에 1만2244명이 몰렸다. 서울 아파트 특별공급 청약 신청 인원으로 역대 최고의 경쟁률이다. 90가구가 배정된 신혼부부 특별공급에는 1만160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112.9대 1를 기록했다.

다음날 이 단지의 1순위 청약에는 280가구 모집에 3만6025명이 몰려 128.7 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날 분양한 ▲DMC아트포레자이(69.3대 1) ▲DMC파인시티자이(45.3대 1)도 높은 경쟁률로 1순위 청약을 마감했다.

집값 급등의 진원지인 서울 강남지역의 청약 열기는 더욱 뜨겁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분양한 '대치 푸르지오 써밋'이 평균 168.1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했다. 이는 올해 서울 최고 경쟁률이다.

지난 10일 진행한 대치푸르지오써밋의 1순위 청약에는 106가구 모집에 1만7820명이 몰렸다. 주택형별로 전용면적 101㎡A는 1가구 모집에 848명이 청약을 넣어 848.0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59㎡B(427.7대 1) ▲102㎡A(257.9대 1) ▲117㎡A(257.0대 1) ▲129㎡A(245.0대1) 등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면 1순위 마감했다.

이 단지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직전 입주자 모집 공고를 마쳐 3.3㎡당 평균 분양가는 4751만원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신규 아파트 단지 가운데 세 자릿수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마곡지구9단지(146대 1) ▲호반써밋 목동(128대 1) ▲길음역 롯데캐슬 트윈골드(119.6대 1) ▲르엘 신반포 파크애비뉴(114.3대 1) 등 10여 곳에 달한다.

청약시장이 과열되면서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6월11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99.3대 1을 기록했다.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수도권 물량이 총 12개로,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5곳 중 1곳이 100대 1 이상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은 8곳 중 4곳, 경기도는 33곳 중 5곳이 경쟁률 100대 1을 기록했다.

또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청약경쟁률은 40.7대 1로 조사됐다. 지방 경쟁률 18.3대 1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청약경쟁률이 지방을 앞지른 것은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새 아파트에 청약 수요가 몰린 것은 분양가 규제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 주택보증공사(HUG) 등이 투기과열지구 지정 후 분양가를 통제해 기존 아파트보다 저렴한 수준으로 분양가가 책정되면서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다는 기대심리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또 분양가 상한제 유예기간 이후에 새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통해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서울에 36만4000가구 등 수도권에 127만 가구를 공급(입주자모집 기준)할 계획이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인 22만1000가구는 오는 2023년 이후에나 분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실제 입주는 2025년 이후에 가능한 만큼 공급 효과를 체감하기에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서울에 공급이 확정된 물량은 4만3000가구에 불구하고, 내년 신규 물량도 공급도 줄어든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내년 서울에서는 아파트 기준 총 2만3217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이는 올해 입주물량(4만2173가구)의 절반 수준인 55.1%에 불과하다. 2022년엔 1만3000여 가구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주택시장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대책과 공급 확대 방안에도 불구하고 자금력을 갖춘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청약 열기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달 29일부터 시행된 분양가 상한제로 서울의 신규 물량 감소가 우려되고, 분양가 주변 시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면서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로 주택 수요가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에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청약 과열은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물량이 나오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청약 쏠림 현상이 당분간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안은 의미가 있지만, 정부가 약속한 공급 물량이 실제로 공급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며 "정부가 주택보증공사를 통해 분양가 통제에 나서면서 시세 차익을 기대하는 부동산 수요가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에 몰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교수는 "고분양가 심사와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에 신규 공급 물량 축소 우려 등이 겹치면서 청약경쟁률이 치솟고 있다"며 "3기 신도시 등 사전 청약 물량이 주택 수요를 흡수한다고 하더라도 서울과 수도권 청약 열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