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

비트코인-페이팔-디파이...2020 블록체인 핫이슈

2020년 블록체인·가상자산 시장 8대 뉴스 꼽아
비트코인 상승, 금융기관 진입, 제도 마련 등 변화 가속
"내년엔 가상자산 시장 본격 성장"

[파이낸셜뉴스]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시장이 내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이 나왔다. 올해 비트코인 가격 상승,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확산, 글로벌 기업의 가상자산 시장 진입 등 굵직한 변화들이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산업 성장을 견인할 것이란 설명이다.

가상자산 시장 변화 본격화

비트코인-페이팔-디파이...2020 블록체인 핫이슈
업비트가 올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업계의 8대 주요 뉴스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23일 업비트는 올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업계의 8대 주요 뉴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업비트가 꼽은 8대 주요 뉴스는 △비트코인 △페이팔 △탈중앙금융(디파이, DeFi) △은행의 가상자산 사업 진출 등 가상자산 분야와 △CBDC △개정 특금법 △가상자산 과세 △분산 신원인증(DID) 등 정부와 산업적 측면에서의 변화들이다.

먼저 업비트는 최근 가상자산 투자 열풍을 부르고 있는 ‘비트코인 2000만 원 돌파 소식’을 주요 뉴스로 꼽았다. 비트코인이 2000만 원을 넘긴 것은 2017년 12월 이후 약 3년만으로, 올해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던 비트코인은 업비트에서 11월 18일 오후 1시 30분경 2000만 원을 넘긴데 이어 이달 2600만 원선을 돌파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비트코인-페이팔-디파이...2020 블록체인 핫이슈
페이팔의 가상자산 거래-결제 서비스 도입이 올해 주요 이슈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양적완화에 따른 기존 안전자산의 불투명성 증가, 가상자산 기관투자자 유입 증가, 미국 중심 가상자산 친화적 환경 조성, 페이팔 이슈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한다.

업비트는 ‘페이팔의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 계획 공개’도 주요 뉴스로 꼽았다. 3억 5천만 명이 사용하는 세계 최대 간편결제 사업자 페이팔은 올해 페이팔 지갑에 가상자산 사고팔기 기능 추가 및 온라인 가맹점 내 가상자산 결제 지원 소식을 발표했다. 미국 페이팔 이용자는 페이팔에서 비트코인·이더리움·라이트코인 등을 거래하거나, 2600만 개에 달하는 페이팔 가맹점에서 가상자산으로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향후 가상자산 결제 일상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설명이다.

탈중앙금융 역시 반년 만에 10배 넘게 성장하며 2020년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디파이는 정부, 은행, 증권사 등 중앙기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예금, 대출, 결제, 투자 등 모든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시스템이다. 중개인이 없어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포트폴리오 투자 상품에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업비트는 기존 은행의 가상자산 사업 진출도 주요 이슈로 꼽았다. 국내에선 KB국민은행이 블록체인 기업 해치랩스와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와 함께 합작법인 ‘한국디지털애셋(KODA)’을 만들고 가상자산 커스터디 사업에 나선게 대표적이다. NH농협은행도 법무법인 태평양, 블록체인 기업 헥슬란트와 컨소시엄을 구축해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신한은행 또한 코빗과 수탁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기존 은행들도 내년 3월 시행되는 개정 특금법에 근거해 정해진 요건을 갖추면 가상자산 사업자로 등록할 수 있는 만큼 가상자산 및 수탁 서비스는 더욱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가상자산 제도 기본틀 갖췄다

업비트는 정부 및 블록체인 산업 측면에서도 올해 의미있는 변화들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먼저 업비트는 세계 각국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도입 발표를 주요 이슈로 선정했다. 그간 CBDC 도입에 의견이 갈리던 각국 정부들이 CBDC 도입으로 방향 선회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10월 바하마가 세계 최초로 CBDC를 발행한 데 이어, 디지털 유로 발행을 고려하고 있는 유럽, 범용 CBDC 실험 수행 계획을 발표한 일본 등 세계 각국이 CBDC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과 스웨덴은 이미 디지털 화폐 도입 테스트를 마쳤거나 진행 중이다. 한국은행 역시 CBDC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외부 컨설팅을 준비하고 있으며, 실험 유통 시스템 구축을 기획하고 있다.

이밖에 국내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분야의 가장 큰 제도적 변화인 개정 특금법과 가상자산 과세 방안도 주요 이슈로 선정됐다.

특금법은 가상자산사업자들에게 자금세탁방지(AML) 등 의무를 부여하고, 의무를 준수하는 사업자에 한해 신고 후 영업하도록 명문화했다. 두나무의 임지훈 전략담당이사는 이에 대해 “가상자산 사업자가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기재되면서 산업을 조금 더 투명하게 이끌어 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가상자산 과세는 올해 정부의 세법개정안에 따라 최종적으로 오는 2022년 1월부터 기타소득 과세로 적용될 전망이다. 1년 단위로 통산하는 기타소득에 따라 실제 투자자는 오는 2023년 5월부터 연간 250만원 이상의 가상자산 수익에 대해 20% 세율로 납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용화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되는 분산 신원인증(DID)도 2020년 주요 이슈로 꼽혔다.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는 DID는 기관이 아닌 자신의 기기에 직접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인증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신원을 증명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을 시작으로, 장애인 복지카드, 운전면허증 등으로 확대 방침을 발표했고, 부산광역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지자체와 공공기관도 모바일 DID를 도입한바 있다.

업비트는 “업계와 일상 생활에 반영될만한 내용으로 8대 뉴스를 선정했다“며 “여러 요건을 감안할 때, 2021년은 블록체인·가상자산 업계가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