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은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며 병이 진행되고 나서야 쇠약감, 피로, 근경련, 체중 감소나 구역과 때때로 심한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고대안산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간은 우리 몸의 ‘화학공장’으로써 탄수화물, 지방, 호르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에 관여하고 소화작용을 돕는 쓸개즙을 생산한다. 또 신체 내에서 합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독소를 해독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간 기능이 저하되면 여러 신체적 문제가 발생한다.
고려대안산병원 소화기내과 정영걸 교수는 29일 "간경변증은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며 병이 진행되고 나서야 쇠약감, 피로, 근경련, 체중 감소나 구역과 때때로 심한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며 "증상이 나타날 때쯤이면 간경변증이 악화돼 정상상태로의 회복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간경변증은 그 자체보다 황달, 복수, 위식도 정맥류와 출혈, 간성혼수 등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 가장 무서운 합병증 중 하나가 위식도 정맥류다. 간으로 흘러가야 할 혈류가 제대로 간을 통과하지 못하고 간문맥 혈관의 압력이 높아져서 비장이 붓고, 위와 식도의 정맥들이 팽창한다. 이 때문에 혈관이 파열되면 대량의 피를 토하거나 혈변을 보게 된다. 위식도 정맥류 출혈은 그 자체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은 B형 간염으로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어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 C형 간염 순이다. 이외에도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겨 자신의 간세포에 대한 자가항체가 생성되고 면역세포가 정상적인 간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간질환, 비만이나 당뇨병, 고지혈증으로 인한 비알콜성 지방간도 영향을 미친다.
간경변증의 진단은 과거 병력을 확인하고 혈액, 초음파, CT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뤄진다. 섬유화 정도 확인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원칙이지만 출혈 및 감염에 대한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간 탄성도 검사’를 통해 통증과 출혈 없이 간 섬유화 진행 단계를 확인하는 추세다.
한번 굳어진 간을 되돌리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 때문에 간경변증 치료의 목표는 섬유화의 진행을 막고, 간 기능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데 있다. 무엇보다 원인 질환을 치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 B형 간염과 만성 C형 간염의 경우 약물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며 금주와 함께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대개 비만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체중조절도 필요하다. 합병증의 정도가 심해 생명을 위협할 수준이라면 간이식을 고려한다.
정 교수는 “간경변증은 완치의 개념이 없는 만성 질환이면서 장기적으로는 간암 발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예방과 조기진단이 필수적”이라며 “특히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건강보조식품을 남용하면 대부분 간에서 대사돼 오히려 독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